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gramming learning

검색결과 830건 처리시간 0.028초

Blockly webc 프로그래밍 융합 학습시스템 (Blockly webc Programming Convergent Learning System)

  • 조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23-28
    • /
    • 2015
  • 프로그래밍 교육은 컴퓨터 관련학과 뿐만 아니라 공학과 자연과학분야에 걸쳐서 모두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도 소프트웨어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프로그래밍 능력은 국가의 경쟁력을 이루는 필수적인 요소로 이해되고 있어, 이를 위한 학습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구글에서 개발한 Blockly graphic 툴을 이용해서 웹상에서 실행하는 webc 프로그래밍 융합 학습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 학습시스템 안에는 문제 중심의 학습에 이용할 수 있는 초보자용 문제세트가 내장되어 있다. 이 문제세트는 20여년 동안 현장에서 검증받은 문제들로 학습자들이 최단 시간 내에 초보를 탈출할 수 있게 해주는 문제세트 들이다. Blockly webc 프로그래밍 융합 학습시스템은 이미 개발된 Simple Visual Language2 프로그래밍 학습시스템과 함께 초보자를 위한 프로그래밍 학습시스템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크래치가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ratch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Programming Education)

  • 양권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47-553
    • /
    • 2010
  • 최근 프로그래밍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의 학습 부담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스크래치와 두리틀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한 후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크래치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두리틀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취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할 경우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선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게임프로그래밍 수업을 위한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 피어튜터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GF(Tutoring Game in Flipped Learning) for Game Programming Course)

  • 최영미;김성중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25-134
    • /
    • 2015
  • 본 논문은 학습자가 효과적인 게임프로그래밍을 학습하도록 피어튜터모형(TGF: Tutoring Game program in Flipped learning)을 설계하고, 수업에 적용한 학습경험을 교수와 피어튜터 및 학습자의 관점에서 제시하고, 학습 성과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여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의 TGF가 전통적인 수업방식에 비해 게임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목표를 달성하는데 더욱 효과적임을 보였다.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학습자 특성 및 학습양식과 성취도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Achievements in Online Programming Course)

  • 김지선;김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9-68
    • /
    • 2015
  • 본 연구는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 환경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특성 및 학습양식과 성취도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중 고등학생 104명을 대상으로 Grasha-Reichmann의 학습양식 검사를 실시한 후, 12주간 C언어 프로그래밍 학습과 과제를 수행하였다. 먼저,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양식 차이 결과, 성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존형이 높았고, 학교급에서 중학생이 경쟁형과 회피형이 고등학생보다 높았다. 성취수준에서는 독립형과 참여형이 차이가 있었다. 학습양식과 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독립형(r=.253, p<.01)과 참여형(r=.303, p<.01)이 정적 상관을 보여 두 분석 결과 독립형과 참여형이 성취도와 연관이 있는 학습양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의 주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 소감을 조사하여 학습유형별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조사 결과를 통해 학습양식별 온라인 프로그래밍 교수 학습 전략을 도출할 수 있었다.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을 적용한 비주얼베이식(VisualBasic) 프로그래밍 학습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VisualBasic Programming Learning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 손경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7-25
    • /
    • 2002
  • 학습자중심의 문제중심 학습이 정보산업고등학교 프로그래밍 교과에 적용되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래밍 학습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목적과 적용하는 문제상황에 따라 학습해야할 기능과 기법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므로 학습의 맥락에 따라 적합한 문제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비주얼베이식 프로그램으로 퀴즈문제를 개발하는 학습내용을 선정하였다. 개발과정에서 학습자는 다양한 사례를 토대로 문제를 작성하고 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램 기능을 선택하여 협동학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였고 동료평가와 모둠별 평가를 실시하였다. 학습 후 실시한 서술식 설문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자신의 학습 상태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었고 학습태도와 참여가 높아져 만족감과 자신감이 증가하였으며 협동학습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 PDF

Knowledge-based learning for modeling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using genetic programming

  • Tsai, Hsing-Chih;Liao, Min-Chih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23권4호
    • /
    • pp.255-265
    • /
    • 2019
  • The potential of using genetic programming to predict engineering data has caught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in recent years. The present paper utilized weighted genetic programming (WGP), a derivative model of genetic programming (GP), to model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The calculation results of Abrams' laws, which are used as the design codes for calculat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were treated as the inputs for the genetic programming model. Therefore, knowledge of the Abrams' laws, which is not a factor of influence on common data-based learning approaches, was considered to be a potential factor affecting genetic programming models. Significant outcomes of this work include: 1) the employed design codes positively affected the prediction accuracy of model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2) a new equation was suggested to replace the design code for predicting concrete strength; and 3) common data-based learning approaches were evolved into knowledge-based learning approaches using historical data and design codes.

