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nas

검색결과 2,967건 처리시간 0.028초

PAHs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분해 미생물 분리 동정 (PAHs Degrading Bacterium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for Biological Treatment)

  • 김만;최경균;고명진;박정훈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6호
    • /
    • pp.70-77
    • /
    • 2007
  • 토양에 존재하는 다핵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의 처리를 위하여 자연계로부터 분리된 균주는 Pseudomonas sp.로 동정되었으며, 이 균주를 KM1으로 명명하였다. 균주의 최적 성장조건은 회분식 배양에서 $35^{\circ}C$, pH 7로 나타났다. 분리균주 Pseudomonas sp. KM1에 의한 7-PAHs(naphthalene, acenaphthylene, acenaphthene, fluorene, phenanthrene, fluoranthene and pyrene)의 분해실험결과 배양 1일 만에 fluoranthene을 제외한 naphthalene, acenaphthylene, acenaphthene, fluorene, phenanthrene and pyrene 이 분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토양유무에 따른 PAHs 분해실험 결과, 흡착분배계수와 유기물함량(%)이 큰 신동방이 경방이나 봉동보다 분리균주에 의한 생분해율(%)이 낮았다. 토양에 오염된 유기화합물의 분배특성과 토양 내 유기물함량(%)이 오염된 토양의 생물학적 처리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미생물 Pseudomonas sp. W7이 생산하는 Extracellular Agarase의 정제 및 Gene Cloning (Purification of Extracellular Agarase from Marine Bacterium (Pseudosmonas sp. W7) and Molecular Cloning of the Agarase Gene)

  • 공재열;배승권
    • KSBB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37-45
    • /
    • 1996
  • 한국의 남해안에서 한천 분해능이 뛰어난 해양 미 생물을 분리하여 통정한 결과 Pseudomonas 속으로 판명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균을 Halophilic P Pseudomonas sp. W7이라 명영하였다. 이 균주는 호염성 세균으로, 한천의 존재 하에서 높은 효소활성 을 가지는 extracellular agarase를 생산해 내었다. 이 extracellular agarase를 DEAE-Cellulose ani- on exchange chromatography와 gel filtration을 통해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agarase는 SDS-PAGE 를 통해 약 89KDa의 분자량을 지니는 single protein band염을 확인하였다. 한편 agarase의 대량생 산을 위하여 host cell Eo coli JM83과 vector pUC19를 이용하여 gene cloning을 행하였다. Pseudomonas sp. W7의 chromosomal DNA가 삽 입 된 균주 중에 서 agarase activity를 나타내는 E. coli JM83/pSWl과 Eo coli JM83/pSW3를 선멸하 였으며, 전기영통 실험결과 이들은 각각 307Kb, 3.0 K Kb의 chromosomal 단편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 다. 또한 agarase 유전자가 압입된 변이 균주(B)는 inclusion body 형태의 interacellular agarase를 세포 내에 축적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사과탄저병균(Glomerella cingulata)에 대한 Pseudomonas sp. DGUM 5051의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Pseudomonas sp. DGUM 5051 Against Apple Bitter-rot Causing Fungus, Glomerella cingulata)

  • 김정미;이민웅;한영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458-465
    • /
    • 1998
  • 사과탄저병균, Glomerella cingulata에 선택적으로 항균활성이 있는 세균을 분리한 후 형태 및 생리화학적인 특성을 기준으로 동정하여 Pseudomonas sp. DGUM 5051로 명명하였다. 분리균의 생장을 위한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6.0과 $30^{\circ}C$이었고, 최적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pH와 온도는 각각 7.0와 $24^{\circ}C$이었다. 사용한 복합배지 중 생장 및 항균활성에 있어서는 Brucella, Brain heart infusion과 LB배지가 우수하였다. Mineral salts 배지에 유일 탄소원, 질소원 및 인산원으로 각각 Sucrose, $KNO_3$$K_2HPO_4$를 첨가하였을 때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Pseudomonas sp. DGUM 5061의 항균활성은 배양 12시간 경과 후에 나타났다.

