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Middle School Students' Life Satisfaction: A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Parental Composition and Parents' Life Satisfaction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정서행동문제의 매개효과: 부모구성 및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따른 다집단분석

  • Received : 2020.02.18
  • Accepted : 2020.04.03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ocioeconomic statu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parental composition, and parents' life satisfaction, all of which are factor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o this end,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on KCYPS panel data. The results showed four major patterns. First, family socioeconomic status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students' life satisfaction only when the student has two parents and when the student's parents have high life satisfaction. Second, family socioeconomic status only significantly influenced student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when parents had low life satisfaction, regardless of parental composi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ocioeconomic status and student life satisfaction was only significant when the student had two-parents and when the student's parents' had low life satisfaction. Fourth, depression was the variable most stronly correlated with student life satisfac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impliations of its results about how to improve students'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정서행동문제(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 부모구성 및 부모의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부모구성(부모, 한부모)과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따른 네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행동문제를 매개요인으로 설정하여 다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초4 패널 데이터 중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부모 모두와 같이 거주하며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둘째,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중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모구성과는 상관없이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셋째,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정서행동문제(공격성)의 매개효과는 부모 모두와 같이 거주하며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낮은 집단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넷째, 우울은 모든 집단에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가장 높은 상관 및 경로계수를 지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입방법과 연구의 제한점 및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덕제, 이강현 (2017). 청소년기의 여가경험과 삶의 만족, 자아관, 자기결정감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 한국청소년 패널조사를 활용한 종단연구 -. 여가관광연구, 27, 35-51.
  2. 강윤아 (2018). 부모 및 자녀 삶의 만족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인과관계 분석-잠재성장 모형, 잠재계층분석, 잠재전이분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3. 곽금주 (1992). 공격영화시청에 따른 공격스크립트의 활성화 - 아동과 청소년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5(1), 85-98.
  4. 교육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8). 제14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5. 구현영, 박현숙, & 장은희 (2006). 고등학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영향 요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1), 151-158. https://doi.org/10.4040/jkan.2006.36.1.151
  6. 권태연 (2015). 아동.청소년 우울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사회복지연구, 46(3), 35-64.
  7. 김경식, 최성보, 이현철 (2009). 사회적 자본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 가족, 학교, 지역사회내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5(2), 60-83.
  8. 김경훈, 김형재, 이은림 (2013). 아버지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의 차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5-32.
  9.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0. 김금순, 김은미 (2015). 청소년의 정서문제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의 존을 매개효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38, 33-57.
  11. 김남정, 임영식 (2012). 청소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청소년활동의 중재효과. 청소년학연구, 19(8), 219-240.
  12. 김보영, 장은비 (2015).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을 통한 또래애착과 성취가치의 조절된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7), 31-52.
  13. 김선희, 김경연 (2001). 학령기 아동의 행동문제 유형에 따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인과모형. 아동학회지, 22(1), 19-34.
  14. 김소영, 윤기봉 (2016).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변화추정: 변화에 있어서의 개인차에 대한 요인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7(2), 271-296.
  15. 김신영, 임지연, 김상욱, 박승호, 유성렬, 최지영, 신원영 (2006). 한국 청소년발달 지표 조사 I: 청소년 발달 종합지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181.
  16. 김연주, 이지민 (2015).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 전환기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1), 1-17. https://doi.org/10.7466/JKHMA.2015.33.1.1
  17. 김용회, 한창근 (2017). 부모 삶의 만족도와 아동 삶의 만족도의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이용하여. 사회복지연구, 48(3), 29-55. https://doi.org/10.16999/kasws.2017.48.3.29
  18. 김은아, 배민영 (2016). 부정적 양육방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또래관계의 중다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9), 155-176.
  19. 김의철, 박영신 (2004).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가정, 학교, 직장, 여가 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973-1002.
  20. 김정연, 정현주 (2008). 청소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리뷰, 13, 171-190.
  21. 김주리, 김남희 (2014).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행복감 간 관계. 생애학회지, 4(1), 19-32.
  22. 김지현, 이지민 (201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모역할만족도와 결혼만족도의 구조모형검증. 아동복지연구, 9(3), 19-38.
  23. 김진아, 한귀례 (2014). 부모양육태도와 정서문제의 관계구조. 상담학연구, 15(6), 2379-2399.
  24. 남미애 (2011). 청소년쉼터에서 생활하는 가출 청소년의 요인별 생활만족이 청소년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3(4), 203-229.
  25. 박서영, 박성연, Cheah, C. S. L. (2007). 어머니의 삶의 만족감 및 양육행동과 남, 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4(2), 29-51.
