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inase K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37초

재조합 Escherichia coli 시스템을 이용한 폐흡충 cystein proteinase의 생산 연구

  • 홍성희;이길환;전희진;황현아;박성렬;황영보;박현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651-65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재조합 E. coli 시스템에 의한 재조합 cystein proteinase의 대량 생산을 위하여 4L 회분 배양 및 최적 지수 생장기에서의 IPTG- induction을 연속적으로 실시하였다. 발현된 rPwCP1 양은 진탕 배양 시스템에서의 결과와 비교해 볼때 현저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더불어 metal affinity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처리하여 전기영동을 수행한 결과, 목적 재조합 단백질만을 정제 및 농축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퇴비에서 식중독균 검출을 위한 DNA 추출 방법 비교 (Comparison of DNA Extraction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from Livestock Manure Composts)

  • 김성연;서동연;문지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57-56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퇴비에 존재할 수 있는 식중독균의 검출을 위하여 기존의 배양을 이용한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real-time PCR을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전자 증폭에 영향을 미치는 DNA 추출 방법에 따른 식중독균 검출 효율을 비교하였다. 적용한 방법은 가열 처리, 유기용매 및 흡착제 처리, 효소 처리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방법에 따른 DNA의 검출 효율을 실험 결과로 나타내었다. 가열 처리 방법에서는 가열 시간의 증가에 따라 DNA 검출 효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유기용매 및 흡착제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효소 처리의 경우에는 그람 양성균 보다는 그람 음성균의 DNA가 추출 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퇴비에서 30분 이상의 가열 처리와 효소의 처리를 통한 DNA 추출 방법은 real-time PCR을 적용한 식중독균 검출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결핵의 진단에 있어서 각종 DNA 추출방법의 비교 (Comparison of Various DNA Extraction Methods for Diagnosis of Tuberculosis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 김주옥;한표성;홍석철;이종진;조해정;김선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1호
    • /
    • pp.43-51
    • /
    • 1993
  • 연구배경 : 결핵은 아직도 한국에서는 중요한 질병의 하나이지만 결핵을 진단하기 위한 보편적인 방법들이 단점인 예민도와 검사기간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분자유전학에 PCR 기법이 도입된 이래 결핵균의 DNA를 추출하여 짧은 시간내에 결핵을 진단하고자 하는 많은 보고들이 있어 왔다. 그러나 보고된 방법들의 다양성과 각 방법에 따른 소요시간등이 매우 다른 것이 문제가 되고 있고 임상에서 빠른 시간내에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결핵율의 DNA를 분리한다면 보다 빨리 결핵을 진단하여 치료를 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결핵균의 DNA를 분리하는 방법중 가장 좋은 방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결핵율의 DNA를 추출하는 방법은 총 6가지의 방법으로서 SDS-microwave oven method, NaOH lysis method, Triton X-100-proteinase K method, Lysis buffer method, SDS-proteinase K method 및 Bead beater method를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사용된 균주는 Mycobacterium tuberculosis $H_{37}Rv$ strain 이었고 임상가검물중 도말양성 객담 5예 및 결핵성 뇌막염이 의심되고 도말음성이었으나 항결핵제 투여로 완치판정을 받은 환자의 뇌척수액 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된 primer는 IS6110의 123bp를 target DNA를 하였고 PCR반응은 각각 $94^{\circ}C,\;68^{\circ}C$$72^{\circ}C$ 로 각각 2분씩 총 30주기를 시행하였다. 결과 : $H_{37}Rv$ strain에서 각 방법으로 추출된 DNA를 10배씩 serial dilution하여 PCR을 시행한 결과 SDS-microwave oven법과 NaOH lysis법은 50 fg까지 양성이었으며 나머지 4가지 방법에서는 5fg까지 양성이었다. 또한 각각의 방법으로 도말양성 환자의 객담에서 PCR을 시행한 결과 전예에서 양성이었고 결핵성 뇌막염이 의심스러운 환자의 뇌척수액에서는 SDS-microwave법과 NaOH lysis법으로는 5예중 3예에서 양성이었고 나머지 4가지 방법으로는 5예중 4예에서 양성이었다. 결론 : 이상의 실험으로 경제적이고 간편한 측면에서 볼 때 SDS-proteinase K법이 가장 좋은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Plutella xylostella and Spodoptera litura after Feeding on Transgenic Cabbage Expressing Potato Proteinase Inhibitor II and Bar Genes

  • Lee, Yeon-Hee;Lee, Sang-Guei;Park, Beom-Seok;Lee, Young-Su;Jin, Yong-Moon;Kim, Ho-il;Suh, Seok-Cheo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3호
    • /
    • pp.145-150
    • /
    • 2004
  • Cabbage plants were transformed with the potato proteinase inhibitor II (PINII) gene, bar gene, and hpt gene using Agrobacterium. The expression of the PINII gene was driven by its own promoter which was wound-inducible. Ten transgenic plants were obtained from medium containing hygromycin as a selection antibiotic. The integration and expression of PINII and bar genes were confirmed by Southern and Northern hybridization. Growth and development of diamondback moths (Plutella xylostella) and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larvae were examined on $T_1$ plants. The weight of the larvae and pupae of these two insects grown on transgenic plants was not different compared to those grown on wild type plants. However, the pupation and emergence rate of diamondback moths and tobacco cutworms fed on some transgenic plants was lower than on wild type pl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INII transgene under the control of a wound-induced promoter may be used for control of insects in transgenic cabbage through reduction of insect progeny number.

