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anthocyanidin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1초

품종별 팥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 from Adzuki Beans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 우관식;송석보;고지연;서명철;이재생;강종래;오병근;남민희;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93-69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품종별 팥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항산화성분으로 총 polyphenol, flavonoid, anthocyanin 및 proanthocyanidin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은 ABTS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품종별 팥의 일반성분과 무기성분의 함량은 품종간에 큰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식이섬유 함량은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특히 칠보팥(14.81%)의 식이섬유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출수율은 태광콩과 대풍콩이 각각 38.70 및 34.61%로 높은 추출수율을 보였으며, 칠보팥, 금실팥 및 밀양8호가 각각 20.76, 20.33 및 20.16%로 비교적 높은 수율을 보였고 중부팥이 13.78%로 가장 낮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품종별 팥 추출물의 총 polyphenol 및 flavonoid 함량은 각각 19.00-34.75 및 12.97-28.95 mg/g으로 대조군보다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밀양6호는 각각 34.75 및 28.95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품종별 팥 추출물의 총 anthocyanin 및 proanthocyanidin 함량은 각각 5.89-23.77 및 1.83-3.29 mg/g으로 나타나 대조군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tocopherol 함량은 5.71-7.66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연금팥이 7.66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ABTS와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밀양6호 추출물이 각각 2.44 및 4.46 mg TEAC/mg extract residue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국내에서 개발된 팥 품종은 높은 항산화성분과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천연항산화제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취반 후 백도가 좋고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은 찰성 쌀보리 "진주찰" (Naked Waxy Barley Cultivar "Jinjuchal" with High Whiteness after Cooking and High β-glucan Content)

  • 이미자;서재환;김양길;박종철;최재성;박태일;현종내;김정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99-305
    • /
    • 2009
  • 신품종 "진주찰" 쌀보리는 취반 후 백도가 좋고,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은 소립, 내재해, 양질, 다수성 쌀보리 신품종이다. 1996년에 호남농업연구소에서 도복과 내한성이 강하고 찰성으로 립백도와 정맥율이 높으며 취반특성이 우수한 특성을 지닌 "진미찹쌀보리"와 "수원333호"를 인공교배한 후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하였다. 2003년부터 2년간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한 결과, 수량성이 높고 도복이 강한 우수 계통으로 판명되어 "익산79호"로 계통명을 부여, 2005년부터 3년간 전작재배 수원 등 3개 지역, 답리작재배 익산 등 4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답리작 적응성이 높으며, 도복 등 내재해성에 강한 특성과 $\beta$-glucan 함량이 높고, 총페놀과 proanthocyanidin 함량이 낮아 취반 후 갈변화가 적고 백도가 높은 계통임이 입증되어 2007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심의회에서 신품종 "진주찰"로 등록하게 되었으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진주찰쌀보리는 새찰쌀보리에 비해 보리호위축병, 내한성 및 도복에 강하다. 2. 출수기는 전작 5월 4일로 새찰쌀보리보다 2일 늦었으며, 답리작은 4월 27일로 새찰쌀보리와 같았다. 성숙기는 전작 6월 6일, 답리작 6월 1일로 새찰쌀보리에 비해 1~3일 늦은 품종이다. 3. 간장은 81 cm로 중장간, 수장 4.9 cm, 일수립수 56개로 새찰쌀보리보다 적었고 $m^2$당 수수는 673개로 많았고 천립중은 27.0 g으로 소립종이었다. 4. 품질의 조곡특성은 단백질 함량은 11.9%로 새찰쌀보리와 비슷하였으며, $\beta$-glucan 함량은 8.4%로 새찰쌀보리 보다 높았으며, 정곡특성은 정맥율이 76.4%로 높았으며, 립백도 36.1로 새찰쌀보리에 비해 2.1정도 낮았다. 5. 취반 시 수분 흡수율은 249%로 높았으나 퍼짐성은 새찰쌀보리보다 다소 낮았고 총페놀과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 은 정곡에서 4.2와 0.2 mg/g으로 새찰쌀보리 보다 낮았으며 보리밥 백도는 취반 24시간 후와 53시간 후에서 24.8, 20.3으로 새찰쌀보리 보다 높았다. 6. 수량성은 전작재배 3.79 MT/ha으로 새찰쌀보리보다 1% 감수하였으나 답리작 재배 3.73 MT/ha으로 3% 증수하였다. 7. 적응지역은 대전이남 1월 평균 최저기온이 $-6^{\circ}C$ 이남지역과 쌀보리 재배지, 보리호위축병이 상습 발생하는 지역에 권장된다.

