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ssing

검색결과 68,990건 처리시간 0.09초

연속시간 모델 순환결합형 신경회로망에서의 리미트사이클의 안정성 해석 (Stability Analysis of Limit Cycles on Continuous-time Cyclic Connection Neural Networks)

  • 박철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79-184
    • /
    • 2006
  • 신경회로망을 동적 정보처리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비대칭 결합 신경회로망에서 생성하는 동적 상태천이에 관한 직관적 이해가 필요하다. 자기결합을 갖고 결합하중치가 비대칭인 순환결합형 신경회로망은 복수 개의 리미트사이클을 기억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이산시간 모델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천이 해석은 상세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연속시간모델에 대한 해석은 네트워크 규모의 증가에 따른 급격한 계산량의 증가 때문에 그다지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뉴런이 최근접 뉴런에만 이진화된 결합하중 +1 및 -1로 연결된 연속시간모델 순환결합형 신경회로망의 동적인 상태천이 특성을 해석하여 이산시간 모델에서 기억 가능한 리미트사이클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뉴런의 활성화 함수가 완전선형인 경우와 구분선형 근사인 네트워크에 대한 리미트사이클의 안정성을 해석하였다.

Effect of Heat Pretreatment on the Functional Constituents of Rice Germ

  • Kwon, Yun-Ju;Lee, Ki-Teak;Yun, Tae-Moon;Choi, S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4호
    • /
    • pp.330-335
    • /
    • 2004
  • Changes in functional constituents of rice germ prepared using three different heat pretreatments: roasting, steaming and microwave heating,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non-treated rice germ. The yield of rice germ oil increased generally and then decreased with increasing time for all three heat pretreatments, although the yields of rice germ oil varied among the three heat pretreatments. There were no major differences in fatty acid compositions among the rice germ oils subjected to the three different heat pretreatments. Levels of $\alpha$-tocopherol in rice germ oil increased up to about 1.5 times at 3 min of roasting and microwave heating, compared to control, and then decreased with increasing treatment time, but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s in rice germ oil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steaming time. The contents of three phytosterols ($\beta$-sitosterol, stigmasterol and ergosterol) decreased progressively with increases in roasting and steaming time, while concentrations of the three phytosterols increased up to - 15$\%$ with 3 min of microwave process as compared to control, and then decreased thereafter. Levels of $\gamma$-oryzanol in rice germ oil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time during all three different heat pretreatments. However, levels of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in rice germ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roasting time, while those of GABA increased greatly up to about 2 times after 10 min of steaming process, and then decreased slowly thereafter. During microwave heating, the contents of GABA increased at 3 min of treatment time and then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crowave heating may be the most suitable processing method to preserve functional constituents in rice germ.

분무건조에 의한 분말대추음료의 가공 (Processing of Powdered Jujube Juice by Spray Drying)

  • 안덕순;우강융;이동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1-86
    • /
    • 1997
  • 대추를 이용한 가공제품의 하나로서 분무건조에 의한 분말음료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대추 추출액은 그 자체로는 모든 농도 범위에서 분무건조 하기가 불가능하였고 건조보조제의 첨가에 의해서 분말음료로의 제조가공이 가능하였다 대추 추출액은 26。Bx 농도까지 농축시키고 알맞은 건조보조제를 첨가하여 최종농도를 30。Bx로 조정하여 분무 건조시켰다 첨가되는 건조보조제의 양은 대추 추출액과 건조보조제의 비율이고 형물 기준으로 1:1정도까지 흔합했을때 건조가 용이하고 얻어지는 제품의 품질이 양호하였다. maltose, 농축유, gum arabic, dextrin등의 건조보조제를 검토한 결과 maltose와 gum arabic을 흔합하여 사용할 때 제품의 관능적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대추 추출시의 효소처리는 수율을 13~39% 향상시 킬 수 있었다. 그렇지만 효소처리가 분말대추음료의 관능적인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추출수율 향상을 위해 사용되어진다면 품질열화가 적은 pectinase의 0.5% 처리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말쥐치 내장유의 정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1. 말쥐치 내장유의 정제 (Studies on the Refining and Utilization of Filefish Viscera Oil 1. The Refining of Filefish Viscera Oil -)

