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rocedural knowledge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6초

과학적 규칙성 지식의 생성 과정: 경향성 지식의 생성을 중심으로 (A Grounded Theory on the Process of Scientific Rule-Discovery- Focused on the Generation of Scientific Pattern-Knowledge)

  • 권용주;박윤복;정진수;양일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61-73
    • /
    • 2004
  • 본 연구는 다양한 경향성을 발견할 수 있는 과제를 피험자들에게 제시하고, 피험자들이 경향성 지식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표상 된 지식의 종류와 사고 유형을 분석하여 경향성 지식의 생성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경향성 지식의 생성 과정에서 표상 된 지식은 요소, 요소변화, 관련선지식, 예측경향성, 최종 경향성 지식 등 5가지 유형의 과정적 지식이 생성되었다. 그리고 사용된 사고 유형은 `대상인식', '관련지식회상', '요소 또는 요소변화의 탐색', '예측경향성 발견', '예측경향성 확인', 경향성 조합', '경향성 선택' 등 7가지 유형의 사고가 경향성 지식 생성 과정에 관여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경향성 지식 생성과정은 `요소 \$\longrightarrow$요소변화 \$\longrightarrow$(관련선지식 \$\longrightarrow$)예측경향성 생성ㆍ확인 \$\longrightarrow$최종경향성'의 순으로 과정적 지식들이 단계적으로 표상 되어 생성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귀납적 추론뿐만 아니라, 귀추적 추론과 연역적 추론도 함께 관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신념 분석 (Analysis on the Belief about Mathematics Teach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Mathematics Teachers)

  • 이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1호
    • /
    • pp.201-21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고 있는 초등교사들과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지식과 수학적 활동에 대해 어떤 신념을 가지고 있는가를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지식에 대한 15개 문항과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수학적 활동에 대한 19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만들었고, 초등교사 114명과 예비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지식에서는 예비교사들이 개념적 지식에서 초등교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초등교사들은 절차적 지식과 메타 인지적 지식, 인식적 지식에서 예비교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수학적 활동에서는 지식의 표현, 지식의 생성, 지식의 심의, 지식의 발표에서 예비교사들이 초등교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지식(구문)의 사용에서 만 초등교사들이 예비교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초등교사들과 예비교사들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수학적 지식과 활동의 항목이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예비교사들과 초등교사들은 다양한 수학적 지식과 활동을 강조하고 있었다.

  • PDF

An Exploratory Analysis of Constructivist Teaching Practices and Science Teaching Interactions in Earth Science Classes

  • Shin, Myeong-Kye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21-530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to characterize the earth science inquiry in schools in terms of science teaching interaction and constructivist teaching practice. The constructivist teaching practices were analyzed with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RTOP) in three aspects including (1) student oriented class implementation, (2) subject knowledge and representation, and (3) classroom communication. Fourteen earth science classes were observed and scored with RTOP. The class was evaluated to be transitional stage in terms of constructivist teaching, e.g., moving toward student-centered teaching practice. Especially, Korean teachers tend to lean their classes more on propositional knowledge than procedural knowledge. To interpret science teaching interactions, an earth science teacher with a RTOP top rank was selected. Her class was then videotaped for detailed analysis. I adopted the analytical framework of communicative approaches and discourse patterns among the five aspects of interactions presented by Mortimer and Scott (2003). It was found that this earth science teacher used more authoritative patterns than the dialogic. In addition, she used IRE discourse pattern more frequently. Interestingly, teachers interacted with their students more frequently in the form of repeated (or IRE chain pattern), that is IRFRF (teacher initiation-student response-teacher feedback-student response-teacher feedback) in the context of dialogic communicative approaches, while simple IRE occurred in an authoritative approach. In earth science classrooms, typical interaction may well be constructed in the form of IRFRF chains to allow students free conjectures and abduction.

