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ssing

검색결과 68,992건 처리시간 0.085초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처리한 아마란스 가루의 특성 (Properties of Amaranth Flour Processed by Various Methods)

  • 최차란;김성란;이재학;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62-267
    • /
    • 2004
  • 아마란스를 식품가공용 중간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아마란스 종실을 1차 가공처리한 후 전분과 각 가루의 가공특성을 조사 하였다. 아마란스는 전분, 무처리(UT), 탈지(DF), 발아(GM), 로 스팅(RT), 팽화(POP), 압출성형(EK1, EX2)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아마란스 가루의 결정형은 전형적인 A형을 보였고 탈지, 발아, 로스팅 처리에 의한 결정형과 결정강도의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팽화 처리와 압출성형에 의해서는 결정형이 사라졌다. 시료의 물 결합능력은 가공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어 POP 시료의 물 결합능력이 740.3%로 가장 컸고, EX1이 35.5%로 가장 낮았다. 아마란스 가루의 광투과도 특성은 $60^{\circ}C$에서 차이가 있어 RT, POP, EX1, EX2 시료의 광투과도가 높게 나타났다. RVA로 측정한 아마란스 시료의 호화온도는 POP와 EX1, EX2를 제외하고 $68.1-73.0^{\circ}C$이었고, 피크점도는 GM이 31.6 RVU, RT가 401.1 RVU로 큰 차이가 있었다. DSC결과 또한 RVA 결과와도 일치하여 POP, EX1, EX2는 milling endotherm이 나타나지 않았다.

가공조건에 따른 GM corn Bt11의 유전자 변화와 모니터링 (Changes in DNA Fragments in Bt11 Corn Caused by Processing Conditions and Their Monitoring)

  • 이철수;김영찬;황순욱;강상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99-305
    • /
    • 2004
  • 유전자재조합 옥수수 Bt11을 이용하여 가공조건에 따른 유전자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직접 가열하여 탄화 혹은 갈변 되거나 수분을 함유한 멸균조건에서는 내재유전자 및 삽입유전자는 완전히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탕처리나 건조상태의 멸균, 단순 건조 등의 방법으로는 유전자의 많은 양이 보존됨을 알 수 있었다. 당화효소를 이용한 효소처리에서는 유전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가공생산 공정에서도 전분당의 생산공정에서 효소처리 단계에서는 영향이 없었고 이후 당화액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유전자가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모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가공식품을 65종 모니터링 분석한 결과 13.6%인 9종에서 유전자재조합 옥수수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콘칩 등의 과자류에서 사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산 옥수수 분말을 사용한 율무차, 쇠고기 수프, 옥수수 수프, 식빵믹스 등에서 GM옥수수의 검출빈도가 높았으며, 옥수수통조림, 전분당, 식용유, 팝콘류 등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비행선촬영시스템을 이용한 영상지도 제작 (Image Map Generation using the Airship Photogrammetric System)

  • 유환희;제정형;김성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9-67
    • /
    • 2002
  • 최근 기존의 종이지도를 대신할 수치지형도와 같은 벡터데이터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더불어 항공기 및 인공위성의 광학센서 기술의 발달과 해상력이 높은 지구관측 다목적 상업위성들이 출현하면서 고해상 정사영상과 같은 래스터 데이터의 활용성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비행선을 이용한 비디오 항공촬영기법은 실시간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공기나 인공위성 관측에 비해 비용적인 측면에서 경제적이며 상대적으로 고해상의 컬러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취득 및 처리 절차가 비교적 간단하며 인접 영상간 입체영상을 쉽게 취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CCD 센서의 제한된 해상력으로 인하여 광범위한 지역의 토지이용현황 관측과 같은 정밀한 정확도를 요구하지 않는 소축척의 현황도 제작이나 주로 스트립(strip) 영상을 모자익하여 선형적인 지형요소의 관측이나 GIS 데이터 구축에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소지역을 대상으로 한 1:5,000축척의 수치지도 제작뿐만 아니라 기제작된 수치지도의 검증, 수정과 갱신작업에도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울러, 다양한 종류의 비디오영상자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도시지역의 시설물 관리나 도시 경관관리, GIS자료 구축 등 광범위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형특징을 고려한 고정밀 3차원 공간분석기법 개발 및 그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igh-Precision 3-D Spatial Analysis Technique applied to Terrain Features)