  • 강훈이;대도해명;소천천추;김동연;이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5-180
    • /
    • 1992
  • 말쥐치 가공 중 폐기되고 있는 말쥐치 내장중의 지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탈검, 탈산, 탈색 및 탈취 등 말쥐치 내장유의 정제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말쥐치 내장유 100$m\ell$에 대하여 4% 옥살산을 20$m\ell$ 첨가하고 이어서 6$0^{\circ}C$에서 15분간 교반하여 탈검한 다음 이것에 4M의 알칼리 용액을 계산량 보다 0.5% 과잉으로 첨가한 후 6$0^{\circ}C$에서 30분간 탈산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탈산처리한 말쥐치 내장유의 10%에 해당하는 산성 백토를 첨가하고 감압하에 6$0^{\circ}C$에서 20분간 탈색 처리한 후 압력을 4 torr 이하로 유지하면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18$0^{\circ}C$ 에서 60분간 처리한 말쥐치 내장유가 물리, 화학적 성상이 가장 우수하였다.

  • PDF

한국어 Hedge 문장 인식을 위한 태깅 말뭉치 및 단서어구 패턴 구축 (Constructing Tagged Corpus and Cue Word Patterns for Detecting Korean Hedge Sentences)

  • 정주석;김준혁;김해일;오성호;강신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61-766
    • /
    • 2011
  • Hedge는 불확실함을 나타내는 언어적 표현으로, 저자가 자신의 글에 내포된 내용이 불확실하거나 의심이 갈 때 사용한다. 이러한 불확실성 때문에 hedge가 포함된 문장은 사실이 아닌 문장으로 간주된다. 문장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은 여러 응용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정보검색, 정보추출, 질의응답 등의 응용분야에서 전처리 과정으로 사용되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hedge 말뭉치를 구축하고, 이로부터 hedge 단서 어구들을 추출하여 일반화된 단서어구 패턴을 구축한 후, 한국어 hedge 인식 실험을 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78.6%의 F1-measure값을 얻을 수 있었다.

비젼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 터치 입력 장치 (Visual Multi-touch Input Device Using Vision Camera)

  • 서효동;주영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18-72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비젼 카메라를 이용한 비주얼 멀티 터치 입력 장치를 제안한다. 제안된 입력 장치는 비젼 카메라를 이용하므로 기존 스마트 폰에서 사용하는 터치 스크린 입력 장치에 비해 non-touch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안된 장치는 컴퓨터 계산 시간이 짧아 실시간 구현이 가능하고, 카메라외에 다른 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존재하는 입력장치보다 싸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HSV 컬러 모델과 라벨링 방법을 이용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 다음, 손이 움직이는 영역의 정확성을 개선하기위해, 기하학적인 특징점, 동심원, 칼만 필터에 기본한 움직임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장치는 비디오 게임, 스마트 TV, 컴퓨터등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보인다.

메쉬 및 세선화 기반 특징 벡터를 이용한 차량 번호판 인식 (A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Using the Feature Vectors based on Mesh and Thinning)

  • 박승현;조성원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05-711
    • /
    • 2011
  • 본 논문은 산업응용을 목표로 효과적인 차량 번호판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자동차 이미지를 얻은뒤 캐니 에지 추출(Canny Edge Detect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연결된 사각형을 찾아 번호판을 추출한다. 추출된 번호판의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흰색/녹색 번호판을 구분하고, 각 번호판을 OTSU 이진화와 주변 전경 픽셀 전파 알고리즘인 CLNF (CCLUF with NFPP)을 통해 문자를 제외한 잡음을 제거하고 레이블링하여 숫자 및 문자 영역을 분리한다. 분리된 문자 영역은 메쉬 방법 및 세선화 후 X-Y 투영 방법으로 특징 벡터를 추출한다. 추출된 특징 벡터는 역전파 신경망으로 미리 학습된 가중치 값과 비교되며, 최종 문자 인식을 수행한다. 제안된 차량 번호판 인식 알고리즘의 효과적 동작은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합 가능한 복합 바퀴-다리 이동형 로봇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brid Wheeled and Legged Mobile Robot with Docking Mechanism)

