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erty (M)

검색결과 2,898건 처리시간 0.037초

임플란트 지대주나사 코팅이 결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Dental Implant Abutment Screw Coating Materials on Joint Stability)

  • 임현필;박영선;방몽숙;양홍서;박상원;윤숙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2호
    • /
    • pp.157-169
    • /
    • 2009
  • 본 논문의 목적은 코팅처리의 기계적 성질과 임플란트 지대주나사의 코팅처리가 고정체와의 결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Megagen 임플란트 시스템과 직경 15 mm, 높이 1 mm의 티타늄원판을 사용하였다. 지대주 나사와 원판에 TiN, TiCN, 및 TiC를 코팅하여 실험군으로, 코팅처리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지대주나사를 32 Ncm로 체결한 후 풀림회전력과 조임회전각을 측정하고, 10만 번씩 저작 모방 시험을 실시하여 풀림회전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조임회전각은 TiCN, TiC코팅나사에서 코팅하지 않은 나사보다 크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풀림회전력은 TiCN, TiC코팅나사에서 코팅하지 않은 나사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저작 모방 시험후 코팅한 나사에서 코팅하지 않은 나사보다 풀림 회전력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풀림회전력은 건조상태와 습윤상태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TiC 코팅군은 저작 모방 시험 전에는 풀림회전력이 낮았지만 저작 모방 시험 후에는 낮은 마찰계수로 인한 높은 풀림회전력과 조임회전각을 가져 임플란트 지대주나사의 결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효율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

전통경관 보존계획을 위한 지정구역 설정에 대한 기초연구 - 선형(線形) 명승의 지정 현황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esignated Area for Conservation plan of Traditional Landscape - Focus on the Designation Status of Linear Scenic Sites -)

  • 이창훈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7-76
    • /
    • 2020
  • 본 연구는 명승 중에서 선 형태으로 지정된 대상을 중심으로 지정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명승 구역의 재검토 및 신규 지정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설정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보존관리자료를 바탕으로 113개소의 국내 명승 중 23개소의 선형 명승을 도출하였으며, 선형 자원특성은 계곡형, 통로형, 하천형, 능선형으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선형 명승은 형태적으로 연속성과 방향성을 지녀 대상지에서 나타나는 이용행태 또한 유사한 특징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FGI를 통해 추출한 선형 명승의 6가지 설정 요소를 기준으로 23개소의 대상지의 지정 현황을 살펴본 결과 자원중심 요소가 12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지번·필지 요소와 기준이 모호한 곳이 각각 8곳, 관리동선 요소가 5곳, 능선 요소가 4곳, 유역과 주변 경관 요소가 3곳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형지정 명승의 시계열상 특징은 2010년 이전에는 지정구역이 지번·필지가 지정을 위한 우선 요소로 고려되었으나, 2010년 이후에는 해당 자원을 중심으로 지정구역을 설정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대면적 특성을 갖는 명승 문화재 구역 내 사유재산권에 관한 내용과 더불어 명승의 본질에 입각한 보존이 고려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명승 구역의 지정 및 타당성 재검토에 있어 선형 명승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는 자원 중심 요소로 파악되었다. 선형명승은 해당 자원의 경계를 참조하여 지정구역이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경계에서 일정 폭원 내의 지역을 포함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변 경관을 보호하는 성격의 넓은 폭(500m 이내)의 현상변경구역에 대한 우선적인 등급기준 마련은 선형 명승의 향후 보존관리의 실효성을 위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다양한 단백질과 폴리펩타이드로 코팅된 PLGA 표면과 슈반세포와의 상호관계 (Interaction of Schwann Cells with Various Protein- or Polypeptide-Coated PLGA Surfaces)

  • 박기숙;김수미;김문석;이일우;이종문;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30권5호
    • /
    • pp.445-45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슈반세포와 다양한 세포 부착인자로 코팅된 고분자 표면과의 상호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세포 접착인자로 알려진 피브로넥틴, 피브리노겐, 라미닌, 비트로넥틴, 폴리-D-라이신 및 폴리-L-라이신을 PLGA 필름에 코팅하고 물 접촉각 측정과 ESCA 분석을 실시해 표면특성을 평가하구 접착인자로 코팅하거나 하지 않은 PLGA 필름의 표면에 슈반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 계수와 SEM 관찰을 통해 세포 부착과 성장을 알아보았다. 세포 계수 결과에서 세포 부착은 PLGA 표면의 단백질 흡착과 관련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포의 성장은 배양액의 우태아혈청 함량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슈반세포의 접착과 성장이 특정한 세포 접착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해 조직공학적 신경 재생에 응용하기 위한 신경유도관의 개발에서 세포의 부착과 성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세포의 종류 및 배양조건에 따라 신경유도관이 적절한 표면환경을 제공해야 함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전자선 가교된 유리섬유 강화 나일론 12의 열적 거동 및 내마모 특성 (Thermal Behavior and Abrasion Properties of Glass Fiber Reinforced Nylon 12 Crosslinke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 신범식;전준표;김현빈;강필현
    • 폴리머
    • /
    • 제35권1호
    • /
    • pp.30-34
    • /
    • 2011
  • 나일론 12의 열적 거동 및 내마모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100~600 kGy로 조사선량을 달리 하여 전자선가교 반응을 진행하였다. 가교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TAC, TAIC, TMPTMA의 가교제를 추가로 사용하였다. 나일론 12는 200 kGy 이상 전자선 가교가 진행되어야 높은 젤화율을 보이며,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결정성이 낮아져 $T_m$과 DSC 피크 면적이 서서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열분해 온도가 상승하여 열적 안정성이 우수해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나일론 12의 내마모 특성도 향상되어 가교 전과 비교하였을 때 마모량, 마모계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마모 표변을 SEM 분석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나일론 12에 첨가된 가교제는 전자선 가교시 우수한 가교 효과를 나타내며, 열적, 내마모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나무 열수추출물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Bamboos(Phyllostuhys sp.))

