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2431/kace.2020.23.3.002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Structure and Learning Objectives of High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Kang, Oh-Han (안동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v.23, no.3, 2020 , pp. 9-1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high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that were developed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ntent analysis was adopted to analyze the organization system of the textbooks. Learning objectives were also analyzed according to Anderso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rough content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 textbooks were composed of activities, differentiated learning, and small group learning to promote core competencies. The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of the textbooks showed that 'understanding' (41%), 'developing' (20%), and 'applying' (18%) were the three highest criteria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es; in terms of type of knowledge, conceptual knowledge accounts for the highest(45%), followed by procedural (32%), and factual (12%). Further methods to improve the textbook quality is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analysis.
Keywords
Curriculum; Textbook; Content Analysis; Learning Objectives; Textbook Authorization Criteria;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부 (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10. 교육부.
2 이은경 (2018). 정보교육의 전망과 과제: 미래 정보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2), 3-10.
3 Anderson, L. W., Krathwohl, D. R., et al (2000).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llyn & Bacon.
4 최현종 (2014). Anderson의 교육목표분류법을 이용한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수업목표 분석에 관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1), 51-63.
5 강오한 (2019).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구성체계 및 학습목표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2(2), 1-9.
6 강오한 (2019).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학습목표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3(2), 89-91.
7 강오한 (201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고등학교정보 교과서의 탐구성 분석.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8(5), 103-110.   DOI
8 김자미.이원규.유병건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컴퓨팅 시스템 단원의 집필에 대한 시사점.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2), 31-40.
9 김자미.심재권.김지민.이원규.박두순 (2012). 중학교 '정보' 교과서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 구성의 탐구적 경향 분석. 정보처리학회논문지, 19-A(1), 9-16.
10 최길수.김영주.이종연 (2010).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선택 기준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3(5), 1-14.   DOI
11 진영학.허민.김영식 (2010). 중학교 정보 교과서 비교 분석 및 개선 방안.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3(3), 25-34.
12 김용대.최길수.이종연 (2012).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서 '문제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경향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5(1), 1-11.
13 서태원.이상욱 (2012).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에 제시된 기억 장치 영역 내용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 방안.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5(3), 37-47.
14 김수환 (2018).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정보교과서에 나타난 추상화 내용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5), 1-10.
15 김재현 외6 (2018). 고등학교 정보. 교문사.
16 이영준 외4 (2018). 고등학교 정보. (주)교학사.
17 김영일 외5 (2018). 고등학교 정보. (주)금성출판사.
18 임희석 외4 (2018). 고등학교 정보. 비상교육.
19 한건우 외9 (2018). 고등학교 정보. (주)삼양미디어.
20 강신천 외12 (2018). 고등학교 정보. 씨마스.
21 김현철 외4 (2018). 고등학교 정보. 천재교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