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gramming learning

검색결과 832건 처리시간 0.033초

Pair Programming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ir Programming on Achievement and Motivated Strategies in Programming Course)

  • 한건우;이은경;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9-28
    • /
    • 2006
  • 프로그래밍 학습은 컴퓨터 과학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목이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프로그래밍 배우는 것을 어려워하고 있다.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새로운 교수방법이나 기술적 관점의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air Programming을 통해 프로그래밍 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Pair Programming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교수 학습 전략을 실험한 결과, 학업성취도와 학습전략에 있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전략에 있어서는 비판적 사고, 메타인지, 노력조절, 동료학습 영역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학생들의 학습 스타일과 스크래치 언어 활용 교육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n Scratch-based Instructional Effectiveness and Learning Sty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한선관;한희섭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51-358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학습 스타일이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우선 VARK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스타일을 분석하고, 한 학기동안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 한 뒤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이 미친 영향과 여러 교수-학습 활동의 변인들과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스크래치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은 학습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효과성과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특히 Visual 성향의 학습자들에게서 스크래치 활용의 성과가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프로그래밍 과정이 학습 효과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 PDF

m-Bizmaker를 활용한 앱 프로그래밍 교육이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from App Programming Education Using m-Bizmaker)

  • 한순재;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1-48
    • /
    • 2018
  • 본 연구는 m-Bizmaker를 활용한 앱 프로그래밍 교육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봄으로써 앱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현재 일선 학교에서는 SW선도학교를 중심으로 컴퓨팅사고력을 증진하기 위한 SW교육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SW교육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앱 프로그래밍 교육이 학습 성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몰입이 필요하며 학습만족도가 높아야 앱 프로그래밍 교육이 지속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앱 저작도구의 하나인 m-Bizmaker를 활용한 앱 프로그래밍 학습 내용을 수업에 적용해 본 결과 학습몰입의 일부 요인(통제감, 자의식의 상실)과 학습만족도 증진에 유의미함이 입증되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앱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으로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Kodu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과 학습 흥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odu Programming Learning on Logical Thinking and Learning Interest of Elementary Students)

  • 김태훈;김종훈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3-22
    • /
    • 2013
  • 다양한 디지털 기술들은 현대인의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미래를 이끌어갈 청소년들이 디지털 사회에서의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교육이 필요하다. 최근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긴 했지만 초등학교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이 실시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프로그래밍을 학습할 수 있는 Kodu를 이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실험하였다. GALT를 통한 논리적 사고력 검사의 사전 사후 비교 결과 실험집단의 상관논리, 논리 합계 부분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얻었다. 또한 프로그래밍에 대한 학습 흥미 측면에서도 초등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BL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동기 차이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Analysing Differences of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in Project-Based Programming Learning)

  • 김병욱;김한성;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5-27
    • /
    • 2010
  • PBL(Project Based Learning)은 학업성취도 및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학습 초기의 진입장벽이 높은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PBL의 장점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수업설계시에 학습동기 유발전략이 요구된다. 이러한 학습동기 유발전략은 학습자의 학습양식을 고려하여 적용하였을 때에 효과적이지만, 아직까지 PBL 기반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동기 향상을 위해 학습양식에 따라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PBL 기반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양식에 따라 학습동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수업설계시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ARCS 모델을 중심으로 설계된 시뮬레이션을 제작해보는 PBL 프로그래밍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에 학습동기검사, 학습양식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조치 후 사후 학습동기를 검사한 결과,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학습양식에 따른 ARCS 모델의 하위 요소별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PBL 기반의 프로그래밍 수업설계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학습 양식 기반의 프로그래밍 교수 전략과 방법 연구 (Study of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of Programming Education based on the Learning Style)

  • 최현종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3-21
    • /
    • 2012
  • 이 연구는 학생이 선호하는 학습 전략과 방법이 있다는 학습 양식을 전제로 교사가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 양식에 따른 프로그래밍 교수 전략과 방법을 제안한다.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학습 양식집단이 특정 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증명하는 연구들이기 때문에 교사가 수업을 설계하거나 실현할 때, 연구의 결과가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실제 수업을 설계하고 실현할 때 도움을 주기 위한 교수전략과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컴퓨터 교육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문가 설문을 통해 연구된 학습 양식에 따른 프로그래밍 교수 전략과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교수 전략과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 집단을 구성하여 실제 프로그래밍 교육을 설계하여 실현하였다. 수업을 마친 후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 차이를 학습 양식 집단별로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자의 수가 적고 적용기간이 짧다는 제한점이 있지만, 앞으로의 학습 양식에 기반한 교수 전략과 방법 연구에 좋은 사례 연구가 될 것이다.

