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dural knowledge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8초

신경심리학적 이론에 근거한 수학학습장애의 유형분류 및 심층진단검사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Neuropsychological Approaches to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ies an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Test)

  • 김연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3호
    • /
    • pp.237-259
    • /
    • 2011
  • 수학 학습장애는 정상적인 수학적 역량 획득을 저해하는 학습 장애의 한 유형으로, 아동, 청소년의 5- 10% 정도가 겪는 학습 장애의 한 분야이다. 현재 수학학습장애를 진단하기 위하여 기초학력평가나 표준화된 검사가 사용되고 있다. 검사 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사전지식을 파악하고, 취약한 영역을 찾는 것 역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수학학습장애의 유형을 파악하고, 중재의 출발점을 알려줄 수 있는 포괄적인 진단 검사가 포함해야 하는 구성요소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신경심리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수학학습에 영향을 주는 기본적인 인지적 요인들을 찾고, 관련되어 활성화 되는 두뇌 영역과 그들의 세부적 기능을 살펴본다. 또 수학학습장애 아동의 신경심리학적 특징을 살펴 본 다음 수학학습장애의 유형을 분류한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심층 진단 검사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시선 추적기를 활용한 지질도에서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의 단층 판별에 대한 사례 연구 (Case Study on the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Faults Discrimination on Geological Map using Eye Tracker)

  • 전웅현;정덕호;이철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10-22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지질도에서 단층을 판별하는 동안 그들이 사용하는 내용 지식과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시선 추적기(Tobii Pro Glasses 2 모델)를 활용하여 예비 지구과학교사들(N=12)이 단층 해석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그들의 시선 고정 시간, 시선 경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들은 정단층, 역단층, 주향이동단층 등에 대한 개념은 인지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은 지질도에서 단층 해석에 필요한 절차적 지식은 인지하고 있지 않다. 둘째,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은 지질도에서 단층을 해석하기 위해 지질 단면도를 그리지 않았고, 3차원적 정보가 아니라 지질도에서 수집한 2차원적 정보를 바탕으로 단층을 판별하였다. 그러므로 차후 교육 현장으로 진출하는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자연현상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그 자연현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절차적 지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는 차후 새로운 교육과정을 구성하거나 교사 교육에 대한 자료를 개발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과학 동아리에서 경험한 자기 주도적 실험 학습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Elementary Students' Awareness about Self-directed Learning Experiments at Science Club)

  • 주은정;김흥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2호
    • /
    • pp.253-26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mplications of self-directed learning experiment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their experi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experiments. Twenty students joined the school science club voluntarily and conducted self-directed learning experiments. We collected data through observation of the experiment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ub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 experiments. The participants were aware that their scientific interest and knowledge, and the confidence in conducting experiments were increased. The students felt positive about the inquiry process of conducting self-directed learning experiments with their own subjects. They also felt a sense of achievement in attempting their experiments in defiance of several failures. The participants realized that the self-directed inquires led to increased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of science. The students stated that they had some difficulties in coping with the different results contrary to expectations and preparing laboratory materials and instruments. Nonetheless, they showed the promotion of their scientific literacy during overcoming those difficulties. We suggest that self-directed learning experiments can be a more effective way in science learning to make students experience the nature of science than existing school experiments. This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such as science clubs.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구성체계 및 학습목표 분석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Structure and Learning Objectives of High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 강오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9-1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법으로 교과서의 구성체계를 분석하였으며, Anderson의 교육목표 분류법에 따라 학습목표를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법을 적용한 결과, 교과서는 교과 핵심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활동, 수준별 학습, 소그룹 학습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학습목표를 분석한 결과, 인지과정 측면에서 이해하다(41%), 개발하다(20%), 적용하다(18%)가 높았으며, 지식의 유형 측면에서는 개념(45%)이 가장 높고, 이어서 절차(32%), 사실(12%)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전공의 수련교육 구성 및 운영에 대한 제안 (The Proposal for Residency Educational Programs)

  • 허정식
    • 의학교육논단
    • /
    • 제20권3호
    • /
    • pp.135-140
    • /
    • 2018
  • In clinical clerkships, residents function as trainees, workers, and teachers for other medical students. Although residents care for patients in harsh environments and encounter precarious patient-safety situations, they are working towards becoming competent specialists. Residency education programs are very important in cultivating specialists able to adapt to the rapidly-changing medical environment, and are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specialist training. Competent specialists not only need clinical competency, but also a wide range of abilities including professionalism, leadership, effective communication, cooperation, and attention to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continuing medical education activities. Each Korean association of specialties has its own educational goals and standardized education programs to help residents learn specific techniques and competencies related to medical care for patients, though the training environment of each residency is different within each trainee hospital. Although it is also important to evaluate residency education programs, currently there is only an examination of knowledge and assessment of skills based on 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s or direct observation of procedural skills. In order to develop an objective and estimable evaluation tool that can assess the overall achievement level within each training cours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of residents. Residency education programs need further attention and reform.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범 교육과정으로서의 정보 활용 능력 위상 강화 방안 (Alterna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Information Literacy as Cross Curricula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9-5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정보 활용 능력의 위상을 분석하고, 범 교육과정으로서의 역할 강화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현행 교육과정에서 정보 활용 능력은 교육적 인간상 중 하나인 창의인이 갖추어야 할 기본 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지식 측면에서는 새로운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적 지식이며, 교육 방법 측면에서는 학제 간 연계성을 갖는 사고 능력이다. 따라서 미디어 교육과 정보 통신 활용 교육을 포괄하는 정보 활용 교육이 선택 과목이 되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범 교과 학습 주제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정보 활용 능력의 정의가 정보 탐색과 접근, 정보 분석과 해석, 정보 종합과 표현과 같이 구체적인 학습 기술로 명문화되어야 한다.