  26. 백혜영, 강현아 (2016). 빈곤이 아동의 사회적 자본을 통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54, 113-144.
  27. 소선숙, 김청송 (2016).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적응의 보호요인 및 위험요인 연구. 청소년학연구, 23(7), 375-400.
  28.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29. 서미정 (2014). 아동과 청소년의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도향 및 추후 연구 과제. 아시아교육연구, 15(2), 141-169.
  30. 석말숙, 구용근 (2015). 가족요인이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7(1), 55-74.
  31. 석소현, 신성희 (2010). 양부모 가정과 한부모 가정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3), 367-377. https://doi.org/10.4040/jkan.2010.40.3.367
  32. 성은모, 김균희 (2013).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과 환경특성 간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4(4), 177-202.
  33. 송신영, 박성연 (2008).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및 양 육행동과 아동의 친구관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5), 19-33.
  34. 송영명, 이현철 (2011). 한국 청소년의 교유관계 결정요인 분석: 자아개념, 부모관계, 교사관계, 교우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8(1), 91-112.
  35. 송현심, 성승연 (2015). 사회적 지지가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1), 129-157.
  36. 송현주, 황순택 (2016).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 자기회귀교차지 연모형을 이용한 종단자료의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8(4), 25-46.
  37. 신 미, 전성희, 유미숙 (2010). 청소년의 삶의 만족과 안녕에 관한 요인 연구. 청소년학연구, 17(9), 131-150.
  38. 안지혜 (2016).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39. 양미진, 남은영, 이수림, 이자영, 허자영 (2009). 저소득 가정 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청소년상담원.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40. 양 혁, 양나연, Eunjoo, Kim, 김보영 (2019). 비행피해 경험이 청소년의 비행 및 비행 가해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2), 673-691.
  41. 여성가족부 (2018). 「한부모가족실태조사」 통계정보보고서. 서울: 여성가족부.
  42. 염유식, 김경미, 이승원, 김수미 (2016). 한국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조사결과보고서. 서울: 한국방정환재단.
  43. 유순화 (2007).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에 관한 학생들의 기대와 지각. 초등교육연구, 20(1), 355-375.
  44. 유정원, 김형모 (2012). 빈곤이 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생태체계 변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16(2), 231-257.
  45. 이기영 (1987). 가사노동의 상품대체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46. 이명숙 (2013). 청소년의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가족기능 및 진로 정체감의 영향: 한국-중국 비교 연구. 청소년학연구, 20(4), 151-174.
  47. 이봉주, 민원홍, 김정은 (2014).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 문제의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발달-맥락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탐색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21(8), 317-346.
  48. 이윤희, 권정아 (2015). 청소년 우울 개선 프로그램의 특성 및 효과크기 분석: 다층메타 분석을 통한 효과크기 검증. 정서.행동장애연구, 31(4), 261-283.
  49. 이은경, 박성연 (2004). 양친이 안계신 가정 아동의 정서, 행동문제에 대한 연구-사회 인구학적 변인 및 양육자의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2(12), 191-204.
  50. 이현주 (2017). 이혼가정아동을 위한 사회적 문제해결 향상 집단미술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51. 장문정, 이은남 (2015). 한국형 폭력 반응 측정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응급실 간호사 대상. 대한간호학회지, 45(4), 544-553. https://doi.org/10.4040/jkan.2015.45.4.544
  52. 장영애, 이영자 (2014). 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 충동에 대한 관련변인의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12(4), 133-144.
  53. 전영상, 최영신 (2017). 학업성적이 부모와 자신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4(2), 473-490.
  54. 전현정, 정혜원 (2016).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이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자녀의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7(2), 215-242.
  55. 전혜진, 유미숙 (2015).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 진로성숙도 및 미시체계 변인의 경로분석. 청소년학연구, 22(6), 75-104.
  56. 정경미, 신민정, 강지헌, 김은성 (2013). 남자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문제의 하위 발달 경로 확인: 성장 모형을 적용한 2년간의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1), 177-197.
  57. 정혜숙, 김영희 (2014). 아동이 지각한 행복 결정요인: 심리특성, 사회활동, 관계적 요인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7), 89-118.
  58. 조명한, 김정오, 권석만 (1994). 청소년의 삶의 질.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16(2), 61-94.
  59. 조붕환, 임경희 (2003).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29-746.
  60. 조주영, 오인수 (2014).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유형과 유형변화 및 정서문제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25(4), 301-323.
  61. 중앙일보 (2013.8.30.). 중학생 38% "중2병 겪고 있다"... 원인으로는 '학업 및 성적' 지목. https://news.joins.com/article/12476136에서 검색.
