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y of color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7초

Color Preference and Personality Modeling using Fuzzy Logic

  • Kim, Kwang-Baek;Chae, Gyoo-Yong;Abhijit S. Pandya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권1호
    • /
    • pp.32-35
    • /
    • 2004
  • Human ability to perceive colors is a very subjective matter. The task of measuring and analyzing appropriate colors from colored images, which matches human sensitivity for perceiving colors, has been a challenge to the research commun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pproach, which involves the use of fuzzy logic and reasoning to analyze the RGB color intensities extracted from sensory inputs to understand human sensitivity for various colors. Based on this approach, an intelligent system has been built to predict the subject's personality. The results of experiments conducted with this system are discussed in the paper.

노인의 색지각적 특성을 고려한 유료 노인주거 실내공간의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Guide of Fee Charging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Elderly reflected in Color Perception Characteristic)

  • 송춘의;김문덕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247-256
    • /
    • 2007
  • 본 연구는 인간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눈이 노화되어 감으로서 노인의 시각 노화과정에서 보이는 시지각과 관련된 정보습득 및 해석상의 색지각을 통한 특징을 반영하여 노인의 주 생활환경인 유료 노인주거 시설의 실내 공용공간의 설계지침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시각과 70세와 80세 후반까지를 모의 수정체를 이용하여 각 세대별 시지각을 통한 색채의 오류판단을 파악하였다. 노화에 따른 노인의 황변화 및 색지각 특성을 바탕으로 실내 공용공간의 색채 설계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지 배색으로 유사조화 보다 대비조화를, 한색보다 난색계열을 사용함를 파악하였으며, 노인의 황변화에 따른 색지각 특성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PDF

VDT 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행동과학적 접근: 즉각적 피드백과 정보적 프롬프트의 상대적 효과 검증 (The Behavioral-Sciences Approach for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System Disorders for VDT Worker: The Relative Effects of Immediate Feedback and Informational Prompt)

  • 문광수;오세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77-8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immediate feedback and informational prompt on safe sitting behaviors that may cause VDT syndromes. Participants were three white color workers and an ABCB within-subject design was adopted. Safety Posture System was developed specifically for the present study. The system could detect participants' unsafe sitting postures using sensors and provide feedback and prompt on the computer monito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immediate feedback and informational prompt considerably increased safe sitting behaviors. More importantly, the immediate feedback was more effective than the informational prompt in increasing safe sitting behaviors.

영화 <친절한 금자씨>의 복식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 주인공 복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stume and the inner symbolic meaning of the movie -Focusing on Keum-Ja's Costume-)

  • 장미영;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1호
    • /
    • pp.16-2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know the expressed form and color and also to examine the inner symbolic meaning of the movie "Sympathy for Lady Vengeance" by producer Chan-Wook Park. In the movie, the main character Geumja has double personality, having both images of a wicked woman and a woman saint, and she showed the clothing of both good and evil. For example, while she was in prison, her prisoner uniform while she was taking care of her inmates, her pajama which is the symbol of innocence when she was atoning and praying, Geumja's appearance wasn't fabulous when she was wearing baker's cloth that symbolize pure inside. But in contrast, Geumja who was released from prison planned and execute vengeance, dress colorful dress and primary color make-ups. Blue color coat with gloomy mood, black leather coat with the image of female warrior, and the slip with intensive image and etc express Geumja's will of revenge. Like this, depend on the psychology of main character Geumja, it's easy to recognize the change of clothing and color, and it'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ymbolic meaning in it.

나이, 성 별 선호색과 감성이미지에 의한 자동차 색에 대한 비교 연구 (The Comparison Study Against Preference Colors and Emotional Image of Car Colors According to an Age and Gender)

  • 이창민;신광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66-178
    • /
    • 2012
  • 감성 세대로의 진입에 따라 소비자들의 선호 색을 반영한 자동차 선호 색상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디자인과 소비 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계층별 선호색과 감성 이미지에 의한 자동차 색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 조사 대상은 연령대 별, 성별에 따라 남, 여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을 기준으로 8분류로 나누어 각각 30명씩 실시하였다. 선호 색상은 검은색, 흰색, 하늘색, 보라색, 분홍색, 주황색 순으로 나타났으며 검은색, 흰색, 회색을 제외한 색상은 파란색, 노란색, 보라색 순으로 나타났다. 감성적인 자동차 색상을 색상으로 보여주었을 때와 색상으로 보여주지 않았을 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좋아하는 색상은 감성에 따르고 있으나 실제로 자동차 이미지가 보수적으로 인식되어 밝은 유채색 차의 선택을 주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아직은 감정표출에 있어 소극적임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색채마음표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마음상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Color Mind Expression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Mindedness of University Students)

