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VR Color Image for Color Psychotherapy

색채심리치료를 위한 VR색채영상의 영향

  • 홍기윤 (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의료IT공학과) ;
  • 이언석 (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의료IT공학과)
  • Received : 2017.05.16
  • Accepted : 2017.08.13
  • Published : 2017.10.28

Abstract

Color therapy is a diagnostic method for treating psychological problems using unique vibration and frequency color. The color has strong subjective psychology, it can give psychological stabilization effect as a spring as a favorite color and stability become personally personal. Also, to give various influences on emotion, we can obtain information via brain wave to evaluate these emotions. In this research, before viewing two kinds of VR color images of red and blue, responding to the stress questionnaire(BEPSI-K) via a mobile terminal. At this time, we analyzed the real-time we used four emotional data measurable via brain waves and grasped the user's emotional state. In addition, the stress questionnaire was used to quantify the emotion degree,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on how the color image affects the change of emotions with 3D virtual reality.

색채치료는 고유의 진동과 주파수를 가진 색을 이용하여 심리적인 문제를 치료하는 진단 방법이다. 색은 주관적인 심리가 강하여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색이나 안정이 되는 색을 봄으로서 심리 안정에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감정에 다양한 영향을 주는데, 이러한 감정을 평가하기 위해 뇌파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스트레스 설문지(BEPSI-K)에 응답한 뒤, 빨간색과 파란색 두 가지의 VR색채영상을 시청하였다. 이 때, 뇌파를 통해 측정 가능한 4가지의 감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여 실시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설문지를 사용하여 감정 지수를 수치화하였고, 3D 가상현실 상에서 색채 이미지 영상이 감정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자, "반야심경 명상과 심리치료," 한국선학, 제27권, pp.271-305, 2010.
  2. 김진성, 김승훈 "사용자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101-11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2.101
  3. 황은철, 우예림, 조준모, "상대의 생각을 읽는 뇌파 시스템," 한국전자통신학회 학술대회지, 제9권, 제2호, pp.501-504, 2015.
  4. 김희선, 이창구, 김남균, 김성중, "색 자극에 대한 뇌전위 분석과 신경망 학습을 통한 인간 감정의 정량화에 관한 연구,"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국내학술대회 논문집, 제2권, pp.1628-1630, 1997.
  5. 안예진, 연제혁, 유길상, 이원형, "색채의 정신생리학적 영향에 대한 자발 뇌파 분석," 한국인터넷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7권, 제1호, pp.565-569, 2006.
  6. R. B. Amber, The color therapy: Healing with color, 1983.
  7. 김미경, "색채프로그램과 예능프로그램을 활용한 대학생의 심리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pp.155-166,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6.155
  8. 이슬이, 장윤석, 류수아, "시각 자극에 의한 집중도 관련 뇌파분석," 한국전자통신학회 학술대회지, 제7권, 제2호, pp.392-396, 2013.
  9. 이슬기, 우효정, 유성필, 김동우, 안재형 "의류 영상에서 컬러 영상 척도를 이용한 감정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1-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001
  10. 이연란, "이미지 색채 속성을 활용한 감정 정량화 알고리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1-9,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001
  11. 강동기, 김동준, 김흥환, 고한우, "뇌파를 이용한 4가지 감정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감정과학회 추계학술대회, 제2001권, 제0호, pp.87-90, 2001.
  12. 최지현, 김정구, "초음파 검사에 의한 자궁근종과 스트레스의 상관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277-283,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77
  13. S. H. Frank and S. J. Zyzanski, "Stress in the clinical setting: the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J Fam Pract, Vol.26, No.5, pp.533-539, 1988.
  14. J. H. Yim, J. M. Bae, S. S. Choi, S. W. Kim, H. S. Hwang, and B. Y. Huh, "The validity of modified Korean-translated BEPSI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as instrument of stress measurement in outpatient clinic," J Korean Acad Fam Med, Vol.17, No.1, pp.42-53, 1996.
  15. I. H. Hwang and D. H. Oh, "Questionnaires for Assessing Stress and Mental Health," Hanyang Med Rev, Vol.34, No.2, pp.91-95, 2014. https://doi.org/10.7599/hmr.2014.34.2.91
  16. 홍근주, 김수미, 이범천, 이동희, 안성관, "컬러테라피가 스트레스와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지, 제7권, 제1호, pp.51-59, 2009.
  17. 서복희, 이근매, "색채심리의 유효성과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제9권, 제1호, pp.139-160, 2013.
  18. 김민경, 류의욱, "뇌파분석을 통한 색상의 선호도 분석 가능성," 감성과학, 제14권, 제2호, pp.311-320, 2011.
  19. R. Kuller,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illumination and color in the interior environment," Jounal of Light and Visual Environment, Vol.10, No.2, pp.33-37, 1986.
  20. 엘케 뮐러 메에스, 컬러파워, 북스캔, 2003.
  21. 권혁인, 이현정, 박진완, "2D영상과 3D 입체영상에서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 몰입도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157-164, 2011.
  22. 이장한, "가상현실로 들어간 심리학," 한국심리학회지, 제23권, 제2호, pp.87-104, 2004.
  23. 임소혜, 정지인, "3D 영상의 입체성이 콘텐츠 특성에 따라 이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11-22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