  • 김낙구;조숙현;이상대;류재산;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69-474
    • /
    • 2001
  • 대나무 줄기 및 잎의 열수추출물의 영양학적 가치를 검토코자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대나무 줄기와 잎 추출물의 고형분은 줄기가 3.0-3.5%, 잎이 2.6-2.9%로 줄기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고, 조단백질은 0.56-0.69% 범위로 왕대의 줄기와 잎 추출물에서 모두 0.69%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조지방은 0.28-0.58% 범위였는데, 솜대의 밀이 0.58%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무기성분의 함량은 K, P, Mg 순으로 높았으며 K와 P의 함량은 왕대의 줄기 추출물이 각각 658.7, 94.0mg%로 가장 높았는데, 특히 K의 함량은 모든 죽종의 줄기 추출물에 잎 추출물에 비해 현저히 높은 함량을 보였다. Mg은 맹종국줄기 21.2mg%, 솜대줄기 13.5 mg%, 왕대줄기 13.3mg%이고, 맹종죽잎 25.3mg%, 솜댓잎 23.0mg%, 왕댓잎 35.0mg%로 해당 죽종의 줄기 추출물이 잎 추출물에 비해 낮은 함량을 보였다. 추출물의 유리당 함량은 sucrose가 맹종죽줄기에서 1.1%, fructose는 솜대줄기에서 0.51%, glucose는 왕대줄기에서 0.6%의 함량으로 가장높았는데 전체적으로 줄기 추출물이 밀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추출물들의 유기산 함량은 malic acid 및 acetic acid가 높게 나타났으며, 왕대 줄기에서 magic acid 44.2m7% 및 acetic acid 54.0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줄기 추출물에서는 aspartic acid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는데, 왕대 42.2mg%, 솜대 39.9mg%, 맹종죽 34.6mg% 순이었다. 잎 추출물에서는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맹종죽 19.3mg%, 왕대 18.5mg%, 솜대 15.7mg% 순이었다.

  • PDF

골판지 포장재에 알루미늄 코팅이 파프리카의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luminum coating to corrugated packagi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prika during storage)

  • 김아나;하명화;이교연;샤피어라만;김남섭;최성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34-941
    • /
    • 2017
  • 파프리카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출작물로 알려져 있지만 장거리 유통 중 일어나는 품질열화로 인해 상품적 가치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산물 유통 시 주로 사용되는 골판지상자의 내부에 알루미늄을 코팅하여 기능성을 부여한 포장용기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파프리카를 포장하여 저장 중 선도유지 및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골판지상자 내부에 알루미늄을 코팅함으로써 방습성을 향상시키고 기체투과도를 저하시킴으로써 포장된 파프리카의 펙틴분해효소 활성이 저하됨에 따라 파프리카의 중량변화율과 조직연화 현상이 저해되었고, 산화효소 활성이 감소함으로써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알루미늄 코팅한 골판지상자는 파프리카의 상품성 및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포장용기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알루미늄박의 내수성, 내한성, 보향성, 내오염성 등의 특성을 활용한 추가연구를 통해 국내 농산물의 장거리 유통 및 수출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녹차가루 첨가 발효유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및 저장성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nd storage properties of fermented milk added with green tea powder)

  • 여수빈;여수환;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76-58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녹차가루의 첨가량을 0.5, 1, 2, 3%를 첨가한 발효유를 제조하고 이에 따른 품질특성, 항산화 활성 및 저장성을 평가하였다. 녹차가루를 첨가한 발효유에서 발효가 진행될수록 pH는 낮아졌으나 대조군에 비해 첨가군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적정산도 역시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으나 녹차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적정 산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유산균 수는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해 적었으며 당도는 낮아졌다. 색도의 경우 녹차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 값과 a 값은 낮아졌고 b값은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FRAP에 대한 항산화활성은 녹차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발효가 완료된 발효유를 $4^{\circ}C$에서 30일간 저장한 결과, pH와 적정산도, 유산균 수 모두 적정 발효유의 범위 내에 속하였으며 색도는 녹차의 갈변에 의한 적색도 값이 증가하였으나 큰 변화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발효유 제조 시 녹차가루의 첨가는 발효유의 발효 및 품질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건강기능성을 향상시켜 새로운 기능성 발효유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희토류 자원분쟁과 NdFeB계 이방성 본드자석 개발동향 (Rare Earth Dispute and Trend in Development of NdFeB Anisotropic Bonded Magnets)

