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gram outcomes

검색결과 931건 처리시간 0.021초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학습성과 평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System for the Program Outcomes on the Communication Skill Competence)

  • 김진영;강성주;강보선;김대익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6호
    • /
    • pp.41-47
    • /
    • 2011
  •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in writing and speaking with multiple and complex audiences are required to engineers in society of modern technology.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effective assessment system for the Program Outcomes on the communication skill competence(PO7), which is one of the 12 program outcomes stipulated by ABEEK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To ensure logical connectivity of the assessment system, we carefully selected the performance criteria by defining the core concept of "written communication" and "verbal communication". Based on the selected performance criteria, the whole process of creating assessment tools and rubrics was explained in detail. It can be expected that the assessment for the Program Outcomes on the communication skill competence would be more systematic by using the proposed assessment system.

학생들이 인지한 학습성과 달성도와 학점과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Perceptions on the Achievement of Program Outcomes and Grades)

  • 곽진숙;최금진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34-5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공학계열 학생들이 인지한 학생 자신의 학습성과 달성도와 교수가 학생에게 부여한 학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 시내에 있는 두 개 대학의 공통된 4개 프로그램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2006년도 1학기 말에 실시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달성도 평가 결과와 해당 학기 학점 자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의 자기평가와 교수의 학생평가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공학교육인증 제도의 운영, 특히 학습성과 달성도 평가 방법에 관한 개선책을 제안해 보았다.

교과기반(CEA)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전산시스템(Web-based)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e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based on Web-based Course Embedded Assessment(CEA))

  • 이상주;조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67-75
    • /
    • 2019
  • 본 연구는 교과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전산시스템 개발 및 적용 사례를 제시하여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본 연구는 교과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전산시스템을 개발하고 개발된 전산시스템 적용사례를 제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시스템 개발 생명주기에 따라 요구도 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전산시스템 개발에 반영 하였다. 다음으로 개발된 전산시스템을 직접 적용해 본 교수들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산시스템 개발을 통해 졸업시점에 이른 학생들의 개인별, 성과별 프로그램학습성과가 달성되었는지에 대한 모니터 및 CQI 수행이 용이하게 되었으며, 미달성 프로그램학습성과 및 학생에 대한 원인분석과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창업지원사업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Laboratory Start-up Support Projects on Start-up Performance)

  • 김다은;배준수;김진규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spc호
    • /
    • pp.79-88
    • /
    • 2023
  • This research aim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pecialized Entrepreneurship University Program," which was conducted as part of government entrepreneurship support initiatives from 2018 to 2022. Based on previous studies, a research model was derived consisting of three laboratory entrepreneurship support factors that influence program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outcomes (infrastructure support, educational mentoring support, and business linkage support). Survey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126 laboratory entrepreneurship firm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empirical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statistical software.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three variables, namely infrastructure support, educational mentoring support, and business linkage support,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program satisfaction, and program satisfaction was confirmed to influence entrepreneurial outcome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three business operation factors indirectly influenced entrepreneurial outcomes by partially mediating program satisfaction. This study is considered significant as an empirical study for the initial stage of the second-phase program enhancement,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laboratory entrepreneurship support factors. The findings can be applied to similar government entrepreneurship support initiatives and contribute to the effective strategy and planning of stakeholders involv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the extent to which it contributes to entrepreneurial outcomes, emphasizing caution in interpreting the research model, and the necessity for expanding the survey population and improving survey items in future research.

NCS기반 공학교육인증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학습성과와 능력단위의 연관 기법 (Association of Program Outcomes and Competency Units for Curriculum Development of NCS Based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 박경환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59-65
    • /
    • 2020
  • This paper introduces the association method for the program outcomes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 competency unit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his association method can be used to efficiently develop an engineering curriculum that is based on both of the NCS and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The association method consists of an analysis phase, an association phase and a checking phase. We also deals with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dure that uses the proposed association of program outcomes and competency units. Also, we provide the application of this method to the computer engineering program for NCS-based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Thus we can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develop curriculums for the NCS-based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전자공학 전공에서의 교과기반평가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ourse-Embedded Assessment in Electronic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 박재환;안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43-49
    • /
    • 2019
  • A case of course-embedded assesment in electronic engineering was studied. In particular, a realistic evaluation system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field and university realities. 10 program outcomes were mapped with all courses in the program. 5 probe courses were selected and their course learning objectives were defined. Measurements of the course learning objective were made by term project and written course test. With using course-embedded assesment, the measurement system of the program outcomes should be changed.