대학생들의 기체의 성질에 대한 문제해결 과정의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Problem Solving Process in Gas Phase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 홍미영;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3-158
    • /
    • 1994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as phase problem solving of college freshmen. Four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olved the problem by using think-aloud method. The thinking processes were recorded and transferred into protocols. Problem solving stage, the ratio spended in each solving stage, solving strategy, misconceptions, and errors were identified and discus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belief system about chemistry problem solving and problem solving characteristics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tudents felt that chemical equation problem was easier than word problem or pictorial problem. 2. When students had declarative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required by given problem, their confidence level and formula selection were not changed by redundunt information in the problem. 3. When the problem seemed to be difficult, students tended to use the Means-End or Random strategy. 4. In complicated problems, students spent longer time for problem apprehension and planning. In familiar problems, students spent rather short time for planning. 5. Students spent more time for overall problem solving process in case of using Means-End or Random strategy than using Knowledge-Development strategy.

  • PDF

공학교육에서 교수 으뜸원리를 적용한 플립러닝 모델 및 교수 전략에 관한 연구 (Applying First Principles of Instruction to Flipped Classroom in Engineering Education: Model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 임지영;김세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39-47
    • /
    • 2019
  •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odel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a flipped classroom using First Principles of Instruc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in order to organiz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a flipped classroom.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analyzed the literature on the flipped classroom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on applying First Principles of Instruction in designing flipped classroom. Then, a framework of flipped classroom employing First Principles of Instruction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suggested. Two experts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model and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the final version was completed reflecting on those feedback. Since engineering education aims to teach procedural knowledge as well as conceptual knowledge, different instructional strategies upon two types of knowledge were presented. The implication of our work is to illustrate the model and tactics for flipped classroom based on the Merrill's deeply rooted pedagogical approach.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practice in engineering education.

간호사의 아동 통증 중재에 대한 지식 및 태도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to Pain Management in Children)

  • 신희선;김동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140-148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to pain management in children and explore the status of pain management in clinical practice. Method: The subjects were 131 nurses enrolled in 3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s. Questionnaire method was utilized for data collection. Data was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program. Result: The result was as follows: 1. The overall mean score of the pain knowledge was 16.88 (58.2%). The percentages of correct response in test subsections were pain assessment 45.5, choice of medication and drug action 48.7, and pain statement 79.6 respectively. 2. 70.3% of the nurses agreed or strongly agreed that the procedural pain should always be eliminated. And, 44.3% of the nurses agreed or strongly agreed that post-operative treatment of pain in children should always aim at eliminating the pain completely. 3.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in attitude and knowledge related facts about pain(r=.217, p<.01). 4. When asked to identify the point of self-reported pain on a 0-10 scale at which the nurse would give medication, point 7 was mostly identified (29%). 5. Only 19.8% of the nurses utilized pain rating scale to assess children's pain. 6. The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nurses used most were position change, emotional support, and massage. 7. 68.7% of the nurses indicated that they learned about pain management from their current working environment. Also, Mostly helpful resource identified in increasing their pain management knowledge and skills was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Conclusion: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a ne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for adequate pain management for children. Further research study is recommend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methods for children's pain.

  • PDF

과학적 탐구 수행에서 초등교사가 겪은 어려움과 성장으로 탐색한 교사의 과학적 지식 향상 방안 (Improvement of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researched by Difficulty and Development of teachers experienced in process of Conducting Scientific Inquiry)