  • 신봉호;양승룡;송왕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9-177
    • /
    • 2000
  • 지형공간정보체계에 있어서 실세계의 자연지형에 대한 모델링 기법은 지형정보처리의 주요한 구성요소이다. 본 연구는 지형공간정보체계에서 불규칙삼각망을 이용하여 지형특징을 고려한 고정밀 3차원 공간분석기법 개발 및 그 적용기법에 관한 연구로서, 연구결과 완경사지와 급경사지의 경우 지성선을 고려한 모델 3의 경우가, 복잡지의 경우 peak를 고려한 모델 2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비교모델에 비해 작은 RMSE를 보임으로써 비교모델 중 가장 정밀도가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경사도 평가방법과 surface구축방법에 따른 최적의 루틴을 도출한 결과 완경사지의 경우 N_T, LSP_T, LSQ_T의 루틴, 급경사지의 경우 N_T의 루틴. 복잡지의 경우 LSQ_T의 루틴으로 공간분석을 수행하는 기법이 고정밀 3차원 공간분석을 위한 최적의 루틴으로 제시되었다.

  • PDF

디지털영상의 특정영역 인식과 처리 방안 (Methods on Recognition and Recovery Process of Censored Areas in Digital Image)

  • 김감래;김욱남;김훈정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보안목표물의 효율적인 활용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항공사진 영상에 표현된 보안 삭제구역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영상의 특정영역 인식을 위하여 클러스터링과 레이블링을 실시하였으며, 후처리 알고리즘을 통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의 다양한 활용성을 극대화시키려 하였다. 이러한 연구성과를 토대로 영상의 밝기 값은 지형ㆍ지물의 수량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영상 전체에 포함되어 있는 지형·지물의 정보량 판단에 유용한 평가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영상인식 및 후 처리에 있어서 도심지나 교외지의 경우 기존 보안목표물의 삭제를 위한 처리절차와 유사하게 인식되는 지형ㆍ지물의 다수 포함으로 인해 산악지에 비해 좋은 결과 값이 도출되지 않았으며. 이는 지형·지물의 수량이 인식 및 처리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원 수치영상을 이용한 암반사면의 불연속면 정보 추출 (The Discontinuity Information Extraction of Rock Slope using the 3D Digital Image)

  • 엄대용;이성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3-244
    • /
    • 2004
  • 최근 건설 분야를 비롯한 여러 산업분야에서 대상물에 대한 사실적인 표현이 가능한 3차원 수치영상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사진측량기법을 기반으로 3차원 수치영상 생성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대상물에 대한 3차원 수치영상을 시범적으로 생성하였다. 그리고 3차원 수치정보의 획득을 위해 최근에 많이 활용되는 수치사진측량시스템에 의한 처리결과와 비교 분석을 통해 3차원 수치영상의 활용 가능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3차원 수치영상의 적용가능성을 점검하기 위해 암반사면의 불연속면 조사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3차원 수치영상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대한 3차원 수치영상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었으며, 암반사면에 대한 지표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자열(煮熱) 새우의 건조방법(乾燥方法) 및 저장중(貯藏中) 지질(脂質)의 산화(酸化)와 유효성(有效性) Lysine의 변화(變化) (Changes in Available Lysine and Lipid Peroxydation During Drying and Storage of Bioled Shrimp)

