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y status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6초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정서행동문제의 매개효과: 부모구성 및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따른 다집단분석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Middle School Students' Life Satisfaction: A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Parental Composition and Parents' Life Satisfaction)

  • 하규영;이민영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1호
    • /
    • pp.39-63
    • /
    • 2020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정서행동문제(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 부모구성 및 부모의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부모구성(부모, 한부모)과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따른 네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행동문제를 매개요인으로 설정하여 다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초4 패널 데이터 중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부모 모두와 같이 거주하며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둘째,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중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모구성과는 상관없이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셋째,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정서행동문제(공격성)의 매개효과는 부모 모두와 같이 거주하며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낮은 집단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넷째, 우울은 모든 집단에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가장 높은 상관 및 경로계수를 지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입방법과 연구의 제한점 및 함의를 제시하였다.

예기(禮記)의 복식문화(服飾文化) (I) - 곡예(曲藝)를 중심으로 - (The Costume in Li chi (I) - Chi Li -)

  • 김진구
    • 복식
    • /
    • 제14권
    • /
    • pp.75-85
    • /
    • 1990
  • The dress and personal adorments of Chi Li in Li Chi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ancient Chinese used their dress and personal adornments as an important means of maintaining or establishing harmony with the universe, supernaturals, and human beings. It also appeared that dress was used to control man's psychology and to maintain social order. Differentiation of person's social status and position was made by using dress and personal adornments. Ceremonial costume such as mourning appeared considerably in Chi Li.

  • PDF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 of the Kimchi Industry

  • KWON, Lee-Seung;PARK, Hyeon-Young;LEE, Se-Rin;LIM, Hyeon-Jin;KWON, Young-Eun
    • 웰빙융합연구
    • /
    • 제4권2호
    • /
    • pp.1-1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general status and conditions of the kimchi industry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information of a desirable kimchi market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price, market, and consumers of kimchi ba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status of the kimchi industry in Kore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basically conducted research design and analysis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kimchi market data. Result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in order to globalize kimchi, it is expected that a strategy to target overseas markets with relatively low competition through a low-salt diet and premium strategy along with the image of Western health is expected. Conclusions: In Korea,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can target the B2B (Business-to-Business) market first and then target department stores or convenience stores at a stable time in the future to expand sales channels and profitability through premium or low-cost policies. Another strategy is to target overseas markets as soon as the company stabilizes through B2B. Therefore, in the kimchi industr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ales/marketing strategy according to what position and position of one's own company in the kimchi industry.

양파와 마늘 농가의 행동경제학적 영농 의사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rming Decision-making Process of Onion and Garlic Farmers by the Perspective of Behavioral Economics)

  • 이수미;김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5-37
    • /
    • 2024
  • This study is to apply behavioral economics-an economics that studies actual human behavior based on cognitive psychology-to the farming decision-making process of onion and garlic farmers. Of behavioral economic theories, dual system theory and prospect theory (value function), heuristic and bias were surveyed and examined in the field. The reference point of farmers was farming experience of the previous year, and so they showed reference dependence and anchoring heuristic, not rational thinking on production cost plan. And they showed status quo bias that cultivated continuously the previous year or the present crop. This status quo bias is related to loss aversion propensity. Farmers did not usually change cultivating crops, in other words, they showed diminishing sensitivity-insensitive to those that the more revenue or loss was increased. This diminishing sensitivity is related to loss aversion propensity and status quo bias. Also, farmers had representativeness heuristic because they regarded auction price of Garakdong wholesale market as the standard price level despite various prices by production region. And farmers had the affect heuristic that they depended on producers' organization data more than the state-run research institute ones about cultivation intentions and actual situations.

청소년 자녀를 둔 한부모의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개인적 자원과 가족자원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Single Parents' Grit : Focusing on Personal Resources and Family Resources)

  • 김가연;박정윤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2호
    • /
    • pp.49-62
    • /
    • 2023
  • 그릿(Grit)은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열정과 인내를 의미하며, 심리적 건강과 적응을 예측하는 성격 특성이다. 본 연구는 한부모가 다양한 어려움 속에서도 자녀양육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노력할 수 있도록 한부모의 그릿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자원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4차년도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총 284명의 한부모를 대상으로 빈도, 평균 등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한부모의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 개인적 자원(심리자원, 생활시간 및 건강 자원), 가족자원(가족관계 및 자녀 자원, 경제자원)을 탐색하였다. 첫째, 상관관계 분석결과, 한부모의 그릿은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연령, 학력, 개인적 자원 중 삶의 만족도, 행복감, 자아존중감, 스마트폰 의존도, 운동시간, 아침식사 횟수, 가족자원 중 가구원수, 자녀성적만족도, 자녀학교생활만족도, 주관적 가정경제수준, 월평균 사교육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학력, 개인적 자원 중 자아존중감, 근로 여부, 스마트폰 의존도, 운동시간, 가족자원 중 가구원수, 자녀성적만족도, 주관적 가정경제수준이 한부모의 그릿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부모가 자녀양육을 잘 해낼 수 있도록 한부모의 그릿을 증진시키는 개인 및 가족 자원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한부모가족의 안정적인 자녀양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한부모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교육적 관여의 관계에서 사회관계망 기능의 매개효과: 양부모 가정 어머니와의 비교 연구 (Mediating Effects of the Functions of Parent's Social Networks between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Parent Involvement: Comparison of Single-mother and Two-parent Families)