  • 이동승;박종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42-49
    • /
    • 2022
  • 많은 초등교사들의 과학적 지식 부족은 과학 교수활동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초등교사의 과학적 지식 향상이 필요하지만 교사 양성 과정이나 재교육 과정에서 주로 수행되는 강의 기반 활동을 통해서는 초등교사의 과학적 지식 부족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과학적 지식 향상을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내 물질 영역에 대한 내용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행연구를 수행한 연구자 3명에 대해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면담결과를 토대로 3명의 연구자들이 실행연구 과정에서 수행한 과학적 실천에서 공통적으로 겪은 어려움과 성장한 부분을 분석했다. 심층면담에서 3명의 교사들은 자신이 특정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무엇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지, 무엇을 더 공부해야 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리고 탐구 실천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명시적으로 배웠던 절차적 지식을 실제 맥락 속에서 어떻게 적용시켜야 하는지 모르는 상황도 겪었다. 또한 선언적으로 이해하고 있던 지식은 실제 현상에서 관찰되는 내용과 차이가 있어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하지만 교사들은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주제 분석, 탐구 계획, 탐구 수행, 결과 논의의 과정을 스스로 실천한 결과 내용 지식뿐만 아니라 의도하지 않았던 절차적 지식에 대한 이해까지 향상되었다고 진술했다. 또한 기존에 이해하고 있던 내용 지식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도 도움이 되었다고 했다. 그리고 교사들은 과학 실천이 개별적으로 수행되기보다 주변 동료들과 공동체를 구성하여 논의하고 점검하는 기회를 가진다면 더 효과적인 학습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제안을 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초등교사의 과학적 지식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은 교사들이 학습 공동체 속에서 현상이 발생되는 맥락에 대해 직접 탐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개념을 이해하는 형태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는 교사의 실천과 이해를 통합시켜 과학 교수 활동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블룸 분류 기반 초중등 프로그래밍교육의 평가 기준 탐색 (Research on the Assessment Criteria of Programming Education based on Bloom's Taxonomy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 신수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47-555
    • /
    • 2017
  • 정보과 교육이 정규교과과정에 편입됨에 따라서 학습자의 정보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업 수준을 정확히 진단하고 그에 맞는 등급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일종의 이론적 기반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정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와 지식 유형 분류 이론을 통해 정보과 교육과정의 프로그래밍 분야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블룸의 "기억"에서부터 "제작" 단계까지 프로그래밍교육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블룸의 지식 유형 기준에 따라서 사실적 지식에서부터 메타인지 지식까지 프로그래밍의 지식 유형 예제를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프로그래밍 활동을 위해 가장 중요한 블룸의 분류는 "적용", "제작" 그리고 절차적 지식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블룸의 이론 기반 프로그래밍 평가 기준에 대하여 소프트웨어교육 전문가를 통하여 델파이 조사 을 하였다. 조사 결과 목표분류 기준 신뢰도가 0.90, 합의도가 0.85였으며 지식 유형 분류 기준으로는 신뢰도가 0.90, 합의도가 0.79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준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동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수학적 발문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PCK 비교 (Comparison of Pr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CK about Questioning in Mathematics Class)

  • 조누리;백석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9-6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발문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PCK에 대한 비교 논의를 통해 수학수업 전문성 신장에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에게 실시한 수학적 발문 관련 PCK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수업 현장의 관점에서 여전히 중요시되는 것은 교수 방법 관련 이론적 지식이 아니라 교수 경험과 교직 경력에 의하여 진화된 교수 방법 관련 실제적 지식이다. 둘째, 발문 관련 PCK면에서 볼 때 수학의 개념적 지식에 비해 절차적 지식의 지도에 있어서 발문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증진이 상대적으로 더 요구된다. 셋째, 수학 학습 지도시 바람직한 발문은 학습자의 오답에 대해서는 오답 배후의 오류체계를 고려한 발문이어야 하고, 학습 내용의 충실한 이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학습한 내용 주변 관련 내용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발문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에 의존하였기에 본 연구의 의도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수학 수업 현장에 밀착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조직공정성, 동료신뢰와 지식공유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Justice, Coworker Trust and Knowledge Sharing: Focusing o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 문성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94-205
    • /
    • 2021
  • 본 연구는 동료신뢰가 발생하기 위한 선행요인인 조직공정성과 동료신뢰와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고, 동료신뢰로 인해 지식공유 행동이 증가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대전 및 세종 지역에 위치한 정부 출연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유효한 255명의 설문지를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모두 동료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료신뢰 역시 지식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공정성이 동료들 사이의 신뢰에도 영향을 주며, 결과적으로 동료신뢰를 통해 지식공유가 증가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