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ss ability

검색결과 3,430건 처리시간 0.025초

중학교 2학년 과학영재들의 자유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과학적 추론 능력 분석 (Analysis of the Scientific Reasoning Ability of Science-Gifted 2nd Middle School Students in Open-Inquiry Activities)

  • 임성철;김진화;정진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2호
    • /
    • pp.323-337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중학교 2학년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추론 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과학영재들이 과학자가 지식을 얻는 과정과 유사한 자유탐구 활동을 실시할 때 어떠한 과학적 추론과정을 거쳐 탐구하고 있으며 과학적 추론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하고 분석하는 것은, 학생 지도에 있어서 교육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정선희 등(2011)이 번역한 Dolan과 Grady(2010)의 CSRI Matrix를 이용하여 추론 복잡성을 분석하였으며, 추론 복잡성이 높을수록 과학자가 지식을 얻는 과학적 추론 과정과 비슷하다. 연구 결과, 자유탐구의 과정별로 추론 복잡성 단계는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특히 의문 생성 과정과 연구 의문과 자료 연결 과정은 5개 팀이 모두 비교적 높은 추론 복잡성 단계를 나타낸 반면, 예비가설 생성과정 변인 선택 실험의 한계나 결점 고려 등은 비교적 낮은 단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의사소통 및 연구 결과 방어는 가장 다양한 추론 복잡성 단계 분포를 나타내었다.

  • PDF

문제중심학습 기반 STEAM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의 과학 탐구 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blem-Centered Learning Based STEAM Field Experience Learning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of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ience)

  • 고동국;홍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1호
    • /
    • pp.113-125
    • /
    • 2021
  • In this study, a problem-centered learning based STEAM field experience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and the effects of applying it were investigated. The program was composed of 8 sessions by using problem-centered learning education method and integrating STEAM elements between disciplines. The contents of program are as follow. In the step of sharing problems and making a problem-solving plan, they understood the various examples and meanings of endangered species, explored the project activities, and made an inquiry plan. In the search and re-exploration phase, a smart devic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ppearance, habitat environment and cause of extinction for Clithon retropictus, and a site inquiry plan was established for each group. Then, they moved to the field to explore brackish-headed gallops and discuss ways to protect endangered species. In the step of creating a solution, a web-based report was produced as the final product using smart devi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quiry. In the presentation and evaluation stage, the produced web-based report was used to present each group, conduct mutual evaluation, and organize project activities.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6th grade 29 students enrolled in the J University Gifted Education Center.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ests of science process skill,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of program learning,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test. In addition, a STEAM program satisfaction test was conducted after project in order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As a result of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resul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openness, criticism, and creativity among the sub-factor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Satisfaction with the STEAM program was also high, but no significant result was found in science process skill. Therefore, the program of this study could be influenced on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of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ience.

대학수학능력시험 공통과학 중 화학 영역의 문항 및 응시자 응답 분석 (Analysis of Test Items and the Applicants' Responses on the Chemistry Part in the General Science of College Scholastics Ability Test)

  • 홍미영;전경문;이양락;이범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78-386
    • /
    • 2002
  • 1999학년도부터 지난 3년 동안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공통과학 중 화학 영역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조사하였다. 내용 영역과 탐구 과정에 따른 문항수, 내용 영역과 탐구 과정에 따른 평균 정답률, 정답률 수준에 따른 문항 분포, 정답률이 높거나 낮은 문항 등을 분석하였다. '환경' 영역에서의 문항수가 매우 적었는데, 특히 '오존층'에 대해서는 한문항도 출제되지 않았다. 가장 어려운 내용 영역은 '환경' 영역의 '산성비'였다. 탐구 과정별로는 '자료 분석 및 해석'에서 가장 많은 문항이 출제되었고,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이 가장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아주 어려운 수준'의 문항은 하나도 없고. '쉬운 수준'이나 '아주 쉬운 수준'에 해당하는 문항이 많았다. 학생들은 여러 가지 개념이나 지식을 요구하는 문항을 해결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느꼈고, 저학년에서 다루어진 개념만을 요구하는 문항을 쉽게 해결하였다. 교육학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중첩된 구리 판재의 전기저항가열 표면마찰 점용접(RSFSW)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ctric Resistance Heated Surface Friction Spot Welding Process of Overlapped Copper Sheets)

