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gramming education

검색결과 1,143건 처리시간 0.031초

초등학생의 사회인식 및 대인관계 능력 함양을 위한 도덕교육의 통합적인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ive ways of moral education for the building of children's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 skills)

  • 이인재;지준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29호
    • /
    • pp.375-396
    • /
    • 2010
  • 본 연구는 사회·정서적 학습 이론(th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에 근거를 두고 초등 도덕교육의 목표인 초등학생들의 "바르고 선한 인성(character)"을 어떻게 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할 것인가? 의 물음에 답하기 위해, 사회·정서적 능력 중에서도 특히 사회적 인식(social awareness) 및 대인 관계 기술(relationship skill) 함양에 초점을 두고 탐구하였다. 본 연구가 SEL에 토대를 두고자 하는 이유는 초등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이란 도덕적 지식(앎)의 발달만으로 가능하지 않고, 도덕적 지식을 행동으로 옮기는데 있어 중요한 가교의 역할(예를 들면, 자동차가 움직이기 위해 연료가 필수적이듯이 일종의 도덕적 에너지의 역할)을 하고 있는 사회·정서적 능력의 발달이 병행될 때 가능한 바, 그동안 우리나라 도덕교육에서는 이러한 사회·정서적 능력 혹은 도덕적 감정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면서도 이를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교육할 것인가에 대해 구체적인 실천 방안 마련이 미흡하였기 때문이다. 초등학생들의 사회 인식 및 대인 관계 능력 함양의 모색은 도덕과 수업을 통한 방안과 도덕과 수업 이외의 활동을 통한 방안을 중심으로 구안하였다.

1970년대 KBS 텔레비전 교양 피디의 직무와 직업 정체성: 방송 전문성 형성과 신기술, 그리고 '제작 정신' (The Professional Identity and Work of Culture and Education Program PD's of KBS-TV in the 1970's: Formation of Broadcasting Speciality, New Technologies, and 'Production Spirits')

  • 백미숙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0권
    • /
    • pp.125-149
    • /
    • 2012
  • 이 연구는 제작현장의 경험을 중심으로 1970년대 KBS 교양 피디의 직무 내용과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을 탐색했다. 1970년대 텔레비전 피디는 경제적으로나 사회문화적으로 선망받는 직업은 아니었다. 오랫동안 편성과 영화의 하부로 남아있던 교양은 흔히 정책 계몽 프로그램의 정치적 수요, 그리고 새로운 기술 도입으로 70년대 중반부터 활성화된 것으로 서술되어 왔다. 그러나 이 연구는 모든 변화의 흐름에서 실천적 주체는 교양 피디임을 주장하고 있다. 교양 피디들은 영화 피디들의 필름 다큐멘터리 제작을 보조하며 스스로를 전문가로 훈련했고, 필름으로부터 마그네틱테이프 레코더 시대로의 전환 과정에서 교양을 특화된 전문 영역으로 독립시켜 제작의 주체로 등장했다. 척박한 제작환경에서 '잔뼈가 굵어가며' 키워왔던 "프로그램을 만드는 DNA와 정신"은 교양 피디들이 직무 전문성을 키우고 자기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었던 가장 큰 힘이었다. 그러나 70년대 교양 피디들은 압도적 국가의 헤게모니 안에서 기술과 제작의 '전문성'을 공급하는 도구적 위치를 벗어나기 어려웠다. 당대 한국 사회의 전 영역이 그러했듯이 피디집단 역시 체제가 부여한 역할을 수행할 수밖에 없었고, 프로그램을 더 잘 만들기 위한 노력과 경쟁이 유일한 자율적 실천이었다. 이러한 조건에서 KBS 교양 피디들은 공무원으로부터의 구별짓기와 상업방송과의 구별짓기라는 두 가지 전략으로 전문 방송인으로서 직업 정체성을 형성했다. 그러나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윤리적 실천 규범은 개인의 도덕성 문제에 머물렀고, 방송의 공공적 책무는 상업방송과 대비한 소극적인 정당화에 그치고 있었다.

