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7초

초등 영재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학 수업 사례 분석 (An Analysis of Mathematics Instruc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Gifted)

  • 김민정;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2호
    • /
    • pp.143-160
    • /
    • 2016
  • 최근 영재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많아지는 반면, 정작 각 영재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수업 전문성의 요소나 이를 적용하여 수업을 분석한 사례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수학 영재 교수 학습의 요소를 탐색하고 초등 영재 교사의 수학 수업을 상세히 분석한 사례를 제공한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교수 학습의 특징 외에도 수학 영재의 특성을 고려한 학습 환경 조성, 수학 심화학습 위주의 과제 제시 및 확장, 고차원적인 수학적 사고 촉진, 수학적 규칙성 연결성 유용성을 강조하는 특징이 드러났다. 이를 통해 초등 수학 영재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수업에 대한 실제적 담론의 기초를 형성하고, 영재 교사에게는 초등 수학 영재 수업을 바라보는 안목의 형성과 전문성 향상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초등 수학 수업에 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f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by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mong Teachers)

  • 김정원;방정숙;김상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4호
    • /
    • pp.267-286
    • /
    • 2017
  • 본 연구는 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5명의 2학년 교사들로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수업계획, 실행, 반성 과정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전문적 학습 공동체 활동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수업을 준비하고 수업 실행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하고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교사들은 공동 지도안을 재구성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일부 한계점을 드러내기도 하였고, 수업을 반성하는 측면에서는 후속 수업을 위한 의미 있는 비평보다는 소감을 공유하는 수준에 머물기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드러난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긍정적인 측면과 한계점을 통하여 앞으로 교사 공동체 활동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 Study on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Teachers' Collaborative Learning: Focused on an Analysis of Discourses

  • Chen, Xiaoying;Shin, Bom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1-20
    • /
    • 2022
  • Collaborative learning has been highlighted as an effective method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various studies. To disclose teachers' discourse threads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for developing their knowledge, this paper adopted two methods including "content analysis" and "time-sequential analysis" of learning analytics. Such analyses were implemented for mining teachers' updated knowledge and the discourse threads in the discussion during collaborative learning. The materials for analysis involved two aspects: one was from the video-taped lesson observation reports written by teachers before and after discussing, and the other was from their discourses during the discussion process. The results proved that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the centroid of a triangle was updated in the collaborative learning period, and also revealed the discourse threads of teachers' collaboration contained "requesting information or opinions", "building on ideas", and "providing evidence or reasoning", with the emphasis on "challenging ideas or re-focusing talk"

수학교실에서 교사의 역할에 따른 상호작용 패턴 분석 (An Analysis of Interaction Patterns by Teacher's Role in Mathematics Classrooms)

  • 조우기;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2
    • /
    • 2010
  • 이 연구는 교사의 역할에 따른 상호작용 패턴을 분석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즉, 교사의 역할에 따라 수학 수업에서 상호작용의 패턴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특별시 소재의 초등학교에서 자율장학의 수업 관찰과 면담 등을 통하여 수학 수업에 대해 중립적인 성향, 교사 중심적인 성향, 학생 중심적인 성향을 갖고 있는 세 명의 4학년 교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세 교사의 수학 수업을 측정, 연산, 확률과 통계, 문자와 식 영역에 대해 수업녹화와 수행평가지 그리고 학습지 분석을 통하여 수학적 수업관행과 상호작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립적 성향의 교사는 수학 수업에서 학습의 안내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교사 중심적 성향의 교사는 학습의 지시자 역할을, 그리고 학생 중심적 성향의 교사는 학습의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업관행의 분석 결과 드러났다. 그리고 상호작용 패턴에 있어서 학습의 안내자 역할을 한 교사의 수업에서는 보고서 패턴과 탐구 패턴이 주로 관찰되었으며, 학습의 지시자로서의 역할을 한 교실에서는 보고서 패턴이 주를 이루었고, 학습의 조정자 역할을 한 교사의 수업에서는 논의 중심의 가장 고차원적인 상호작용이 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이 수학적 상호작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결국 학생들의 수학 학습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주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 변화를 위해서는 수학 교과, 특히 수업 방법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 PDF

수학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mathematics instruction)

  • 권성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4호
    • /
    • pp.253-266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수학수업의 개선을 목표로 초등교사의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이후 수학수업개선의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학수업분석 강의를 수강하는 초등교사의 수학수업에 대한 생각을 조사하였다. 특히 조사대상 교사들은 수학수업분석에 관심이 있을 뿐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타교사의 수학수업 분석 및 컨설팅 경험이 있는 교사들로, 조사대상 교사들이 가진 수학수업에 대한 생각들이 다른 교사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들이 가진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강의 수강 전에 수학을 중요 교과라고 생각하는 이유, 초등학생들이 수학을 싫어하고 어려워하는 이유, 현재 초등학교 수학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이유, 바람직한 수학수업의 모습과 이를 위한 변화 등에 대해 서술형 문항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이후 수학수업의 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수학 교사의 수업실천역량 향상을 위한 수업관찰도구의 역할 (The Role of Classroom Observation Instruments in Supporting Mathematics Teachers' Instructional Change)

  • 노지화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183-198
    • /
    • 2023
  • Classroom observation instruments are often used to evaluate teachers' instructional practices and provide feedback to inform interventions or research studies, or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While designed as research tools, many classroom observation instruments can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support teachers' learning and instructional change by providing a focus for formative assessment or self-evaluation of practice. In this paper, we review two classroom observation tools and the protocols for their use with an implementation example for one of the tools. These tools are more foreign to the field compared to others but have features that might serve as affordances in relation to the purposes of a specific investigation.

