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ambivalenc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3초

노부모의 의존성 및 과잉간섭과 중년자녀의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 있어 노부모에 대한 양가감정의 매개효과: 자녀의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The Mediation Effects of Ambivalence for Elderly Parents on the Relations among Dependence and Intrusiveness of Elderly Pare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Children: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문정희;안정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227-238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on effects of adult children's ambivalence for elderly parents in the rela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children with dependence and the intrusiveness of elderly parents that examines the difference of mediation effects by children's gender. We collected data from 659 middle aged children of 40 to 59 years old who have living mother or father.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diation effects of ambivalence for elderly parents in th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children and dependency and intrusiveness of elderly parents. The perceived dependence and intrusiveness of elderly pare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mbivalence of middle aged childen for their elderly parents. Ambivalence for elderly parent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children. In addition, the dependence and intrusiveness of elderly parents did not directly influe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children. Second, the mediation effect of ambivalence for elderly parents indicated a gender difference of middle aged children. The dependence of elderly parents affected the ambivalence for elderly parents in the woman group and the intrusiveness of elderly parents only affected ambivalence for elderly parents in the man group.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

한국판 세대 간 심리적 양가성 척도 타당화: 청년자녀를 중심으로 (Psychometrics of a Korean intergenerational psychological ambivalence scale for young adult children)

  • 이진경;이재림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5-130
    • /
    • 2018
  • Objectiv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Intergenerational Psychological Ambivalence Scale (KIPAS) for young adult children. Method: Data came from 1,140 Korean young adults aged 19-34, who were never married and had at least one living parent. We translated the individual-subjective dimension of Zygowicz's (2006)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 Scale from English to Korean. The individual-subjective dimension had eight items that directly measured intergenerational psychological ambivalence (D-KIPAS) and 10 items that indirectly measured intergenerational psychological ambivalence (I-KIPAS). Results: The D-KIPAS and I-KIPAS items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both for the mother and the fath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D-KIPAS items loaded on one factor after controlling for method effects, which allowed error variances among the four non-reversed items to covary.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items of I-KIPAS had good reliability and loaded on the same factor. The mean score of D-KIPAS and the calculated score of I-KIPAS were significantly but moderately correlated, which indicates that the D-KIPAS and I-KIPAS assess correlated but distinct aspects of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 Correlations among D-KIPAS, I-KIPAS, and the proxy variables of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nd conflict supported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KIPA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oth D-KIPAS and I-KIPAS are reliable and valid tools to measure intergenerational psychological ambivalence among Korean young adults.

정서표현 양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연구 ; 대학생을 대상으로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at Impact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 College Students)

  • 황희숙;이영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35-345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대인관계 속에서 느끼는 정서표현 양가성이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경기, 서울 대학생 300명 대상으로 직접 1대1 설문조사 하였고 이 중 부적절한 응답 5부를 제외한 295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서표현 양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자기방어 양가성은 주관적 안녕감에 강한 부적 영향을 미치었으나 관계관여 양가성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그리고 심리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는 자기방어 양가성에서는 주관적 안녕감에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관계관여 양가성에 있어서의 심리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는 주관적 안녕감에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표현 양가성에서 그 동기의 속성인 관계 관여는 그 자체가 심리적 유연성 역할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과 심리적 유연성은 자기방어 양가성 에는 부적인 영향과 주관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조절변수로의 효과를 보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대학생 스스로 적극적인 경험수용을 통하여 심리적 유연성을 키울 수 있도록 대학생 상담현장에서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20대 성인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변인으로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Social Anxiety of Young Adults in Twenties: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s Mediators)

