•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transfer

검색결과 729건 처리시간 0.029초

공공 R&D 기관의 기술 상용화 과정에 관한 시스템 사고 분석 (The Analysis of System Thinking on the Commercialization of Public R&D Research Institute)

  • 김순선;김동환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49-65
    • /
    • 2007
  • Nowadays almost nations try to promote the competition of n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cience technology. Also Korea has been engaging in this race of through public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But recently the commercialization of R&D products appears a poor result in the royalty of technology according weak technology transfer toward I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Even If we have been trying to find the problems and causes, as yet it is true that we don't solve clearly the problem, make a diagnosis about it. This paper analyzes the process of commercialization in public R&D research institute(ETRI: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hrough system thinking and researches an interrelationship among government agency, public R&D research institute, and enterprise. This one can find the fact that between research fund and R&D products, transfer technology and royalty, and enterprise's operating profit and active technology transfer like adding technology development is a positive feedback loop. This positive feedback loop in the commercialization of public R&D research institute carries out very important role in examining problems in R&D product's commercialization. Also this paper looks forward to being a guide in the commercialization of public R&D research institute.

  • PDF

Curved beam through matrices associated with support conditions

  • Gimena, Faustino N.;Gonzaga, Pedro;Valdenebro, Jose V.;Goni, Mikel;Reyes-Rubiano, Lorena S.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6권3호
    • /
    • pp.395-412
    • /
    • 2020
  • In this article, the values of internal force and deformation of a curved beam under any action with the firm or elastic supports are determined by using structural matrices. The article presents the general differential formulation of a curved beam in global coordinates, which is solved in an orderly manner using simple integrals, thus obtaining the transfer matrix expression. The matrix expression of rigidity is obtained through reordering operations on the transfer notation. The support conditions, firm or elastic, provide twelve equations.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he construction of the algebraic system of order twenty-four, twelve transfer equations and twelve support equations, which relates the values of internal force and de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two ends of the directrix of the curved beam. This final algebraic system, expressed in matrix form, is divided into two subsystems: twelve algebraic equations of internal force and twelve algebraic equations of deformation. The internal force and deformation values for any point in the curved beam directrix are determined from these values in the initial position. The five examples presented show how to apply the matrix procedures developed in this article, whether they are curved beams with the firm or elastic support.

A Public-Transportation Guidance System using the GIS and the GA

  • Jun, Chul-Mi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21-23
    • /
    • 2003
  • Developing a public transportation guidance system requires the following aspects: (i) people may change transportation means not only within the same type but also among different modes such as between buses and subways, and (ii) the system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time taken in transfer from one mode to the other. This study suggest the framework for developing a public transportation guidance system that generates optimized paths in the transportation network of mixed means including buses, subways and other modes. For this study, the Genetic Algorithms are used to find the best routes that take into account transfer time and other servicetime constraints.

  • PDF

지역별 대중교통 환승혜택 형평성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User Benefit Analysis By Transfer Fare Policy : Focuses on the case of Gyeonggi-do)

  • 김은영;육동형;손승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225-240
    • /
    • 2022
  • 경기도는 도시형, 도농복합형, 농촌형으로 도시형태가 구분되어,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도 도시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대중교통 환승요금제는 단순한 형태의 수평적 형평성을 기준으로 동일한 환승유효시간을 적용하여 운영되고 있다. 이로 인해 대중교통 서비스 공급형태가 열악한 비도심 지역은 버스의 운행간격이 30분 이상으로 환승할인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기회의 형평성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불리하게 적용되어 요금할인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의 환승요금제의 비형평적 사례를 교통카드를 활용하여 환승비 혜택 현황을 분석하고, 환승비혜택율 지표를 개발하고, 지표를 활용하여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대중교통 서비스 공급 확대가 아닌 수직적 형평성 기준의 제도 개선을 통해 환승혜택의 기회의 균등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수직적 형평성 기준을 적용하여 지역별 맞춤형 제도를 운영하는 환승요금제도의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노인의 소득구조 불평등 기여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Contribution of the Elderly to Income Inequality)