  • 엄애선;고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11
    • /
    • 1987
  • 수산식품의 품질보존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지질의 산화생성들이 단백질의 영양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새우를 시료로하여 건조과정과 저장중에 생성되는 지질의 산화생성물과 유효성 lysine간의 반응과 갈변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는다음과 같다. 새우를 5%식염수에서 자숙한 후 $30{\pm}5^{\circ}C$에서 30시간 열풍건조 및 천일건조하였을 때 과산화물값은 열풍건조한 시료에서 12시간후, 천일건조한 시료에서는 18시간후에 증가하여 저장 15일경에 최고도에 달하였다. TBA값은 건조과정중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저장 25일경부터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유효성 lysine은 건조과정중 지질이 산화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특히 감소현상은 건조초기에 현저하였다. 지질이 산화됨에 따라 갈변색소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새우는 건조과정에서 지질이 산화됨에 따라 유효성 lysine의 량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으나 건조방법에 의하여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저장중 율무가루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 in Raw and Processed Adlay Powder during Storage)

  • 한지숙;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97-705
    • /
    • 1989
  • 생 율무가루와 가공(침지, 증자, 건조)된 율무가루를 $5^{\circ}C$$35^{\circ}C$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지방질에 있는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획분별 지방질의 주요지방산은 oleic, linoleic, palmitic acid였으며, stearic 및 linolenic acid도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35^{\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에 linoleic acid의 조성비는 감소하였으며 상대적으로 oleic 및 palmitic acid의 조성비는 증가하였으나, $5^{\circ}C$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생 율무가루가 가공된 율무가루보다도 더욱 현저하게 변화하였다. TG에 함유된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중성지방질과 거의 유사하였으며, 유리지방산은 $35^{\circ}C$에서 저장한 것이 $5^{\circ}C$에서 저장한 것보다 oleic acid를 많이 함유한 반면, linoleic acid를 적게 함유하였으며 이러한 현장은 생 시료에서 더 현저하였다.

  • PDF

Plank's Equation의 변형에 의한 식품의 동결시간 예측 (Studies on the Freezing Time Prediction of Foodstuffs by Plank's Equation of Modification)

  • 정진웅;공재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80-286
    • /
    • 1988
  • 이상과 같이, 기존 data의 정확도에 대한 고찰과 본 연구에서 소개한 단순한 해석적 방법에 의한 식품의 동결 시간예측 model로서, 실제 측정한 시료별 실험치와 기존 model을 비교 검토하였다. 기 발표된 lean beef등 109개의 data중, Hung & Thompson의 data는 Nagaoka 및 Pham의 model에, Cleland & Earle의 data는 Hung $ Thompson의 model에 매우 접근함을 볼 수 있으며, 시료별로 살펴볼 때, tylose등 5품목의 시료는 Nagaoka 및 Pham의 model에 잘 적용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 사용한 pine mushroom등 4품목은 Cleland & Earle, Hung & Tompson 및 Pham의 model에 잘 부합되며, 제안된 model의 간편성과 정확도에 있어서도 단지 3가지의 실험적 매개변수와 7가지의 물성치 만으로 실험치와 비교한 결과, 공학적 최소오차 범위인 ${\pm}10%$ 이내로 나타났다.

  • PDF

네트워크 기반 키너매틱 위치결정을 위한 단일기선 GPS해의 최적 결합 (The Optimized Integration of Single-baseline GPS Solutions for Network-based Kinematic Positioning)

  • 최윤수;배태석;이종기;권재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7-213
    • /
    • 2007
  • 다수의 고정수신기를 이용하여 이동수신기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고자 하는 필요성은 계속적으로 대두되고 있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상용 소프트웨어에서는 단일기선에 대한 GPS 결과만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단일기선 결과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이동수신기의 위치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측지 망 조정 이론을 도입하여 이동수신기의 위치결정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위치정확도 향상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측지망의 계수부족(Rank-deficiency)을 제거하기 위해서 하나의 고정수신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방법(RLESS), 이동수신기의 바이어스(Bias)를 최소화하는 방법(BLIMPBE), 그리고 고정수신기의 위치에 확률적 제약 조건을 주는 방법(SCLESS)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결정을 통해서 3차원 평균제곱근오차(RMSE)는 최대 3.5cm에서 2.1cm 수준으로 향상되었고, 기준점의 위치정확도에 따라 BLIMPBE 및 SCLESS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