  • 김대희;김명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1호
    • /
    • pp.51-71
    • /
    • 2021
  • 본 연구는 20대 성인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온라인으로 만 20대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불안 사이에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가 지각하는 사회불안에 정적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과정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정적 영향을 줄 때,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 모두 매개변인으로 기능하여 사회불안에 정적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이 결과는 국내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뿐 아니라 20대를 대상으로 한 외국의 선행연구와도 많은 부분이 일치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의 아동청소년 뿐만 아니라 20대 성인에게도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적용 가능함이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것과, 그 사회불안 감소에 관한 심리학적 개입의 필요성과 그 실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과제와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직장인의 정서표현신념이 전문적도움추구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과 심리적유연성의 이중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Employees'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 on Attitudes toward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Seeking: the Mediating Effetc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 하세리나;이수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748-760
    • /
    • 2021
  • 본 연구는 직장인의 정서표현신념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심리적 유연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세 이상의 직장인 346명(남 176명, 여 17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정서표현신념, 정서표현 양가성, 심리적 유연성,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를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한 뒤 SPSS와 Macro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정서표현신념, 정서표현 양가성, 심리적 유연성,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신념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관계에서 심리적 유연성의 매개역할은 유의미하였고,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정서표현신념이 정서표현 양가성과 심리적 유연성을 거쳐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로 이어지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인의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이들의 도움추구를 도울 수 있는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정서표현양가성과 심리적 부적응,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집단주의 문화성향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Collectivism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 박원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80-8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들의 정서표현양가성이 심리적 부적응과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관계에서 집단주의적 문화성향이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정서표현양가성의 문화차에 대해서 많은 연구들에서 가능성만을 제시할 뿐 실증적 연구는 없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남녀 138명을 대상으로 정서표현양가성, 문화성향, 심리적 부적응증상,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설문을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했다.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정서표현양가성, 집단주의 문화성향, 이들 간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표현양가성은 심리적 부적응증상과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집단주의 문화성향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서표현양가성은 심리적 부적응증상을 증가시키고, 주관적 안녕감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이러한 관계에서 집단주의 문화성향은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결과에 대해 정서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이 집단주의 문화와의 관계에서 보이는 차이, 그리고 이들의 임상적 함의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역기능적 신념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Belief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 이주희;서은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641-652
    • /
    • 2019
  • 이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G광역시와 J도 소재 4년제 대학생 305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역기능적 신념, 정서표현 양가성, 대인관계문제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SPSS 22.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역기능적 신념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각각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역기능적 신념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상담현장에서 부모의 통제로 인해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대학생 내담자를 효율적으로 도울 수 있는 상담전략을 설정하는 데 유용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노부모가 인지하는 성인자녀에 대한 양가감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mbivalence of Elderly Parents Toward Their Adults Children)

  • 이신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33-647
    • /
    • 2013
  • This study considered whether intergenerational ambivalence has implications for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so as to improve relationship between adults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the qualities of the elderly lives. Subjects were 346 elderly parents whose ages 60 over. The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reliabilit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one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The degrees of elderly's ambivalence of their adult children were 10.07, the data showed lower than median. 2)The elderly's ambivalence level significantly according to spouse, career, religion, relation of the adults children, and ambivalence level were associated with importance of the adults children, education. 3)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elderly's ambivalence level were spouse, importance of the adults children, education, religion, relation of the adults children, career, which explained about 19% of the total variance.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남녀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on Depression in Adolescent Boys and Girls)

  • 이영화;지연경;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49-168
    • /
    • 2012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maternal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EE) an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on adolescent depression (depressed affect, positive affect, somatic symptoms and activity inhibition, interpersonal difficulties). Data were taken from 233 middle school students (128 boys, 105 girls) and their mothers. Regression analyses showed varying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Boys with high maternal AEE had lower positive affect, and higher depressive affect, somatic symptoms and activity inhibition, and interpersonal difficulties, whereas girls' moods were not influenced by maternal AEE. In addition, boys with problems in mother-dolescent communication exhibited lower positive affect, higher depressed affect and interpersonal difficulties, but open communication was not related to any depressive symptoms. The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type did not appear to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girls either. Both boys and girls both had less open communication and more problem communication with mothers experiencing high AEE. Problem communication with mother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EE and interpersonal difficulties in boys only. Examination of maternal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rovides a deeper context for our understanding of negativ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especially in mother-adolescent boy dyads.

맞벌이 가정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화 경험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과 외로움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Effect of Upper Elementary Children's Parentification on their Smartphone Dependency in Double-Income Familie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 김두영;박주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459-474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the smartphone dependency of upp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ouble-income families and to verify whethe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sequen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smartphone dependency. The participants were 311 upper-elementary school students (4th to 6th graders; 126 boys, 40.5%) in doubleincome households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leted by the participant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Mplus 8.7 softwar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direct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the smartphone dependency of the children from double-income families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l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smartphone dependency, while loneliness did not. Lastly, parentification influenced smartphone dependency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ng channel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terventions for smartphone-overdependent children from double-income families should place emphasis on children's psychological difficulties attributed to parentific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lleviating the level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to address the issue of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in double-income families, suggesting possible involvement and support at both household and societal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