  • 신규철;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78-488
    • /
    • 2021
  • 본 연구는 노년기 경제적 불평등을 2007년부터 2018년까지의 한국복지패널조사 자료에서 지니계수와 10분위 분배율로 노인의 소득불평등 기여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소득의 지니계수는 2007년 0.430, 2018년 0.383으로 점진적으로 불평등이 줄어들고 있었다. 또한, 소득분위가 높아질수록 소득증가율이 높아졌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장소득 불평등은 증가하였고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불평등은 감소하였다. 전체소득에 대한 소득구조의 불평등 기여도 분석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적이전소득의 불평등 완화 역할을 공적이전소득이 대체하고 있었다. 노인의 기초생활유지를 위한 공적이전소득의 확대는 사적이전소득의 구축효과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노인 소득원이며, 노인의 소득구조의 구성요소인 시장소득,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은 상호 전체소득을 보완하는 성격이 있어 노인의 소득불평등을 완화하는데 기여한 소득원을 파악하여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학·공공연구소와 외부기관과의 관계가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riple Helix 모형을 기반으로 (The Effects of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ies, Public Research Institutes and External Organizations on Performance of Technology Transfer : based of Triple Helix Model)

  • 손호성;정양헌;윤상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87-614
    • /
    • 2018
  • 정부는 대학 공공연구소와 중소 중견기업 간 협력 및 기술이전 활성화를 통해 산업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산업부는 2013년에 전문생산기술연구소를 활용한 중소 중견기업 기술혁신 지원방안을 마련하였으며, 미래부는 2014년에 정부 출연연구기관의 중소 중견기업 연구개발 전진기지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또한, 2015년에는 국가과학심의회를 통해 민간수탁 실적에 따라 정부출연금을 차등 지급하는 '한국형 프라운호퍼식' 지원방식을 채택하였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정부 정책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독일과 달리 우리나라는 민간수탁 연구개발 환경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황으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기술이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트리플 헬릭스 모형에 기반하여 대학 공공연구기관과 정부, 산업계와의 관계가 기술이전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자원 확보 관점에서는 정부와의 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과 확산 측면에서는 산업계와의 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공공연구소 한 곳을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대학 공공연구소의 기술이전 성과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Structural matrices of a curved-beam element

  • Gimena, F.N.;Gonzaga, P.;Gimena, L.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33권3호
    • /
    • pp.307-323
    • /
    • 2009
  • This article presents the differential system that governs the mechanical behaviour of a curved-beam element, with varying cross-section area, subjected to generalized load. This system is solved by an exact procedure or by the application of a new numerical recurrence scheme relating the internal forces and displacements at the two end-points of an increase in its centroid-line. This solution has a transfer matrix structure. Both the stiffness matrix and the equivalent load vector are obtained arranging the transfer matrix. New structural matrices have been defined, which permit to determine directly the unknown values of internal forces and displacements at the two supported ends of the curved-beam element. Examples are included for verification.

대중교통 환승통행량 영향요인 분석: 대구시를 대상으로 (Analyzing Factors Affecting Public Transit Transfer Volume: Focused on Daegu City)

  • 황정훈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79-1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의 지하철과 버스간의 환승통행을 대상으로 환승통행특성을 분석하고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버스와 지하철간의 환승통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이를 통한 대중교통환승센터에서 보다 많은 환승통행량이 처리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그 결과 환승시간은 환승통행량과 반비례하는 반면, 연계버스 노선수, 지하철역의 공간적 위치, 버스노선의 연계지수는 비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화계수로부터 지하철역과 연계되는 버스노선의 특성을 반영한 버스노선의 연계지수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무원교육의 현업적용도 영향요인과 정책적 제고방안 (A Study on Enhancing Transfer Effect of Learning on Education for Local Public Service Personnel)

  • 김정원;김동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3호
    • /
    • pp.43-59
    • /
    • 2013
  • 본 연구는 강원도 공무원에 대한 교육의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분석을 통해 찾아내고, 현업적용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도출하여 공무원교육의 양적 질적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공무원 교육 후 현업적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학습자 내적특성, 교육내용 및 설계, 직무수행환경 등 3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각 영향요인을 도움(촉진)요인과 방해요인으로 구분하여 도움요인들은 더욱 활성화시키고 방해요인은 제거하는 방식으로 교육과정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설계하였다. 강원도 공무원교육 현업적용도 제고를 위한 제언으로 역량모델링에 따른 교육설계, 강원도 자체 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교육 후 관리제도의 강화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