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atic weed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2초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weed species on horticulture fields in Chungnam province of Korea

  • Hwang, Ki Seon;Eom, Min Yong;Park, Su Hyuk;Won, Ok Jae;Lee, In Yong;Park, Kee Wo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3호
    • /
    • pp.353-360
    • /
    • 2015
  • A survey of weed occurrence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atic weed species in a horticultural crop field to get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weed control. Surveys of weed species occurring in horticultural crop fields (garlic, onion, red pepper and Chinese cabbage) were conducted in Chungnam province of Korea from April to October in 2014. A total of 516 sites of the 17 regions were identified as having 114 weed species belonging to 32 families. The most dominant weed species in the horticultural crop fields were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8.83%), followed by Digitaria ciliaris (5.71%), Conyza canadensis (5.46%) and Capsella bursa-pastoris (4.67%). Specificall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occurrence of 35 species of exotic weeds, such as Chenopodium album and Taraxacum officinale, were confirmed. Almost 68% of the investigation sites was determined under dominance value 1 (range of cover < 10; numerous individuals) by Braun-Branquet cover-abundance scale, indicating a proper weed control in horticultural crop field. As a result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ces, an improved cultivation method is changing the weed occurrence in agricultural land. Additional research needs to be undertaken for the development of weed control methods through such periodic monitoring of occurrence of weeds.

일본잡초학회에서 본 일본의 잡초연구 동향 (Report on the 54th annual meeting of the weed science society of Japan)

  • 황재복;김경현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335-339
    • /
    • 2015
  • 일본잡초학회를 참석하여 잡초방제 관한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잡초방제 연구의 발전방향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잡초연구, 잡초관리, 제초제, 그리고 해외동향 등이었다. 일반강연 49편, 포스터 발표 45편이 었다. 학회 일정 중에 미니심포지엄이 소분과로 나누어 각각 개최되었고, 젊은 과학자의 모임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일본도 우리나라와 같이 기후변화에 따른 문제잡초의 증가 및 외래잡초의 관련연구의 비중이 높고, 친환경 방제를 위한 식물체 유래 제초활성 물질 탐색, 저항성 잡초를 방제하기 위한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잡초연구 동향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of Weed Science in Asian Pacific Region)

  • 이인용;이정란;김도순;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5
    • /
    • 2014
  •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농업 시스템에서 잡초방제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잡초방제 발전방향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 24차 아시아-태평양 잡초학회에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16개국 190여명이 참석하였으며 11개 분야에서160편이 발표되었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외래잡초의 발생생태, allelopathy, 논에서의 잡초관리, 일반작물에서의 잡초관리, 제초제 저항성잡초 등이었다. 쌀은 아시아 국가의 주된 식량작물로서 이와 관련된 잡초방제 및 제초제 저항성에 관한 연구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며 옥수수, 콩, 밀 재배지에서의 잡초방제 분야에서도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문제잡초의 증가 및 인구증가에 따른 식량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잡초관련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다양한 잡초방제 체계를 확립하고 저항성잡초를 방제하기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친환경 잡초방제를 위한 생물제초제의 상용화 현황 (Status and Perspective of Bioherbicde Development for Organic Weed Management)

  • 변종영;이증주;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1호
    • /
    • pp.1-10
    • /
    • 2017
  • 생물제초제의 이용은 농업에서 지속성을 향한 중요한 단계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유기농업 및 종합잡초관리는 보존농업에서 합성제초제와는 다르게 한 종류의 잡초관리기술에 의존하지 않아야 하며, 생물제초제는 다른 잡초관리기술과 동시에 평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세균 및 진균으로부터 유래한 상업용 생물제초제를 선발하여 유기농업 농가에서 영농부가가치가 높은 고소득 작물을 대상으로 생물제초제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또한 유기영농 과수원에서 비선택적으로 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상업용으로 시판되는 옥수수 글루텐 가루 제제와 각종 식물정유 제제 등 제품에 대한 실용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충남지역 포도원에서 발생하는 잡초분포조사 (The Survey of Weed Occurrence at Grape Orchard in Chungnam Province)

  • 황기선;노석원;이윤미;김지윤;이정선;이인용;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77-180
    • /
    • 2016
  • 본 연구는 충남지역 포도원의 발생잡초를 확인하고 잡초관리기술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5년 4월부터 6월, 9월부터 10월까지 2차례에 걸쳐 대전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를 포함한 충청남도지역의 포도원에서 잡초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충남지역 포도원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일년생 33종, 다년생 17종을 포함하는 23과 50종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새포아풀(7.07), 돌피(6.56), 바랭이(6.43), 냉이(5.63)가 우점하였고, 2차 조사에서는 속속이풀(9.59), 가는잎한련초(9.13), 바랭이(7.68), 새포아풀(7.68) 순으로 우점하였다. 잡초방제방법에 따른 잡초발생은 제초제만 처리한 경우 6과 7종으로 잡초종의 발생이 가장 적었으며, 예초와 경운을 이용한 경우 9과 21종으로 가장 많은 초종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지역 논 잡초 발생분포조사 (A Survey of Weeds Occurrence on Paddy Field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 황기선;원옥재;박수혁;엄민용;한성민;서수정;이인용;이증주;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41-347
    • /
    • 2013
  • 본 조사는 2013년에 충남지역 17개 시 군의 524지점에서 논 잡초 발생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충남 전 지역 논 잡초 조사결과, 23초종이 조사되었다. 그 중 일년생 잡초가 19종, 다년생 잡초가 4종으로 나타났다. 물피의 발생비율이 25.25%로 가장 우점하였고, 물달개비 11.87%, 올방개 9.27%, 사마귀풀 8.47% 순으로 나타났다. Braun-Branquet에 의한 우점도 평가에 의하면 조사대상지의 95.2%가 우점도 1(개체수는 많지만 피도가 10%이하로 출현)이하로 적절한 잡초방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앞으로 충남지역 논 잡초의 발생양상을 예측하며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논 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밭에 출현하는 잡초와 식생유형의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eeds and Vegetation Types in Dioscorea oppostifolia Thunb. Field)