  • PDF

Pseudomonas putida에서 생산된 전세포 benzoylformate decarboxylase의 활성특성 및 고정화 캡슐 제조 (Characteristic of whole cell benzoylformate decarboxylase from Pseudomonas putida)

  • 정재용;하태욱;홍진혁;오창엽;박중곤
    • KSBB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264-272
    • /
    • 1999
  • Mandelate pathway를 거치는 Pseudomonas putida(KCTC 1751)의 전세포 benzoylformate dcarboxylase를 이용하여 benzoylformate를 benzaldehyde로 변환하였고 성장배지의 조성이 cell내부에 축적되는 benzoylformate dcarboxylase의 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세포효소의 재사용을 위하여 calcumalginate 캡슐 고정회법을 이용하여 캡슐고정화 Pseudomonas putida를 제조하였다. 캡슐 고정화 미생물을 M3배지에서 3일간 배양한 후 M1배지에서 1일간 배양한 결과 77.75g/L의 미생물 건조중량을 얻었다. 캡슐 고정화 전세포 benzoyltormate decarboxylase의 비활생도는 자유배양에 의한 전세포효소의 비활성도에 비해 약 1/2값을 나타내었으며 캡슐 고정화 전세포 benzoyltormate decarboxylase를 20회 재사용시 20%의 실활을 보였으며 캡슐 재사용 30회 이후 미생물의 건조중량은 약 10% 감소를 보였다.

  • PDF

지하수에서 분리한 은(銀) 축적균주에 대한 축적조건 및 특성 (Characterization and Condition of Silver Accumulation Bacteria in Groundwater)

  • 배진희;민병례;한명수;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73-27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특히 은(銀)을 축적하는 세균을 지하수로부터 분리, 동정하고, 분리 균주의 특성 및 중금속 축적조건을 규명하여 최대축적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검토하였다. 서울시 지하수 10개 정점으로부터 분리된 은(銀) 축적 세균 중 가장 축적능이 뛰어난 두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이들은 Pseudomonas fluorescens와 Bacillus cereus로 동정되었다. 본 분리 균주는 은(銀)의 농도가 5 ppm, 10 ppm, 20 ppm으로 높아질수록 생장 저해를 심하게 받았다. pH가 낮을수록 세포의 성장이 저하되기는 하였지만 세포 당 은(銀) 축적율은 오히려 증가하였으며 24시간 이내에 최대축적이 이루어졌다. 이때 은(銀) 축적량은 Pseudomonas fluorescens의 경우 약 1.9 $mg/g{\cdot}cell$ 이었으며 Bacillus cereus는 약 1.65 $mg/g{\cdot}cell$ 이었다. 은(銀) 처리시, Bacillus cereus에서 126 KDa, 89 KDa, 25 KDa 등 3개의 단백질이 특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seudomonas fluorescens에서는 101 KDa, 68 KDa, 27 KDa 크기의 단백질이 감소하였으나 34 KDa 크기의 새로운 단백질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 PDF

Pseudomonas alkylphenolica KL28에 존재하는 3종류의 p-cresol 분해 경로 및 유전자 발현 (Identification of three pathways for p-cresol catabolism and their gene expression in Pseudomonas alkylphenolica KL28)

  • 성진일;이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98-30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p-cresol 초기 분해에 관여하는 기존의 lap과 pcu 유전자군 외에 새로운 pch 유전자군을 Pseudomonas alkylphenolica KL28로 부터 동정하였다. 이 유전자군(pchACXF-pcaHG-orf4-pcaBC)은 p-cresol을 ${\beta}$-carboxy-cis,cis-muconate로의 전환을 촉매할 수 있는 효소를 암호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유전자 군은 영국에서 분리된 Pseudomonas putida NCIMB 9866과 9869의 plasmid에서 유래된 pch 유전자 군과 동일하여, 이들 유전자군은 종간 horizontal gene transfer로 전달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각 유전자군의 관련 유전자의 변이와 gfp 레포터를 갖는 프로모터의 발현 분석을 통해 3개의 분해 유전자군이 모두 p-cresol의 분해에 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pch 유전자는 p-cresol에 의해 유도되며, 고체 및 액체 배지에서도 pcu 유전자군이 가장 높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cu 유전자 변이주는 p-cresol을 이용하여 버섯모양의 공중체(aerial structure) 형성하지 않았으므로, 탄소원의 이용 속도가 다세포 구조 형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Pseudomonas sp. G19에 의한 배추의 염 스트레스 경감 및 생장 촉진 (Pseudomonas sp. G19 Alleviates Salt Stress and Promotes Growth of Chinese Cabbage)

  • 이건웅;이귀재;채종찬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68-371
    • /
    • 2014
  • 염 스트레스를 비롯한 다양한 비생물학적 스트레스는 식물의 생장저해와 작물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계화도 간척지 토양에서 식물생장 촉진 세균을 분리하여 Pseudomonas sp. G19로 명명하였다. G19 균주는 36시간 배양 후 $7.5{\mu}g/ml$의 indole acetic acid를 생산하고 불용성인산을 25% 가용화시켰으며, 식물의 에틸렌 감소와 관련된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deaminase를 발현하였다. 또한 150 mM NaCl에 침지된 염 조건의 토양에서 재배된 유묘기 배추를 이용한 실증실험에서 G19 균주는 배추의 생체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염 스트레스의 경감 및 생장 촉진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2,4,5-trichlorophenoxyacetic acid 를 분해하는 세균의 분리 (Isolation of 2,4,5-Trichlorophenoxyacetic Acid-Degrading Bacteria)