  • 이보훈;이창석;김용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92-697
    • /
    • 2011
  • 로봇의 이동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로봇의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휠(wheel)과 다리(Leg)기반 변형이 가능하고, 로봇간 상호 결합이 가능한 복합 이동형 로봇을 제안하였다. 복합 이동형 로봇은 로봇간 결합을 위해 페그 모듈과 컵 모듈을 로봇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장착하고, 주행과 보행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다양한 지형에서 이동성을 향상을 위해 임베디드 영상기반 결합 및 분리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로봇간 결합을 통해 끊어진 도로와 비평탄 지형에서의 결합 이동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로봇의 전면과 밑면에 장착된 PSD 센서를 이용하여 지형을 인식하고, 지형에 맞은 극복 알고리즘을 통해 로봇간 협력을 통해 이동성을 향상시킨다. 제안한 방법들은 임베디드시스템 기반의 복합 주행 이동형 로봇을 실제 제작하여 실험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다.

Korean Medicated Diet Has Lee Jema's Traditional Sasang Medicines by High Absorbency and Natural Healing-Power Targets

  • Kim, Dong-Myong;Cha, Eun-Ch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198-205
    • /
    • 2005
  • Korean medicated diet (KMD) is not a simple combination of food and Chinese drugs, but a special carefully constructed diet made from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 food and condiments under the theoretical guidance of diet preparation based on differentiation of symptoms and signs of traditional Sasang medicine (TSM). It combines the functional efficacy of medicine with the delicacy of food, and can be used to prevent and cure diseases, build up one's health and prolong one's life. Korean traditional medicated diet has a long history of development. Although influenced by Chinese medicin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has been developed into a unique system of traditional medicine that has surpassed the continental medical practice, sublimating itself into a native medical practice suitable to Korean lifestyles and physical constitutions. In the 19th century, Lee Jema's Sasang medicine (medicine of four types of energy determining the physical constitution) was introduced. It is an integration of mind and body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physical constitution that is categorized allowing a customized method of treatment ideal for each category-making the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medicated diet even richer.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edicated diet are as follows: (1) Laying stress on the wole, selecting medicated diet on the basis of differential diagnosis. (2) Suitabl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utstanding in effect. (3) Good in taste, convenient for taking. KMD refers to drink and food according to certain prescriptions, by processing and cooking that can be used either for prevention and cure of diseases, or for health care and recovery.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introduce TSM and KMD based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

Development of a Functional Chungkookjang (Soybean Paste Fermented for 2-4 Days) with Anti-AGS Human Gastric Cancer Cell Properties

  • Park, Kun-Young;Jung, Keun-Ok;Kwon, E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1호
    • /
    • pp.54-60
    • /
    • 2003
  • To develop a functional chungkookjang; the anticancer effects of chungkookjangs prepared with different varieties of soybeans, starters, fermentation periods and seasoning additive ratios; were studied against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using the MTT assay, at different stages chungkookjang processing. The chungkookjang samples exerted different antiproliferative effects according to the variety of soybeans used. The chungkookjangs manufactured with soybean var. manrikong exhibited the highest cytotoxicity against AGS human cancer cells. The chungkookjangs fermented with rice straw and B. licheniformis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the AGS human cancer cells. All fermented chungkookjangs had a strong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the cancer cells; however, the non-fermented soybean (chungkookjang) showed a low inhibition rate. The fermented chungkookjangs mixed with red pepper powder (RPP) and garlic exhibited strong antiproliferative effect against the cancer cells, and chungkookjang prepaved with 1.1 % RPP and 1.1 % garlic showed the highest cytotoxicity against the cancer cells. The functional chungkookjang fermented with soybean variety of manrikong and B. licheniformis for 3 days at 4$0^{\circ}C$ and then mixed with 7.9% salt, 1.l% RPP and 1.1% garlic, exhibited a higher antiproliferative effect than the chungkookjangs prepared by traditional or modified methods, according to the MTT assay. The functional chungkookjang exhibited a similar anticancer effect to the traditional doenja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ermentation period and the ratio of seasoning additives, as well as the variety of soybeans and starter cultures may affect the degree of the anticancer effect of chungkookj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