ABEEK 인증을 대비한 프로그램 교육목적 및 학습성과 설정 (Determination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the Outcomes of the Program for Preparing ABEEK Accreditation)

  • 박강;김정국;박재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3권2호
    • /
    • pp.51-60
    • /
    • 2000
  •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이 발족되어 각 프로그램에 대한 인증작업이 시작되었으나 이를 준비해야 하는 교수진들은 인증 준비절차에 대한 실무적인 사례가 부족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전체 인증 준비과정 중에서 프로그램 교육목적과 학습성과를 선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프로그램 교육목적은 교육수요자들의 요구, 교육기관의 교육목적 및 특성, 프로그램별 특성을 반영한 구체적이고 평가 가능한 목적이어야 한다. 프로그램 학습성과는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이 제시한 12가지 학습성과에 프로그램의 특성에 맞는 학습성과를 추가하여 완성하였다. 프로그램 교육목적과 학습성과는 각 과목의 교육목적 및 교육기관의 교육목적들 간에 서로 연관성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상관관계분석표를 통하여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 PDF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성과(PO)에 대한 교육요구도 사례 연구 (Case Research on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Students about Program Outcomes(PO))

  • 박기문;이규녀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3호
    • /
    • pp.38-44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bigcirc}{\bigcirc}$대학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대한 교육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학습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공과대학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과대학생들은 학습성과 중 PO2(분석 실험), PO3(설계능력), PO6(팀윅)의 필요도를 높게 인식하였고, 학생 자신이 가진 현재 능력은 PO3(설계능력), PO4(문제해결), PO10(시사상식)을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성과의 교육요구도 순위는 PO3(설계능력), PO2(분석 실험), PO1(지식 응용), PO5(실무능력), PO4(문제해결)로 나타나 공학적 학습성과의 교육요구가 높았다. 반면 비교적 융합적이고 인문적 소양의 성격을 가지는 학습성과(PO7, PO10, PO11)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공과대학의 교육과정은 학습성과 중 설계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설계교육에 비중을 두어 기초설계, 요소설계, 종합설계의 체계적인 이수체계 확립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교수학습 제반활동이 지원되어야 한다. 또한 PO1(분석 실험), PO4(문제해결), PO5(실무능력), PO6(팀웍)에서는 학년별, 성별, 전공 계열별로 학습성과에 따른 교육요구도가 다소 큰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고 이러한 점을 고려한 교육과정 설계와 개선이 필요하다. 정규교과과정을 통한 학습성과 성취가 제한이 될 경우에는 비교과과정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간호대학생의 통합임상실습 전·후 학습성과의 차이 (A comparative study Program Outcome between nursing college students before and After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 이외선;노윤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3-30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통합임상실습 전·후 학습성과의 차이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임상실습 교육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로 자료수집은 2021년 7월 19일부터 9월 10일까지 간호대학생 38명을 대상으로 2주간 통합임상실습 전·후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빈도, Wilcoxon sign rank, 피어슨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통합임상실습 후 제1학습성과(통합적용)(Z=-4.63, p<.001), 제2학습성과(핵심수행)(Z=-3.99, p<.001), 제6학습성과(비판적사고)(Z=-3.60, p<.001) 및 제11학습성과(연구수행)(Z=-2.76, p=.005)가 실습 전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통합임상실습이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실습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 적극 활용하기를 제언한다.

D대학교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운영성과 분석: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Engineering Students' Perceptions of Accredited Engineering Program Performance)

  • 박민정;홍성조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4호
    • /
    • pp.57-6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ABEEK accredited engineering program in D University. Based on engineering students' perceptions, this study explores how well the students are aware of the accredited engineering program, what change has been made to the courses, to what extent they have been participating in class and interacting with teachers and other students, to what extent they have been actively participating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o what extent they have achieved program outcome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Fall 2014.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are well aware of the accredited engineering program; however, they are rarely aware of program outcomes. Second, th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major and design courses compared to the MSC and general education courses. Third, the students were mor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ajor and design courses compared to the MSC and general education courses. Fourth, the students were passively engaged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Finally, the program outcomes related to soft skills showed low-achie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