  • 박영두;음진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7-51
    • /
    • 2000
  • 화합물을 분해하는 우수균주 개발의 기초연구로서, 대전 근교 지역의 논과 밭에서 채취한 토양 표품으로부터 100균주의 세균을 분리하였고, 그 중 2,4,5-T를 단일 탄소원으로 하는 고체 최소 배지에서 잘 자라는 균주 19균주를 선별하였다. 이들 균주를 등정한 결과 Pseudomonas속이 11균주 Acinetobacter속이 4균주, Alcaligenes속이 1균주이고 3균주는 미동정되었다. Pseudomonas속으로 밝혀진 MU19와 MU92는 네가지 염소계 화합물들(2,4-D, 2,4,5-T, MCPA 그리고 3CB)을 모두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소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Acinetobacter로 동정된 MU38균주가 접종 48시간 후에 가장 높은 분해도를 나타내었고, MUl9, MU57, MU73과 MU92는 그 다음으로 높은 분해도를 나타냈다. 실험결과 선별된 19균주 중 Acinetobacter sp. MU38 그리고 Pseudomonas sp. MU19과 MU92는 염소계 방향쪽 화합물에 대한 넓은 분해능을 갖고 있으며, 특히 2,4,5-T에 대한 높은 분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한국 토양(土壤)에서 분리(分離)된 Pseudomonas putida, Penicillium sp. 및 Aspergillus niger에 의한 난용성(難溶性), 인산염(燐酸鹽)의 가용화(可溶化) (Solubilization of Insoluble Phosphates by Pseudomonas putida, Penicillium sp. and Aspergillus niger Isolated from Korean Soils)

  • 서장선;이상규;김광식;성기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8-286
    • /
    • 1995
  • 토양(土壤)에 축적(蓄積)되어 있는 난용성(難溶性) 인산염(燐酸鹽)을 이용(利用)하고자 인산염(燐酸鹽) 가용화능(可溶化能)을 가지고 있는 Pseudomonas putida, Penicillium속(屬) 및 Aspergillus niger를 우리 나라 주요(主要) 경작지(耕作地) 토양(土壤)에서 분리(分離)하여 이들 균(菌)의 용해능(溶解能)을 측정(測定)하였다. 인산염(燐酸鹽) 용해량(溶解量)은 배지내(培地內)의 pH 저하(低下)와 밀접(密接)한 관계(關係)를 가지고 있었다. Pseudomonas putida, Penicillium속(屬)에 비(比)해 Aspergillus niger의 인산염(燐酸鹽) 가용화능(可溶化能)이 높았다. Aspergillus niger에 의한 인산염(燐酸鹽) 종류별(種類別) 최대(最大) 가용화량(可溶化量)은 질소원(窒素源)이 $KNO_3$일 때는 aluminium phosphate 776ppm, hydroxyapatite 665ppm, tai-calcium phosphate 593ppm이었으며 인광석(燐鑛石)은 질소원(窒素源)이 $(NH_4)_2SO_4$일 때 411ppm이었다.

  • PDF

유독성 4-Chlorobiphenyl의 생분해를 위한 탈염소화 유전자의 클로닝 (Cloning of Dechlorination Genes Specifying Biodegradation of Toxic 4-Chlorobiphenyl)

  • 김치경;채종찬;한재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6-131
    • /
    • 1994
  • 4-Chlorobiphebyl(4CB)를 분해한 Pseudomonas sp. DJ-12가 가지고 있는 pcbABCD 유전자를 Escherichia coli에 클로닝한 결과, 재조합 균주인 E. coli CU1과 CU101은 모두 Pseudomonas sp. DJ-12에서와 같이 4CB를 분해하여 2,3-dihydrozybiphenyl(2,3-DHBP)을 생성하는 탈염소화 기능을 보여주었다. 특히 pcbAB를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인 pCU101을 가지고 있는 E. coli CU101은 Pserudomonas sp. DJ-12에서와 같이 4CB로부터 4-chlorobenzoic acid를 생성하지 않고 2, 3-DHBP만을 생성하는 탈염소화 기능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Pseudomonas sp. DJ-12의 염색체 DNA로부터 클로닝한 약 2.2kb의 pcbAB 유전자는 4CB로부터 2,3-DHBP만을 생성하는 탈염소화기능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