  62. 진혜민, 박병선, 배성우 (2011). 비공식낙인,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경로분석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3(2), 121-148.
  63. 최선남, 최외선, & 손현숙 (1995). 청소년의 우울성향과 동적가족화에 나타난 반응특성과의 관계. 미술치료연구, 2, 19-35.
  64. 최아론, 이영순 (2015). 어머니의 행복감과 초등학생 자녀의 행복감 관계에서 자녀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1), 337-351.
  65. 최희철, 황매향 (2010). 학교상담: 학업성취와 삶의 만족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상담학연구, 11(3), 1255-1270.
  6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제1-7차 코드북.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67. 한아름 (2018). 부모의 삶의 만족도, 긍정적 양육행동,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저소득가구와 일반 가구의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5(5), 1-24.
  68.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69. 홍순혜 (2004).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육부모의 경제수준 및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17, 151-177.
  70. Aguinis, H. (1995). Statistical power with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in management research. Journal of Management, 21(6), 1141-1158. https://doi.org/10.1177/014920639502100607
  7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72.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https://doi.org/10.1111/j.1467-8624.1984.tb00275.x
  73. Berger, E. M., & Spiess, C. K. (2011). Maternal life satisfaction and child outcomes: Are they related?.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32(1), 142-158. https://doi.org/10.1016/j.joep.2010.10.001
  74. Bigner, J. J. (2010). Parent-child relations: An introduction to parenting.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75. Bornstein, M. H., Hahn, C. S., Suwalsky, J. T., & Haynes, O. M. (2003). The Hollingshead four-factor index of social status and the socioeconomic index of occupations. Socioeconomic Status,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 25(6), 29-81.
  76. Bradshaw, J., Martorano, B., Natali, L. et al. Child Ind Res (2013) 6: 619. https://doi.org/10.1007/s12187-013-9196-4
  77. Bronfenbrenner, U. (1989). Ecological systems theory. In R. Vasta (Ed.), Annals of vhild development: Vol. 6 Six Theories of Child Development: Revised Formulations and Current Issues (pp. 187-249). Greenwich, CT: JAI Press.
  78.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79. Bynum, M. S., & Kotchick, B. A. (2006).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quality and autonomy as predictors of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5(5), 528-541. https://doi.org/10.1007/s10826-006-9035-z
  80. Carlson, G. A., & Cantwell, D. P. (1980). Unmasking maske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7(4), 445-449. https://doi.org/10.1176/ajp.137.4.445
  81. Cheug, G. W., & Rensvold, R. B. (2002).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233-255. https://doi.org/10.1207/S15328007SEM0902_5
  82. Chung, Grace H., 이상균, 유조안 (2015). 청소년들은 어떤 날 더 행복한가?: 부모와의 친밀감이 일상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및 가구소득과 학교 급에 따른 차이.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1), 3-23.
  83. Clair, A.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ir children in Britain. Child Indicators Research, 5(4), 631-650. https://doi.org/10.1007/s12187-012-9139-5
  84. Conger, R. D., Conger, K. J., & Martin, M. J. (2010). Socioeconomic status, family processes, and individual developmen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2(3), 685-704. https://doi.org/10.1111/j.1741-3737.2010.00725.x
  85. Curran, P. J., West, S. G. & Finch, J.(1996). The robustness of test s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86. Dew, T., & Huebner, E. S. (1994). Adolescents' perceived quality of life: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2(2), 185-199. https://doi.org/10.1016/0022-4405(94)90010-8
  87.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88.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1), 34-43. https://doi.org/10.1037/0003-066X.55.1.34
  89. Diener, E., Oishi, S., & Lucas, R. E. (2003). Personality,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Emotional and cognitive evaluations of lif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4(1), 403-425.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4.101601.145056
  90. Eisenberg, N., Fabes, R. A., & Murphy, B. (1996). The relations of children's dispositional empathy-related responding to their emotionality, regulation, and social function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2(2), 195-209. https://doi.org/10.1037//0012-1649.32.2.195
  91. Frank, D. A., Casey, P. H., BMIlack, M. M., Rose-Jacobs, R., Chilton, M., Cutts, D., ... & Cook, J. T. (2010). Cumulative hardship and wellness of low-income, young children: multisite surveillance study. Pediatrics, 125(5), 1115-1123.