  • PDF

영양분석 API를 이용한 메뉴 라벨링 시스템 (MLS) 개발 (Development of Menu Labeling System (MLS) Using Nutri-API (Nutrition Analysi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홍순명;조지예;박유정;김민찬;박혜경;이은주;김종욱;권광일;김지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2호
    • /
    • pp.197-20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영양분석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인 Nutri-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활용하여 영양표시를 위한 메뉴 라벨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영양표시에 표시되는 각 항목들은 영양성분이 추가 또는 변경이 될 수 있도록 유연한 설계를 하였으며 본 메뉴 라벨링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사항들을 사용자가 직접 수정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식품단위의 정보제공뿐만 아니라, 음식 또는 식단의 영양표시 정보도 제공한다. 주요 내용을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식품 및 메뉴 검색 메뉴 라벨링 시스템의 식품 및 메뉴의 검색은 유의어 검색 기능과 의미 정보 및 분류 정보를 통한 검색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영양소를 검색할 수 있으며 영양소 함량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missing 표시 (-)을 하였다. 메뉴작성 및 식품관리 메뉴 라벨링 시스템은 기존 데이터베이스화된 기본 식품만을 사용하여 영양 표시에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식품의 조합인 메뉴를 포함하여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Nutri-API의 NutriMenu 기능을 확장하여 메뉴 작성 기능과 추가 및 관리기능을 추가하였다. 메뉴 라벨링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로는 메뉴설명, 메뉴이미지, 재료중량, 열량 등의 영양소, 3대 영양소비율과 원그래프 제공뿐만 아니라, 메뉴의 구성분류에 따른 영양소 정보도 제시하고 있다. 메뉴 라벨링을 위한 영양소 정보로는 농촌진흥청 모든 영양소를 포함하여 당류,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콜레스테롤 등이 있다. 그리고 메뉴의 영양섭취기준과 영양소기준치에 대한 비율 (%) 정보도 제공하며, 동시에 메뉴의 그리고 메뉴의 구성분류의 식품이나 중량 등을 입력/수정/변경 할 수 있다. 식품 추가 기능 본 시스템에서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식품 정보 외에 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지 않은 식품 또는 식품의 정보를 수정을 위해 식품 추가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식품을 추가하여 식품설명, 사진과 영양소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기본 제공되는 식품과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자 식품으로 별도 저장 및 관리한다. 메뉴 라벨링 정보 메뉴 라벨링 정보에서는 메뉴의 식품재료 중량뿐만 아니라 메뉴의 조리 후 중량, 1회 제공량 (portion size), 총 제공량 (total serving size) 등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메뉴 라벨링을 위해 추가된 식품 및 메뉴는 라벨링 항목에서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하다. 메뉴 라벨링에서 추가 및 수정된 정보는 기본 메뉴 정보와는 별도로 저장 및 관리한다. 메뉴 라벨링 형식으로는 사용자는 표준형, 가로형, 선형, 쌍방형, 영양성분 전면표시형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식당의 메뉴판 영양표시형태도 출력할 수 있다. 메뉴 및 라벨링 관리 사용자가 작성한 메뉴 및 라벨링 정보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별도의 관리기능을 제공하고 있어서 메뉴의 히스토리뿐만 아니라 이미 작성된 메뉴를 복사하여 새로운 메뉴를 작성하거나, 새로운 메뉴를 구성하는 기본 메뉴로 사용할 수 있다.

Anderson과 Fuller의 교육목표 분류법을 이용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수업 목표 분석 (Analysis about Learning Objectives of Informatics Textbooks in High School using Anderson's and Full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최현종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85-196
    • /
    • 2014
  • 본 연구는 Bloom의 교육목표 분류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수정한 Anderson의 분류법과 프로그래밍 수업목표에 적용할 수 있는 Fuller의 분류법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새롭게 출판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 6종을 분석하였다. Anderson 분류법에 의하면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이해하다와 적용하다의 목표들이 더 많이 제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Fuller 분류법으로 동종의 교과서 6종을 분석해 보니 프로그램 코드의 해석과 생산 영역이 대체로 균형 있게 제시되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추후 이루어지는 정보 교과만의 교육목표 분류법 연구와 교과서 개발에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로봇 활용 STEAM 수업이 다문화 아동의 한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방과 후 수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Robot-Based STEAM Class on the Korean Learning of Multiculturul School Children -Focusing on After School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 김세민;유강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1-8
    • /
    • 2015
  • 본 논문은 다문화 아동들을 대상으로 로봇을 활용한 STEAM 수업을 통해 한국어 학습 효과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한국어에 대하여 느끼는 난이도와 흥미도를 측정하였다. 이 학습자들이 한글 명령어 입력 기반 프로그래밍 도구를 이용하여 변수, 데이터타입, 분기문, 반복문 등의 프로그래밍 명령어를 한국어로 학습하게 한 후 그들의 한국어 학습효과를 측정하였다. 학습 효과 측정을 위해 한 학년 수업 가운데 2학기 수업 개강 전과 수업 종강 후 각각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연구결과, 우리나라와 언어적인 특징이나 문화권이 근접한 나라 출신의 다문화 아동이 로봇 활용 교육을 통한 한국어 이해도가 높았고 다문화 아동이 한국어를 배울 때 로봇을 활용한 수업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공지능 기반의 TensorFlow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Graphic User Interface for TensorFlow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송상근;강성홍;최연희;심은경;이정욱;박종호;정영인;최병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221-229
    • /
    • 2018
  • 기계 학습 및 인공지능은 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능력을 요구하는 기계 학습 플랫폼의 특성 상 일반 사용자들의 접근이 힘들기 때문에 인공지능이나 기계학습의 대중화는 제한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도입하여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일반인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기본 기계 학습 플랫폼으로는 Tensorflow를 채택하였고 GUI는 마이크로 소프트 사의 .Net 환경을 활용하여 작성하였다.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면 일반 사용자도 파이썬 프로그래밍에 대한 부담없이 직관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기계 학습을 실행할 수 있다. 우리는 이 개발이 다양한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심신과학으로서의 태교 (Taekyo as Mind and Body Science)