Amoeba proteus의 표면흡착에 관한 세포화학 및 생화학적 특성 (Cytochem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ellular Adhesion in Amoeba proteus)

  • 안태인;곽인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1-180
    • /
    • 1986
  • 단백질 분해효소, neuraminidase 및 EDTA가 아메바의 배양기표면 흡착, 세포표면의 미세구조 및 생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concanavalin A(con A) cytochemistry 및 SDS PAGE에 의해 조사하였다. Con A cytochemistry에 의해 세포표면 바깥쪽의 filamentous(F)층과 안쪽의 amorphous(A)층이 쉽게 구분되었다. Neuraminidase로 처리한 아메바는 대조군에 비해 용기표면 흡착성과 펴짐이 증가하였으며 A층과 F층에 더 많은 con A결합부위가 노출되었다. Trypsin 및 proteinase K로 처리한 아메바는 각각 12시간, 48시간동안 용기표면에 부착하지 못하였으며, proteinase K의 처리는 A층의 con A결합부위 및 모든 glycoprotein을 제거시키는 효과를 낳았으며, trypsin은 세포막의 PAS염색물질에는 아무런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으나 A층과 F층의 con A결합부위를 제거하였다. 이들 효소 및 EDTA처리에 의해 세포 표면의 mucopolysaccharide 일부가 분리되었다. 아메바를 monovalent con A로 처리하였을 때도 아메바는 용기표면에 부착하지 못하고 cytolysis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아메바의 용기표면 흡착에는 세포막의 glycoprotein과 A층의 mucopolysaccharide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 PDF

Meat Tenderizer 제조에 관한 연구 -제2보 Asp. oryzae 생산 protease의 연육효과- (Study on Meat Tenderizer -Part II. Tenderizing ability of Enzyme from Asp. oryzae-)

  • 이정희;김건화;유주현;양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29-237
    • /
    • 1975
  • Protease생산(生産)을 위한 Asp. oryzae의 배양조건(培養條件), 생산효소(生産酵素)의 정제(精製) 및 정제효소(精製酵素)의 육연화(肉軟化)에 관한 효과(效果)에 대(對)하여 연구 하였다. Asp. oryzae가 생산(生産)하는 proteolytic enzyme이 육연화(肉軟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Asp. oryzae를 밀기울에 고체배양(固體培養)한 결과(結果) 최적조건(最適條件)은 배양일수(培養日數) 3일, 산수량(散水量) 130%, pH 6.5와 탄소원(炭素原)으로는 glucose 2%, 질소원으로는 urea 0.03%, mineral salts로 $MgSO_4$ 0.1%가 가장 좋았다. 2. Asp. oryzae 고정(固定)배양액으로부터 효소(酵素)를 추출(抽出)하고 그 추출액으로부터 유안염석(硫安鹽析) 및 Sephadex G-75 columm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정제(精製)하였다. 3. 정제(精製)된 enzyme은 산성(酸性)에서는 hemoglobin, 중성(中性), alkali성(性)에서는 casein를 기질(基質)로 사용한 결과 작용최적(作用最適) pH가 3.0, 6.6, $8.4{\sim}8.5$, $10{\sim}10.5$이었으며 pH의 안정성(安定性)범위는 $pH\;6{\sim}10$이었다. 4. 최적온도(最適溫度)는 $50^{\circ}C$ 이었으나 안정성(安定性)은 $40^{\circ}C$ 까지였다. 5. Metal ion 및 EDTA에 미치는 영향은 protease는 Ag ion에 저해 되었다. 또 ion 농도가 낮아짐에 따라 금속 ion에 의한 조해(阻害)는 감소되었다. EDTA에 의하여서도 조해(阻害)되었다. 6. Chicken과 bovine으로부터 myofibril과 actomyosin을 추출(抽出) 정제(精製)하여 attack시킨 결과(結果) 근원섬유단백질(筋原纖維蛋白質)의 MgATPase활성(活性) 및 Ca-ATPase활성(活性)은 현저하게 변화(變化)하였다. 따라서 본(本) 효소(酵素)는 연육소(軟肉素)로서 이용(利用)할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Proteinase 활성수용체-2로 유발된 백서족척 부종에 미치는 위릉채의 항염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Potentillae Chinensis Herba Water Extract on the Proteinase-activated Receptor2-mediated Paw Edema)