  • 순샤오광;진인태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3-100
    • /
    • 2021
  • Copper sheets has been used widely in electric and electron industry fields because they have good electric and heat conduction property of the material. And, in order to bond copper material, a kind of soldering process is generally used. But, because it is difficult to bond by soldering between overlapped thin copper sheets, so, another kind of brazing bonding process can be used in that case. But, because the brazing process needs wide bonding area, it needs heat treatment process in electric furnace. Generally, for spot welding of sheets, a conventional electric Resistance Spot Welding process(RSW) has been used, it has welding characteristics using contact resistance heating induced by electric current flow between sheets. But, because copper sheets has the low electric resistance, it is difficult to weld by electric resistance spot welding. So, in this study, an electric Resistance heated Surface Friction Spot Welding process(RSFSW) is suggested and is testified for the spot welding ability of thin copper sheets. It is known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simulation that the suggested spot welding process will be able to improve the spot welding ability of copper sheets by the combined three kinds of heating generated by surface friction by rotating pin, and conducted from heated steel electrode, and generated by contact resistance of electricity.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한 간호과정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based Nursing Process Educa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 김선희;강문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63-372
    • /
    • 2020
  •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비판적사고와 간호과정 교과목 내에서 간호과정 교육에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실험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실험군으로 C 간호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대학생 135명과 대조군으로 D 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대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1주 1회, 5주간 5회기의 간호과정 5단계를 주제로 한 플립러닝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간호과정을 주제로 한 전통적 강의식 교육법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플립러닝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교육 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t=-4.71, p<.001)과 학업성취도(t=-4.9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비판적사고와 간호과정 교과목 내에서 간호과정 교육에 플립러닝의 적용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정수처리 공정에서 용존 유기물질 분류에 의한 haloacetic acid 생성능 평가 (Evaluation of Haloacetic Acid Formation Potential in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 by Fraction Technique)

  • 손희종;황영도;류동춘;정철우;이건;손형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9호
    • /
    • pp.1655-1662
    • /
    • 2014
  • A comprehensive fractionation technique was applied to a set of water samples obtained along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 with ozonation and 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C) process to obtain detailed profil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DOM) and to evaluate the haloacetic acid (HAA) formation potentials of these DOM frac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agulation-sedimentation-sand filtration treatment showed limited ability to remove hydrophilic fraction (28%), while removal of hydrophobic and transphilic fraction were 57% and 40%, respectively. And ozonation and BAC treatment showed limited ability to remove hydrophobic fractions (6%), while removal of hydrophilic and transphilic fractions were 25% and 18%. The haloacetic acid formation potential (HAAFP)/dissolved organic carbon (DOC) of hydrophilic fraction was the highest along the treatment train and HAAFP/DOC of hydrophilic fraction was higher than hydrophobic and transphilic fraction as 23%~30%, because of better removal for hydrophobic fraction both in concentration and reactivity.

조선용 강재의 $CO_2$레이저 GMA 하이브리드 용접에서 갭 브리징 능력 향상기술 개발 (Improvement of Gap Bridging Ability in $CO_2$ Laser-GMA Hybrid Welding)

  • 채현병;김철희;김정한;이세헌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24권5호
    • /
    • pp.49-56
    • /
    • 2006
  • For laser welding in shipbuilding industry, gap bridging capabi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to achieve the high productivity and good weld quality. Recently, laser-GMA hybrid welding process is regarded as a distinctive method to overcome the tight gap tolerance with improving the productivity.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process parameters on the bead formation was experimentally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 parameters and geometric imperfections was investigated. It was revealed that undercut, excessive weld metal, excessive penetration and incompletely filled groove were the major geometric imperfections. The optimized wire feeding and arc pressure were necessary to ensure the gap bridging ability. The approach to select the process parameters was conducted for butt welding with up to 2mm joint gap, in which the sound weld beads were generated without changing the welding speed.

유추를 활용한 코사인 법칙의 일반화 지도방안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Extension of Cosine Rule Using Analogy)

  • 김성수;박달원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927-9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이 삼각형에 대한 코사인 법칙으로부터 사각형과 n각형에 대한 코사인 법칙을 유추적 사고를 통하여 발견하는 과정을 조사하였으며 삼각형에 대한 코사인 법칙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일반화된 법칙을 발견하고 증명하는데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귀납적 추론이나 유추적 사고 활동을 통해 학생 스스로 지식을 발견하고, 스스로 발견한 수학적 지식을 논리적 추론이나 연역적 증명을 통해 정당화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을 때, 학생들은 이 지식을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상황에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써 교사 추천제 분석: 학생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창의성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Teacher Recommendation on Selection Process for Scientifically Gifted Program: Focus on the Scientific Attitude, Process Skill, Logical Think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students)

  • 박민정;전동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1-119
    • /
    • 2008
  •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써의 교사 추천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과학 교사가 추천한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논리적 사고력, 창의적 문제 해결력, 창의성 점수를 과학 영재원 재학생 및 일반학급 학생들의 점수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 영재원 재학생과 교사 추천 학생은 일반 중학교 학생보다 모든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과학 영재원 재학생과 교사 추천 학생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과학 영재학생 선발을 위해 교사 추천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