  92. Garg, R., Melanson, S., & Levin, E. (2007). Educational aspirations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and two biological parent families: A comparison of influential fact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6(8), 1010-1023. https://doi.org/10.1007/s10964-006-9137-3
  93. Hair, J. F, Tatham, R. L, Anderson, R. E, Black, W.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94. Hawkins, W. E., Hawkins, M. J., & Seeley, J. (1992). Stress, health-related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n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a sample of adolescents. Psychological Reports, 71(1), 183-186. https://doi.org/10.2466/pr0.1992.71.1.183
  95. Huebner, E. S. (1991). Initial development of the student's life satisfaction scale.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12(3), 231-240. https://doi.org/10.1177/0143034391123010
  96. Huebner, E. S., Suldo, S. M., Smith, L. C., & McKnight, C. G. (2004). Life satisfaction in children and youth: Empirical foundations and implications for school psychologists. Psychology in the Schools, 41(1), 81-93. https://doi.org/10.1002/pits.10140
  97. Jekielek, S. M. (1998). Parental conflict, marital disruption and children's emotional well-being. Social Forces, 76(3), 905-936. https://doi.org/10.1093/sf/76.3.905
  98. Jiang, X., Lyons, M. D., & Huebner, E. S. (2016). An examination of th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problem solving in early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53, 141-151.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16.09.004
  99. Kamerman, S., Phipps, S., & Ben-Arieh, A. (2010). From child welfare to child well-being: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knowledge in the service of policy making. Dordrecht: Springer.
  100. Kandel, D. B., Raveis, V. H., & Davies, M. (1991).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ce: Depression, substance use, and other risk fact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2), 289-309. https://doi.org/10.1007/BF01537613
  101. Karremans, J. C., Van Lange, P. A., Ouwerkerk, J. W., & Kluwer, E. S. (2003). When forgiving enhance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ole of interpersonal commit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5), 1011-1026. https://doi.org/10.1037/0022-3514.84.5.1011
  102. Kline, R. B. (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Press
  103. Klocke, A., Clair, A., & Bradshaw, J. (2014). International variation in child subjective well-being. Child Indicators Research, 7(1), 1-20. https://doi.org/10.1007/s12187-013-9213-7
  104. Leyendecker, B., Harwood, R. L., Comparini, L., & Yalcinkaya, A. (2005). Socioeconomic status, ethnicity, and parenting.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2, 319-341.
  105. Mueller, C. W., & Parcel, T. L. (1981). Measures of socioeconomic status: Alternatives and recommendations. Child Development, 52(1), 13-30. https://doi.org/10.1111/j.1467-8624.1981.tb03013.x
  106. OECD (2017).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Students' well-being. (No. Volume III). retrieved from OECD: www.oecd.org/pisa/
  107. Park, N., & Huebner, E. S. (2005).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levels and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6(4), 444-456. https://doi.org/10.1177/0022022105275961
  108. Park, H. S., Koo, H. Y., & Schepp, K. G. (2005).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for adolescents by gen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8), 1433-1442. https://doi.org/10.4040/jkan.2005.35.8.1433
  109. Parke, R. D. (2013). Future families: Diverse forms, rich possibilities. Hoboken, NJ: Wiley-Blackwell.
  110. Pavot, W., & Diener, E. (1993). The affective and cognitive context of self-reported measures of subjective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28(1), 1-20. https://doi.org/10.1007/BF01086714
  111. Rubin, K. H., & Coplan, R. J. (2004). Paying attention to and not neglecting social withdrawal and social isolation. Merrill-Palmer Quarterly, 50(4), 506-534. https://doi.org/10.1353/mpq.2004.0036
  112. Rubin, K. H., Coplan, R. J., & Bowker, J. C. (2009).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Annual Revies of Psychology, 60, 141-171.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60.110707.163642
  113. Suldo, S. M., & Huebner, E. S. (2006). Is extremely high life satisfaction during adolescence advantageous?. Social Indicators Research, 78(2), 179-203. https://doi.org/10.1007/s11205-005-8208-2
  114. Tiet, Q. Q., Bird, H. R., Hoven, C. W., Wu, P., Moore, R., & Davies, M. (2001). Resilience in the face of maternal psychopathology and adverse life event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0(3), 347-365. https://doi.org/10.1023/A:1012528910206
  115. Webster-Stratton, C., & Hammond, M. (1998). Conduct problems and level of social competence in Head-Start children: Prevalence, pervasiveness, and associated risk factors. Clinical Child & Family Psychology Review, 1(2), 101-124. https://doi.org/10.1023/A:1021835728803
  116. Yang, Y. (2008). Social inequalities in happiness in the united states, 1972 to 2004: An age-period-cohort analy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3(2), 204-226. https://doi.org/10.1177/000312240807300202
  117. Younger, A. J., & Daniels, T. M. (1992). Children's reasons for nominating their peers as withdrawn: Passive withdrawal versus active isol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8(5), 955-960. https://doi.org/10.1037//0012-1649.28.5.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