A Qualitative Study of Saudi Female Programming Lecturers' Attitudes towards Mobile Learning and Teaching Approaches

  • Alanazi, Afrah;Li, Alice;Soh, Be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8호
    • /
    • pp.208-216
    • /
    • 2022
  • In Saudi Arabia, female students tend to struggle with the basics of computer programming, especially coding. To better understand why female students sometimes perform poorly in this discipline, this qualitative study aims to obtain the views of female computer programming teachers at a Saudi university on using mobile learning (m-learning) methods in computer programming lectures. Ten teachers from the all-female Aljouf University were interviewed to assess their perceptions of m-learning, in particular, the usefulness of ViLLE visualisation software. Data were analysed using thematic analysis. Most interview responses about m-learning and ViLLE were positive, although there were some notable negative responses. The Saudi culture-related responses were evenly divided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reflecting the culture's limitations.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오류요소 (Influential Error Factors of Robot Programming Learning on the Problem Solving Skill)

  • 문외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95-202
    • /
    • 2008
  • 로봇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은 획일적이고 정형화된 기존 교육환경에서 벗어나 미래사회의 창의적 학습을 미리 경험할 수 있으며 수학 및 과학의 가장 기초가 되는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향상시키는데 가장 적절한 학습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로봇프로그래밍 시 나타날 수 있는 오류의 유형들을 제안하였으며 학습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한 후 초등학생 5, 6학생들을 대상으로 로봇프로그래밍 학습을 시켰다. 학습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들을 수집하고 분류하였으며 또한, 기존 연구된 컴퓨터기반 프로그래밍언어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로봇프로그래밍 실행경험을 통해 컴퓨터기반 프로그래밍에서 창의성학습에 큰 장애요소로 평가된 오류요소들 즉, 프로그램사용 미숙으로 인한 오류, 단순한 오타, 문법오류 그리고 코딩실수 등을 전체 오류의 약 21%로 나타나 기존 컴퓨터기반 프로그래밍언어 학습에서 조사된 오류비율(약 53%)에 비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오류의 감소는 초등학생들의 흥미도와 성취도 향상을 위한 주요요소로 판단된다. 따라서, 학습과정에서 보다 많은 논리 및 문제해결을 위한 요소들에 노출되어 있어 창의성 알고리즘 학습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피코 크리켓을 활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이 문제해결책과 흥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obot Programming Learning using Pico Cricket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terest)

  • 이진영;송정범;김광열;백성혜;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7-26
    • /
    • 2009
  • 본 연구는 교육용 로봇의 한 종류인 피코 크리켓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에 있어서 문제해결력과 프로그래밍 흥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이다. 정보 과목의 핵심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 프로그래밍 학습은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는 데 효과적인 과목이다. 그러나 프로그래밍 학습은 프로그램의 문법적인 사용법을 익혀야 하는 부가적이면서 어려운 학습내용 때문에 그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교육용 로봇은 놀이적 요소가 포함되어 프로그래밍 학습에 쉽게 다가가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 중에 피코 크리켓은 기존 교육용 로봇이 지적 받아왔던 경쟁을 유도하지 않고 협동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코 크리켓은 프로그래밍 학습을 기피하는 것으로 지적 받고 있는 여학생들에게 그들의 관심 영역인 생활 중심적이고 협력적인 학습 내용을 제시하여 줄 수 있어 여학생들을 프로그래밍 학습에 관심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남학생과 여학생을 대상으로 피코 크리켓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문제해결력과 프로그래밍 흥미에 미치는 효과와 남학생과 여학생의 비교 연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래밍 학습 경험에 따른 학습 태도 변화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learning attitude change according to programming learning experience)

  • 이경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93-98
    • /
    • 2021
  •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 경험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변화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은 전공생에게도 어려운 과정으로 평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전공자에게로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프로그래밍 학습과 관련된 심리적 태도 변화를 측정하는 것은 학습자 분석에 필요하다. 동기 관련 구인요인인 성취목표, 학업적 흥미, 학업적 자기효능감, 인지적 관여, 학업적 자기조절을 측정하여 전반적인 학습자 태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측정 결과 학습 태도 관련 모든 요인에서 사후 검사 값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학습과정의 난이도가 프로그래밍 학습 의욕을 감소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학습자가 인지하는 난이도가 클 수록 학습의욕이 더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느끼는 학습 난이도의 정도를 낮출 수 있는 상황과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체계적인 학습환경과 학습과정의 중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