  • 김효준;김상면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9-115
    • /
    • 2012
  • 지난 5년간 NdFeB계 이방성 본드자석은 25 MGOe의 높은 자기특성을 강점으로 기존 페라이트 영구자석을 갈음하면서 모터의 경량화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도했고 자동차용과 전동공구용 모터산업분야에서 두드러진 약진을 보였다. 또한 차체중량감소를 통한 연비향상이라는 자동차산업의 기술동향에 정확히 초점을 두고 기존모터의 50 % 경량화라는 새로운 변혁을 이끌어 냈다. 그러나 2010년 7월에 중국이 희토류원소의 수출규제를 발표함에 따라 2011년 희토류 원자재는 또 한 차례의 폭등을 기록하였고 그 여파는 전방 수요산업에 심각한 충격으로 던져지고 있다. 각 희토류 주요 소비국들은 자원 확보, 희토류 최소사용부품개발 및 희토류 대체 신기술개발 강화에 총력을 다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환경적 변화가 이방성 본드자석 분야에는 중희토류 원소인 Dy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보자력을 향상시키고자하는 기술적 도전을 유발하였고 모터고속화 응용분야에 탐색을 시도하게 하였다. 본 글에서는 희토류 자원문제에 대한 각국 희토류자석산업의 대응과 NdFeB 이방성 본드자석으로 대표되는 Aichi Steel사의 MAGFINE 자성분말에 대해 최근의 개발 동향 및 응용분야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생육단계별 배 과피에서 분리한 식이섬유원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Sources from Peel of Asian Pear Fruit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장선;이범수;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05-911
    • /
    • 2005
  • 상품성이 낮은 배 그리고 가공 부산물의 하나인 과피의 기능성식품 소재로써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생육단계별 풍수, 신고, 추황배의 과피로부터 식이섬유원을 분리하여 이들의 성분을 분석하고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3 품종의 3 생육단계에서 과피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원의 총식이섬유 함량은 74.00-88.38%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고 그 중 92-94%가 불용성 성분이었다. 분리된 식이섬유원에 잔존하는 총페놀성물질의 함량은 1.64-4.46mg/g이었고 신고와 추황배에서는 과실의 성숙도에 따라 잔존하는 총페놀성물질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평균입자의 크기는 $255-381{\mu}m$이었고 동일한 품종내에서 성숙된 과실일수록 분리된 식이섬유원의 입자는 증대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과에서 분리한 식이섬유윈의 밀도가 유의적으로 작았다. 보수력은 3.11-6.03g water/g solid이었고 신고와 추황배에서는 유과, 미숙과, 성숙과의 순으로 점차 증가하였으며 oil 흡착력은 1.98-2.57g oil/g sample로 보수력보다 낮은 값을 보였고 보수력이 낮은 유파의 식이섬유원이 oil 흡착력은 컸다. 식이섬유원의 입자의 크기는 밀도, 보수력, oil 흡착력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성분은 Cellulose와 uronic acid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 과피에서 분리한 식이섬유원은 총 식이섬유 함량이 높고 생리활성 물질인 페놀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미숙과, 성숙과 식이섬유원은 비교적 높은 보수력을 갖고 있어 새로운 식이섬유원 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표고버섯 균사체로부터 추출한 단백다당체의 항암효과 (Anti-tumor Activity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Mycelia of Lentinus edodes)

  • 이병우;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65-671
    • /
    • 1998
  • 한국산 표고버섯(Lentinus edodes SR-1) 균사체를 액체배양한 후 균사체로부터 추출, 정제한 PBP의 항암효과 및 면역학적 특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PBP의 항암효과는 in vitro 배양에서 암세포의 배수시간을 2배로 연장하는 활성단위 1 unit은 mouse leukemic cell인 $P_{388}$$L_{1210}$의 경우 1 mg 정도였으며, 인체의 장암세포인 HCT-48, HRT-18, HT-29 및 간암세포인 Hep G2의 경우 각각 4.4, 3.6, 6.6, 2.6 mg이었다. 그리고 $P_{388}$$L_{1210}$의 경우 배지 1 mL당 4 mg 정도, HRT-18 및 HT-29, Hep G2의 경우 9 mg의 PBP를 첨가했을 때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P_{388}$$L_{1210}$, HCT-48, Hep G-2의 PBP 처리에 따른 암세포의 크기 분포도 변화는 PBP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리고 PBP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적은 쪽으로 이동하였다. In vivo 실험에서 대조군보다 PBP를 첨가한 군에서 비장의 무게가 증가하였으며, 용혈반 형성실험에서 PBP를 투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항체 형성세포가 2배로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