  • 백현기;윤지원;하태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117-124
    • /
    • 2020
  • 색채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교육 이외에도 인간의 정서, 행동, 신체 간의 관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색채표현을 관찰하여 대학생의 내면과 성향을 이해하고, 색채표현활동이 심리표출과 자아표현, 감정 해소의 수단이 될 수 있다고 가정하여, 색채마음표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마음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찾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 색채마음표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내면 감정과 정서 표현에 영향을 미쳤으며, 색채심리와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취업준비 등의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색채마음표현 프로그램이 부정적 정서에 긍정적 및 심리적 회복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색채심리치료를 위한 VR색채영상의 영향 (The Influence of VR Color Image for Color Psychotherapy)

  • 홍기윤;이언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376-384
    • /
    • 2017
  • 색채치료는 고유의 진동과 주파수를 가진 색을 이용하여 심리적인 문제를 치료하는 진단 방법이다. 색은 주관적인 심리가 강하여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색이나 안정이 되는 색을 봄으로서 심리 안정에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감정에 다양한 영향을 주는데, 이러한 감정을 평가하기 위해 뇌파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스트레스 설문지(BEPSI-K)에 응답한 뒤, 빨간색과 파란색 두 가지의 VR색채영상을 시청하였다. 이 때, 뇌파를 통해 측정 가능한 4가지의 감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여 실시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설문지를 사용하여 감정 지수를 수치화하였고, 3D 가상현실 상에서 색채 이미지 영상이 감정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영화 「아가씨」 의상 색채 연구 - 여주인공 히데코 의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stume Color of the Film 『Handmaiden』 - Focused on the Heroin 'Hideko's costumes -)

  • 양정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7-265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lors of the costumes in the film 'The Handmaiden'. The author categorized and examined the hue and tone of the main character's costume as well as provided an adjective image survey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audience in order find if the intended story of the director is delivered to the audience through costume colors. Study method analyzed 25 set costume colors of the heroine 'Hideko'. The color analysis were analyzed by capturing DVD images that showed the costume of 'Hideko'. The colors of costumes were analyzed by recognition through the eyes based on the IRI, Hue, and Tone 120.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IRI adjectives image were conducted through the survey. Costume hue of the heroine 'Hideko' in the film 'The Handmaiden' were black, yellow, white, green, and purple. There were many colorful costumes in the movie. Tones were very pale, deep, bright, vivid, strong, and pale. Chroma were evenly distributed and brightness were distributed in the order high, middle, and low. They were interpreted as the intention of showing the situation and psychology of 'Hideko' in various scenes of the film through various costume colors. Color images of the film 'The Handmaiden' were classified as feminine, mature, classy, delicate, classic, noble, polished, refined, showy, western, mellow, pure, and decorative.

기계.자동차.조선업체 작업자 대상 공정별 작업환경 및 작업복 색채에 관한 의식 조사 (A Survey of the Workers on Colors o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orking Clothes according to Process in Machinery.Automobile.Shipbuilding Companies)

  • 장귀연;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2호
    • /
    • pp.110-12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finding the demand and perception about color situa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including work places and working clothes according to the workers in the machinery automobile shipbuilding companie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ing 679 work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through frequency, mean, cross tabs analysis by SPSS for windows 17.0. As a result, most of the workers responde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current working environment and the colors of their working clothes. However, the workers held a perception that influence that the colors of the working environment has on their psychology and safety or the colors' role was relatively significant. And they had a very positive expectation for the effect of the working clothing's color planning. The study would serve as the beneficial information for formulating the safer and more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in industrial work places as well as a basic material for the subsequent research on colors.

그림의 '부드러운-딱딱한' 정도의 평가 방법 (A Method to Evaluate Rate of 'Soft-Hard' In a Drawing)

  • 윤석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963-397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미술치료에서 윤곽선의 예리성으로 형태를 평가하고 컬러이미지스케일을 통해 색채를 평가하여 '부드러운-딱딱한'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회귀모형을 사용하며 종속 변수는 색채 전문가가 그림을 '부드러운-딱딱한'으로 평가한 순위가 된다. 독립변수는 그림의 명도 및 채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그림의 색채 수, 픽셀의 양, 클러스터의 수, 윤곽선의 길이 및 예리성 등을 고려한다. 단계별 회귀분석에 의하여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적절한 독립변수들을 선정한다. 평가자 간의 신뢰성을 살피고 평가자 순위와 시스템 순위 간의 순위상관계수를 통해 시스템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객관적이고 정량적 평가를 가능케 함으로써 색채심리 연구, 미술치료뿐만 아니라 패션, 섬유, 인테리어 산업 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