학습내용을 이야기로 구성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truction with Stor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ning and Memory)

  • 양정인;유병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8-2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instruction with stor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and memory.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ampled 3 classes in their 3th grade from an elementary school. Out of the three classes, two were designated as the comparative group consisting of 70 students and the other, the experimental group, 32 students. The former group was applied instruction treatment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education. The other group was instructed with a story book that contained stories students already knew which were somewhat rearranged to comply with contents of a relevant curricular cours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academic achievement test was made immediately after the treatment to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s for memory and understanding in the section of 'Finding Constellations' that the other group. Second, the two groups' academic achievements in relation to the section, 'Finding Constellations' were tested 3 months after the treatment to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s for memory and understanding than the comparative group. Such achievements within the groups were tested 3 months after the treatment to find that both of the two groups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 PDF

초등학교 5학년 수학과 수행평가 과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for the Fifth Graders in the Primary School)

  • 유현주;정영옥;류순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1호
    • /
    • pp.203-241
    • /
    • 2000
  •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odel of task development for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and to develop performance tasks for the fifth graders in the primary school on the basis of this model. In order to achieve these aims, the following inquiry questions were set up: (1) to develop open-ended tasks and projects for the fifth graders, (2) to develop checklists for measuring the abilities of mathematical reasoning, problem solving, connection, communication of the fifth graders more deeply when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are implemented and (3)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performance tasks and checklists and to modify them when is needed through applying these tasks to pupils. The consequences of applying some tasks and analysing some work samples of pupils are as follows. Firstly, pupils need more diverse thinking ability. Secondly, pupils want in the ability of analysing the meaning of mathematical concepts in relation to real world. Thirdly, pupils can calculate precisely but they want in the ability of explaining their ideas and strategies. Fourthly, pupils can find patterns in sequences of numbers or figures but they have difficulty in generalizing these patterns, predicting and demonstrating. Fifthly, pupils are familiar with procedural knowledge more than conceptual knowledge. From these analyses, it is concluded that performance tasks and checklist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improved 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mathematical abilities of pupils, and that we should improve mathematics instruction for pupils to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deeply, solve problems, reason mathematically, connect mathematics to real world and other disciplines, and communicate about mathematics.

  • PDF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직무 적합성과 조직 공정성 인식이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erson-Job Fit and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on the Job Competency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orkers)

  • 정화;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3호
    • /
    • pp.73-84
    • /
    • 2019
  • 국내 중소기업 종사자들은 수십 년의 직장 근무경력에도 불구하고 퇴직 후 직장에서 쌓은 직무역량을 활용한 자영 업종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은 당장 성과에 치중하다 보니 종사원의 중장기적인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직무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를 분석하여 중소기업 인사담당자를 위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의료, 공무원, IT 등 특정 업종 분야에서 직무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 분석은 있지만, 중소기업 종사자들에 대한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일반 종사자들의 직무역량을 종속변수로 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를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직무 적합성과 조직 공정성으로 설정했다. 이들의 하위 변수로는 직무 적합성에는 지식, 기술, 경험, 욕구를, 조직 공정성에는 분배, 절차, 배치 공정성을 각각 도출하였다. 국내 중소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9년 2월~3월에 걸쳐 Likert 5점 척도에 의한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323명으로부터 설문을 회수하여 SPSS와 AMO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직무 적합성의 4개 하위 독립변수 가운데, 지식, 기술, 경험은 직무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욕구는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공정성의 3개 하위 독립변수 가운데, 배치 공정성은 직무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분배와 절차 공정성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인사담당자는 채용, 배치, 승진 등 단계별로 지식, 기술, 경험, 배치 공정성 등의 독립변수를 적절히 활용하여 종사자들의 직무역량을 향상할 필요가 있다. 직무역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지 못하는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향후 직무역량 모델링 연구가 필요하다.

미국의 EIA 사례에 비추어 본 건강영향평가 도입 방안 (A Study on Introduction Scheme of Health Impact Assessment Compared to EIA System in the United States)

  • 한영한;김임순;한상욱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2호
    • /
    • pp.129-141
    • /
    • 2007
  • With its more than 35 years of experience with EIA of NEPA in United States, the extensive knowledge base of EIA could be the most suitable place for initial field of HIA to explore lessons available for. However, caution is needed as the technical differences in analysis, different policy context, and distinct professional culture between EIA and HIA might be. The successe of EIA of NEPA is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goals into decision making process, improved planning, and increased transparency and public involvement, whereas shortcomings of it were defined as the excessive volume and complexity of EIA documents, the limited and adversarial public involvement, the procedural process (not substantive), focus on projects (not on policies and programs), and the limited consideration of health impacts. Integrating HIA into existing EIA process is positive in two reasons that the human health is closely related with natural environment and EIA process is a fully established process that effectively cuts across bureaucratic and sectoral boundaries. Also, integrating of HIA into EIA might be a way with least resistance for the widespread use. A freestanding HIA separated from EIA is desirable in terms of excessive volume of EIA documents and the procedural and legal focus of EIA. It is needed to develop the formulated methodologies for advancing HIA whether it is a part of or separated from EIA, and to estimate the potential values of HIA in the substantial society context. When possible, HIA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ways that EIAs have been used successfu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