  • 김덕환;박재만;강상모;이석민;이인용;이인중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269-275
    • /
    • 2014
  • 마밭에 출현하는 초종과 식생군락을 분석하여 마밭 잡초방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마밭에는 총 11과 44종이 출현하였으며, 조사지역 내 출현한 귀화식물은 3과, 10속 10종으로 분류되었는데 주기적인 잡초방제로 인하여 잡초의 생물다양성이 높지는 않았다.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식생분류 결과, 큰도꼬마리, 논피, 미국가막사리, 한련초, 속속이풀, 중대가리풀, 쇠비름이 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PCA plot 분석결과도 식생분류 결과와 동일하게 유형화되었다. 수량조사 결과, 잡초 방제구 대비 무처리에서 82%의 수량감소가 발생하였다.

벼 이앙시기에 따른 화본과와 사초과 잡초의 발생 및 생육 차이 (Occurrence and Growth of Grass and Sedge Weeds in Paddy Fields with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 김형곤;심상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59-71
    • /
    • 2016
  • 논에서 이앙시기에 따른 화본과와 사초과 잡초의 발생 양상을 확인하고 벼에 대한 피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벼 이앙기를 4월 30일부터 6월 19일까지 10일 간격으로 달리하여 이앙 한 후 5월 20일부터 잡초발생과 벼의 생육을 확인하였다. 잡초들의 발생본수는 화본과와 사초과 잡초 모두 1차와 2차 이앙시기에 이앙한 시험구에서 발생본수가 많았으며, 크게 1, 2차 이앙구와 3, 4, 5, 6차 이앙시기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개체 당 건물중이 비교적 큰 피는 7월까지는 조기 이앙한 경우 건물중이 큰 값을 보였으나 8월 이후에는 만기 이앙한 시험구에서 건물중이 더 큰 값을 보였다. 반면 사초과 잡초는 지속적으로 빨리 이앙한 경우가 늦게 이앙한 경우보다 건물중이 높은 값을 보였다. 논의 써레질 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조기에 잡초가 발생하고 높은 잡초생장률을 보이며 잡초의 경합력이 커져 벼의 생육과 수량이 줄어들었다. 잡초생장율을 기준으로 볼 때 화본과는 사초과 잡초에 비해 출수기 이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원 횡성 및 제주지역 더덕밭 잡초발생양상 (Occurrence of Weed Flora in Codonopsis lanceolata Upland Fields of Gangwon-Hoengseong and Jeju Areas in Korea)

  • 송희근;김창석;이정란;서현아;최경미;이인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176-187
    • /
    • 2015
  • 강원 횡성 및 제주 지역의 더덕밭에 발생하는 잡초 발생상황을 파악하여 더덕밭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총 3회 조사하였다. 더덕 밭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47과 207종으로 일년생잡초가 87종, 월년생잡초가 47종,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73종이었다. 잡초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에서 광엽잡초는 182종, 화본과잡초는 18종, 사초과잡초는 7종이었다. 우점도가 높은 잡초는 쑥, 바랭이, 닭의장풀, 개여뀌, 돌피 등이었다. 더덕밭 발생잡초 중 외래잡초가 59종으로 전체의 29%를 차지하였으며, 개망초, 주홍서나물, 미국가막사리, 서양금혼초 등이 발생하였다. PCA 분석 결과, 강원 횡성 더덕밭의 잡초군락은 개망초군락, 털진득찰군락과 닭의장풀군락으로 분석되었으며, 제주 더덕밭의 잡초군락은 주홍서나물-참방동사니군락, 들개미자리군락, 새포아풀군락과 뽀리뱅이군락으로 분석되었다.

뽕밭에서 발생하는 잡초 양상 (The Weed Flora of Korean Mulberry Fields)

  • 이인용;김창석;이정란;송희근;서현아;최경미;지상덕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2호
    • /
    • pp.85-94
    • /
    • 2015
  • 소면적으로 재배하고 있는 뽕밭의 문제잡초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경기 수원, 전북 부안을 중심으로 2014년 5월, 7월, 9월에 3회에 걸쳐 뽕밭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였다. 뽕밭에 발생하는 잡초는 37과 153초종으로 국화과 37종, 벼과 17종, 마디풀과 14종, 메꽃과 10종, 배추과 8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잡초를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일년생 68종, 월년생 39종, 다년생 46종이었다. 지역별 발생잡초를 보면, 수원에서는 31과 91초종, 전주는 19과 50초종, 그리고 부안에서는 32과 114초종이 발생되었다. 우점잡초로는 바랭이, 개망초, 흰명아주, 돌피, 깨풀, 닭의장풀 등이었다. 외래잡초는 44초종으로 전체의 28.8%를 점유하였으며, 개망초, 흰명아주, 미국 자리공, 망초 순으로 우점도가 높았다. 특히 외래잡초 중 개쑥갓은 미국, 캐나다, 독일 등에서 트리아진계 제초제 저항성 잡초로 일부 농가에서 비선택성 제초제인 글루포시 네이트암모늄액제에도 방제가 되지 않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발생한 잡초를 대상으로 PCA 공변량 분석을 한 결과, 뽕밭을 대표하는 잡초군락은 한련초 군락과 쇠별꽃 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