  • 임종필;이홍규;전훈;임보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444-1448
    • /
    • 2009
  • Potentilla chinensis Ser. (Rosaceae) has long been used for a remedy of diarrhea and inflammation in Korea. In this study,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Potentillae chinensis Herba water extract (PCX) was investigated in proteinase-activated receptor-2 (PAR2)-mediated rat paw edema. Paw edema was induced by injection of trypsin or trans-cinnamoyl-LIGRLO-$NH_2$ (tc-$NH_2$) into the hind paw of rats. PCX (10, 50, 100 and 200 mg/kg) was orally administered 1 h before the induction of inflammation. At doses of 50, 100 and 200 mg/kg, PCX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on both change in paw volume and vascular permeability. PCX (100 mg/kg) significantly inhibited PAR2 agonists-induced myeloperoxidase (MPO) activity in paw tissu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CX has an anti-inflammatory action in PAR2-mediated paw edema.

Proteinase 활성수용체-2 유발 흰쥐 발바닥 부종에 미치는 패장근 물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Patrinia villosa Extract on Proteinase-activated Receptor-2 Mediated Paw Edema)

  • 임종필;최훈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7-52
    • /
    • 2004
  • 패장 (Patrinia villosa Jussieu, Valerianaceae)의 뿌리는 한국에서 오래전부터 감염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패장근의 물 추출물 엑스 (PVWX)가 proteinase 활성수용체-2 (PAR2)에 의하여 유발된 흰쥐 발바닥 부종에 대한 항염증효과를 연구하였다. 발바닥 부종은 trypsin이나 $trans-cinnamoyl-LIGRLO-NH_2\;(tc-NH_2)$를 쥐의 발바닥에 주사하여 유발시켰다. PVWX (10, 50, 100 and 200 mg/kg)는 부종유발 1시간 전에 경구로 투여하였다 50, 100 및 200 mg/kg의 PVWX 투여시 부종의 부피와 혈관투과성의 변화에 유의성 있는 억제를 나타냈다. PVWX (100 mg/kg)은 발바닥 조직에서 PAR2 작동약으로 유발된 myeloperoxidase (MPO)활성을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PVWX가 PAR2로 유발된 쥐의 발바닥 부종에서 항염증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Leucocyte lysosomal proteinase에 의한 닭의 근섬유(筋纖維) 단백질(蛋白質) 분해(分解)에 미치는 NaCl과 pH의 영향(影響) (Influence of NaCl and pH on Hydrolysis of Chicken Myofibrillar Proteins by Leukocyte Lysosomal Proteinases)

  • 신승이;이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69-574
    • /
    • 1990
  • 닭의 근섬유(筋纖維) 단백질(蛋白質) 돼지의 백혈구(白血球)에서 추출(抽出)한 lysosomal proteinase에 의해서 분해(分解)될 때 미치는 NaCl과 pH의 영향(影響)에 대해서 연구(硏究)하였다. Leucocyte lysosomal proteinase에 의한 근섬유(筋纖維) 단백질(蛋白質)의 분해(分解)는 다른 pH를 갖는 Tris-maleate buffer에서 partial hydrolysis로 진행(進行)하였다. 분해(分解)는 높은 pH에서 더욱 심화(深化)되었으며, 여기에 NaCl이 첨가(添加)되었을 때 proteinase의 activity는 pH의 고저(高低)에 관계(關係)없이 더욱 증가(增加)함을 보여주었다.

  • PDF

Penicillium oxalicum(HCLF-34)으로부터 남조세균 (Anabaena cylindrica) 분해효소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Lytic Enzyme of Anabaena cylindrica by Penicillium oxalicum (HCLF-34))

  • 현성희;이호용;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4-19
    • /
    • 2000
  • Penicillium oxalicum(HCLF-34)의 세포외 분비효소로부터 ultrafilration, gel filtration chromatograph와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법을 이용하여 남조세균(Anabaena cylindrica) 분해효소를 분리하였다. 이 효소의 분자량은 약 22 kDa이며, renaturation SDS-PAGE에서 monomer로서 남조세균 분해 활성을 갖는다. 아미노산 서열은 N-말단부터$NH_(2)$-Glu-Ser-Tyr-Ser-Ser-Asn-Ala-Ala-Gly-Ala-Val-Leu-Ile---, 13개의 아미노산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아미노산의 homology를 조사한 결과 aspergillopepsin II precursor(acid protease A)와 13개의 아미노산 중 11개(84%)의 유사도를 나타내었고, acid proteinase EapC precursor과 13개 중 10개(81%)의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