  • 신혜진;한인영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
    • 제16권3호
    • /
    • pp.401-422
    • /
    • 201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가 맺는 사회관계망 기능 특성이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교육적 관여 행동을 어떻게 매개하는지 한부모 가정 어머니와 양부모 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인천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자녀로 둔 한부모 가정 어머니 132명과 양부모 가정 어머니 164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교육적 관여 행동을 교육환경제공, 학업지도, 자녀교육지원 등을 포함한 가정 중심 교육관여와 자녀 학교에서의 교육활동참관, 교육활동지원, 교원과의 의사소통 등 학교 중심 관여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어머니의 사회관계망 기능 특성이 사회·경제적 배경과 교육적 관여 사이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한부모 어머니 집단에서 어머니의 사회관계망 기능 특성은 사회·경제적 배경과 가정관여의 관계, 그리고 학교관여와의 관계를 각각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양부모 어머니 집단에서는 어머니 사회관계망의 기능 특성이 사회·경제적 배경과 가정관여와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으나, 학교관여와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저소득 한부모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사회관계망 지원 기능을 확충함으로써 교육적 관여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 개입방안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주관적 사회계층 인식이 상대적 박탈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수저담론 기반 귀속의식의 실증 분석 연구 (Effects of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on Relative Depriv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Testing the 'Silver-Spoon-Discourse' based Belongingness in Korean Society)

  • 유계숙;양다연;정백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3호
    • /
    • pp.329-340
    • /
    • 2019
  • The 'Sliver-Spoon-Discourse' is currently witnessing growing complaints about the polarization and a sense of despair among many young people in Korean society. The 'Sliver-Spoon-Discourse' that compares one's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to a spoon implies a sense of psychological superiority or deprivation.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tested the current popular 'Sliver-Spoon-Discourse' based belongingness and explored how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may affect the psychology of young peopl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on individual relative depriv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Data were collected from 307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at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with both parents aliv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 respondents reported moderate levels of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relative depriv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after controlling for respondents' gender, age and family income, the students'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level of relative deprivation. Finally, after controlling for responden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tudents'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all the three sub-factors of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as well as total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Sliver-Spoon-Discourse' based belongingness may instigate relative deprivation of young people without affecting their subjective well-being.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for youth programs and policies.

PROP Taster Status and the Rejection of Foods with Added Tastants

  • Lee, Yun-Mi;Prescott, John;Kim, Kwang-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1066-1073
    • /
    • 2008
  • Sensitivity to 6-n-propylthiouracil (PROP) tasting predicts sensitivity to food qualities as well as rejection of some strong tasting foods. Using consumer rejection threshold (CRT) method, this study aimed to assess whether systematic changes in the taste intensities of familiar foods would lead to earlier rejection of these products by PROP tasters than by PROP non-tasters. Subjects rated the intensity of PROP solution and were divided into tasters (Ts) and non-tasters (NTs). And Ts were further divided into medium-tasters (MTs) and super-tasters (STs). Difference thresholds and CRTs were then evaluated for caffeine in coffee, citric acid in orange juice, and for NaCl in beef soup. For each food, Ts were more sensitive to variations in tastants than NTs. Ts also rejected more bitter coffee, more sour orange juice, and less salty beef soup more readily than did NTs. Comparisons among NTs, MTs, and STs gave fewer clear differences.

우리나라 학교상담의 실태와 미래 방향 (Status Quo and Future Directions of School Counseling in Korea)

  • 최태진;이희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259-274
    • /
    • 2010
  • Recently school counselors have begun to be employed to school and the office of local school districts. Now it is our challenging task to firmly establish school counseling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counseling in Korea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of school counseling. For this purpose, characteristics of school counseling and school counselor's role were first reviewed. In lights of these criteria, several areas which need to be improved were identified. Authors suggest the four future directions of school counseling : introduction of school psychology-based service,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program, improvement of professional ability according to school counselor's role, establishment of support system.

가구유형에 따른 장애노인의 특성과 우울 영향 요인: 거주환경과 심리의 융복합적 접근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ffecting of Depression by Households Type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Convergent Approach of Living Environment and Psychology)

  • 박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459-466
    • /
    • 2020
  • 본 연구는 가구유형에 따른 장애노인 특성과 우울 영향 요인을 연구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차 웨이브 3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로 대상자는 608명이다. 통계분석은 기술통계, 카이스퀘어, 로지스틱 회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단독가구 장애노인은 여성, 비수도권, 중증장애,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경제수준이 낮은 경우, 일상생활도움이 필요한 경우, 차별경험이 높은 경우, 관계만족도가 낮은 경우, 사회생활참여를 하지 못하는 경우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노인 우울 영향 요인은 차별경험(p<.05), 사회활동참여(p<.05)이고, 다인가구 장애노인은 성별(p<.05), 거주지(p<.01), 건강상태(p<.001), 경제수준(p<.05)으로 단독가구 장애노인은 일상생활도움(p<.05)으로 나타났다. 장애노인의 우울 감소를 위해 차별경험 감소 및 장애인식개선, 보건의료 및 경제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가구유형을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종단적 연구를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