초등학교 수학 교실에서의 열린 교육 실천을 위한 포오트폴리오 평가와 사례 (A Portfolio Assessment and the Case for Practicing Open Education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김수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9-121
    • /
    • 1997
  • 포오트폴리오 평가란 하나 이상의 주제나 문제에 대한 해결 과정을 모두 기록함과 아울러, 이들에 대한 반성적 자기 평가 결과들을 모아둔 것으로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기 자신의 변화 과정을 알 수 있고 자신의 장점이나 약점, 성실성 여부, 잠재 가능성 등을 스스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교사들은 학생들의 과거와 현재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을 환 아니라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한 조언을 할 수 있다. 포오트폴리오 평가는 결과만을 중시하는 평가 방법이 아니라 과정 중심 평가 또는 과정과 결과의 통합 평가의 한 대안적인 방법으로 학습자의 자아실현을 위한 발달의 잠재적 가능성을 키워주는 중요한 도구로 이용될 수 있다.

  • PDF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topic modeling)

  • 신동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1호
    • /
    • pp.63-80
    • /
    • 2020
  •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7종의 KCI 등재지에 게재된 3,114편의 수학교육 논문와 5종의 SSCI 등재지에 게재된 1,636편의 수학교육 논문의 연구 동향을 텍스트 마이닝 기술의 하나인 토픽모델링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는 16개의 유사한 주제와 7개의 상이한 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와 관련된 주제는 국내와 해외 수학교육 연구에서 모두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연구주제였다. 현직교사 재교육에 관한 연구주제는 국내 연구에서는 하나의 독립된 주제로 나타나지 않았지만, 해외 연구에서 많은 관심을 받는 주제로 나타났다. 해외 수학교육 연구에 비해 국내에서는 수학적 역량에 관한 연구의 관심이 높았지만, 이는 문제해결역량과 창의·융합역량에 치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해외 수학교육에서는 정체성과 공정성에 관한 연구가 강조되었다.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적용 효과 - 초등수학교육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for Training 'Classroom Friendly Teachers' -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 이광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4호
    • /
    • pp.543-56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교실친화적 교사가 갖추어야 할 내용 즉 '교실 활동 능력', '자기 개발 능력', 그리고 '교직 품성'의 세 영역을 중심으로 PBL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을 적용하여 '교실친화적 초등 수학교사' 및 문제해결학습에 대한 개념을 명료화하여 두 개념의 융합점을 찾아 적용 가능성을 진단하고 '교실친화적 초등 수학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PBL을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며 그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로 예비교사들은 PBL을 통하여 수학에 대한 사고, 수학 학습에 대한 사고, 수학 교수에 대한 사고들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됨을 알 수 있었고 교실활동 능력과 교직품성을 기를 수 있었으며 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지식의 적용 및 문제해결 계획에 대한 반성과 개별학습 및 협동학습을 통하여 공통의 해결 방안을 강구함으로써 자기 개발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 PDF

Fostering Pre-service STEM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Lesson Learned from Case-based Learning Approach

  • Srisawasdi, Niwat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56-1366
    • /
    • 2012
  • As the recent demand for human resources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STEM teacher is called worldwide. It is becoming a critical need in teacher education in order to educate student teachers, and prepare pre-service and beginning teachers for high quality of teaching competency. To promote the competency for $21^{st}$ century STEM teachers, the epistemology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is currently considered as the essential qualities of knowledge for highly qualified teachers. The aim of this study is explore the effect of case-based learning approach on TPACK competency of pre-service STEM teachers. In order to develop the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y regarding effective integration of technologies into teaching specific content areas, a series of innovative case study teaching in science and mathematics was presented to 43 participants of pre-service physics, chemistry, biology, mathematics, and computer teachers during a cour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Education at Khon Kaen University, Thailand. After finishing a case presentation,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encouraged into a forum of critical open discussion by considering the potential impact of the case and the TPACK framework. They were investigated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y of using ICT tools into student learning process and their personal beliefs about ICT in educational process both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nt's reactions and learning was evaluated by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n implementation log of content-specific learning process design, respectively. Results showed a change of their belief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ir TPACK competency in STEM teaching. In an effort to better serve the needs of high quality STEM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llustrated that the competency of TPACK could be particularly considered as a core attributes for future STEM teachers. By the way, case-based learning approach can play an effective part in preparing and professing the TPACK competency for STEM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