  • 이경혜;배경의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1-72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y and principles of Korean traditional Taekyo by literary research. Taekyo is compared with prenatal care of modern western medicine, and its principles turn out to be just as scientific. Suggestions are made for a nurse to apply Taekyo principles to nursing care. Traditional Taekyo is an antenatal training which emphasizes how an expectant mother should carry herself (behavior) and a frame of mind she should have (her attitude) in order to produce a child with sound mind and body, as well as good personality. Though Taekyo has been originated in China 2,800 years ago, it has been recorded comprehensively in Korea in a series of publications such as Taekyoshingi, and Kyuhapchongseo, and passed on in a various verbal transitions like Samtaedo, Oliltaedo, etc. Taekyo principles can be explained by yin and yang theory, quantum theory, chaos theory, fetal programming, and social support theory. Some part of Taekyo shares the same scientific ground with prenatal care advocated by modern nursing care for women, where it emphasizes the role of a father, and participation of the whole family in helping an expectant mother. Applying Taekyo principles to nursing care is being done through Taekyo programs, which combine traditional Taekyo with modern prenatal care, in classes for child birth and many pregnant women participate. On the other hand, some internet Taekyo programs appear to be rather distorted and overzealous. A nurse has a responsibility to present a guideline and to monitor internet sites, so that pregnant women can understand the correct concept of traditional Taekyo before they practice it.

  • PDF

기술마케팅을 위한 On-In-One 웹 솔루션 개발 (Development of On-In-One Web Solution for Technology Marketing)

  • 최쌍용;김동섭;박순성;김원주;최시웅;황승국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99-104
    • /
    • 2016
  • 본 논문은 기술마케팅을 위한 홍보를 목적으로 ICT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PC, 타블렛, 노트북, 스마트폰에서도 연동이 가능한 On-In-One 웹 솔루션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ICT 기반의 웹 솔루션의 특징은 3D 디스플레이 슬라이드 쇼타입의 디자인으로 구현되는 3D 배열 형식의 이미지 뷰어 시스템으로서 PC, 타블렛, 노트북, 스마트폰에서 각각의 이미지마다 필요한 ICT 기반의 채널 연동방식을 이용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이미지 뷰어 시스템이다. 이것은 각종 홍보, 비즈니스, 교육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게 개발된 3D 포토뷰어 PR 솔루션이다.

분산 문제 해결을 위한 개념적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Conceptual Model for Distributed Problem Solving)

  • 김은경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07-117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가상 공유 기억장치(VSM)를 기반으로 에이전트들간의 통신 및 협조 가 이루어지는 분산 문제 해결(DPS)을 위한 개념적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모델에서 DPS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에이전트는 분산된 환경에 있는 모든 기억장치를 단일의 공유 기억장치로서 취급하며, 따라서 그 곳에 있는 모든 데이터와 작업, 실행 결과 등을 엑세스할 수 있다. 에이전트들이 데이타와 실행의 중간 결과 및 다른 에이전트에게 요 청할 작업등을 VSM에 출력하고, 또한 VSM의 내용을 읽거나 실행함 으로써 하나의 복잡한 문제를 협조적으로 해결하게 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모델을 기반으로 DPS 시스템을 구축 할 수 있도록 Network Linda를 이용하여 DPS 시스템 개발 환경(DPS-VSM) 을 설계하였다. 또, VSM을 기반으로 하는 DPS 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한 예를 제시함으로써 제안한 모델의 유용성을 보이고, DPS-VSM과 기존의 다른 DAL 프로그래밍 쉘의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모델을 분석하였다.

  • PDF

디지털 시대의 비디오자료 수집과 이용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quisition and Use of Videorecordings in Digital Age - concerning for the public libraries in Pusan -)

  • 김영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9-233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에서 수행하는 비디오자료의 선정 및 수집과 실제 이용현황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여 앞으로 공공도서관 자료로서의 비디오자료의 체계적인 수집과 이용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의 공공도서관 17개판(교육부 산하 12개관, 행정자치부 산하 5개관)을 대상으로 설문지기법을 사용하여 비디오자료의 수집과 이용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