  • PDF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자기조절능력과 학습참여, 교수실재감에 대한 학습몰입의 매개 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on Learning Engagement, and Teaching Presence in Online programming classes)

  • 박주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597-606
    • /
    • 2020
  • 최근 전세계가 언택트 환경에 놓임에 따라 학생들의 프로그래밍 수업도 온라인으로 이루어지게 되었고,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을 성공으로 이끌 수 있는 영향요인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웹기반 시뮬레이션 툴을 활용하여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참여와 교수실재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자기조절능력과 학습 몰입을 상정하고 예측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참여, 교수실재감과 학습자의 자기조절능력 사이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자기조절능력과 학습몰입이 학습참여와 교수 실재감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몰입은 자기조절능력과 학습참여, 교수실재감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참여와 교수실재감을 높이기 위해 자기조절능력과 학습몰입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심화.보충형 수준별 학습에 의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영역별 학습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Learning Effect by Computer Programming Areas based on Leveled Intense and Supplementary Learning)

  • 안유정;김경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37-14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학습을 위해 정규 수업으로 진행되는 자바 프로그래밍 수업과 병형하여 심화 보충형 수준별 스터디를 운영하고, 사후 평가를 통해 프로그래밍 학습에서의 심화.보충형 수준별 학습 효과를 증명하였다. 상 중 하위 그룹으로 구성된 세 개의 스터디 팀과 스터디 미참여 그룹 학습자들을 대상으로하여 스터디 전후의 프로그래밍 학습 향상도 검사, 스터디 후 각 수준의 학습자들의 프로그래밍 영역별 이해도 차이를 분석하고 나아가 각 학습 수준별로 심화 보충형 수준별 스터디에 효과적인 학습 영역이 무엇인지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심화 보충형 수준별 학습에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영역으로는 개념의 심도 있는 이해를 통해 이를 적용한 프로그래밍 능력을 키우는 부분과 여러 학습 영역들의 복합적인 연계지식을 통해 프로그래밍을 하는 영역이 이에 해당되었다. 또한 심화 보충형 수준별 스터디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전체 프로그래밍 학습 영역에서 학습 수준이 향상되었음은 물론이고, 하위 수준의 학습자들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학습 향상도를 이루었다. 스터디에 참여한 하위 학습자들은 스터디 중상위 학습자들보다 개념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응용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뒤쳐졌으나 스터디에 참여하지 않은 학습자들과 비교해서는 대부분의 학습 영역에서 우수한 학습 결과를 보였다.

Meta-analysis of the programming learning 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 Jeon, SeongKyun;Lee, Yo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25-133
    • /
    • 2017
  • Recently, as the programming education has become essential in school, discussion of how to teach programming has been important. This study performed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size depending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programming education. 78 research data selected from 45 papers were analyzed from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according to dependent variables. The analysis from the cognitive aspect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as specified in the research paper. Meta-analysis of the research data wher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as designated displayed significances in CPS, PBL and Storytelling. Unlike the cognitive aspect, the analysis from the affective aspect showed that the effect size of the research data without the specifi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as larger than those with specifi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Meta-analysis of the data according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display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ased up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programming education.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과제 중심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 프로그램 (A Task Centered Scratch Programming Learning Program for Enhancing Learners' Problem Solving Abilities)

  • 이은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9
    • /
    • 2009
  • 프로그래밍 학습은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복잡한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학습자에게 과도한 인지적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인지적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래밍 도구의 선택 및 학습 효과를 최대화하기 교수 학습 전략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과제 중심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해당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제 중심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을 수행한 집단이 일반적인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과 비주얼 베이식 프로그래밍 학습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문제해결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능력인 문제점 해결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더 크게 드러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