Antioxidant Flavonoids from the Twigs of Stewartia koreana

  • Lee, Sa-Im;Yang, Jae-Heon;Kim, Dae-Keu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8권2호
    • /
    • pp.191-196
    • /
    • 2010
  • In the course of screening for antioxidant compounds by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1,1-diphenyl- 2-picrylhydrazyl (DPPH), a total extract of the twigs of Stewartia koreana (Theaceae) was found to show potent antioxidant activity. Subsequent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methanolic extract led to the isolation of six phenolic compounds, ampelopsin (1), catechin (2), proanthocyanidin-A2 (3), fraxin (4), (2R, 3R)-taxifolin-3-${\beta}$-D-glucopyranoside (5), and (2S, 3S)-taxifolin-3-${\beta}$-D-glucopyranoside (6), as active principles.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by spectroscopic studies. Compounds 1-6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Among them, three compounds 1-3 showed the significant antioxidative effects on DPPH, and riboflavin originated superoxide quenching activity. In riboflavin-nitrobluetetrazolium (NBT)-light system, compound 1 showed better superoxide quenching activity than vitamin C.

Effect of Proanthocyanidin-rich Extracts from Pinus radiata Bark on Termite Feeding Deterrence

  • Mun, Sung Phil;Nicholas, Darrel D.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720-727
    • /
    • 2017
  • Antioxidants are known to affect the feeding habits of termites and a good source is pine bark which contains high levels of antioxidants which can be extracted with neutral solvents. In this study procyanidins (PCs)-rich MeOH-extract and a hot-water extract (HWE) were prepared from Pinus radiata bark. HWE was further separated into crude PCs (CPCs), polymeric PCs (PPCs), and low-molecular-weight PCs (LMWPCs) fractions. The MeOH extract and these fractions were examined for termite (Reticulitermes flavipes Kollar) antifeedant activities using a no-choice test. Catechin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The LMWPCs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deterrent to termite feeding. The comparative efficiency of the compounds tested were LMWPCs > PPCs > CPCs > MeOH extract, with the latter being more dependent on molecular weight than on its antioxidant activity.

왕느릅나무 수피의 페놀성 화합물 및 항산화 활성 (Phenolic Compounds from Barks of Ulmus macrocarpa and Its Antioxidative Activities)

  • 권영민;이재희;이민원
    • 생약학회지
    • /
    • 제33권4호통권131호
    • /
    • pp.404-410
    • /
    • 2002
  • Phytochemical examination of Barks of Ulmus macrocarpa has led to th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fla-vanonol, taxifolin $7-O-{\beta}-D-glucopyranoside$ (1), taxifolin $3'-0-7-{\beta}-glucopyranoside$ (2), two flavanone eriodictyol $7-O-{\beta}-D-glucopyranoside$ (3), nalingenin $7-O-{\beta}-D-glucopyranoside$ (4), three flavan 3-ol, (+)-catechin (5), (-)-epicatechin (6), (+)-catechin 7-O-{\beta}-D-glucopyranoside (7) and one proanthocyanidin, procyanidin B-1 (8).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se compound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1,1-diphenyl-2- picrylhydrazyl (DPPH) radicals . (+)-Catechin (5) , (-)-epicatechin (6), (+)-catechin $7-O-{\beta}-D-glucopyranoside$ (7) and procyanidin B-1 (8) showed significant antioxidative activity.

MUTAGENICITY AND ANTIMUTAGENICITY OF CATECHIN AND TANNINS FROM THE BARK OF HAMAMELIS VIRGINIANA L. IN HUMAN Hep G2 CELLS

  • Sundermann, Volker-Mersch;Andreas Dauer;Evelyne Lhoste;Siegfried Knasmuller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Dietary and Medicinal Antimutgens and Anticarcinogens
    • /
    • pp.95-96
    • /
    • 2001
  • The mutagenic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catechin, hamamelitannin and two proanthocyanidin fractions prepared from the bark of Hamamelis virginia L. - a commonly used medicinal herb - were investigated in a human derived hepatoma (Hep G2) cell line using the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SCGE, syn. Comet assay) for the detection of DNA-migration. The cells possess different phase I and phase II enzymes involved in the biotransformation of xenobiotics.(omitted)

  • PDF

Cancer Chemoprevention by Dietary Proanthocyanidins

  • Jo, Jeong-Youn;Lee, Chang-Y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501-508
    • /
    • 2007
  • Proanthocyanidins (PACs), also named condensed tannins, are polymers of flavan-3-ols such as (+ )-(gallo)catechin and (-)-epi(gallo)catechin. A proper analysis of the PACs, with difficult challenges due to their complex structures, is crucial in studies of cancer chemoprevention. Cancer is a leading cause of mortality around the world. Many experimental studies have shown that dietary PACs are potential chemopreventive agents that block or suppress against multistage carcinogenesis in both in vitro and in vivo models. Cancer chemoprevention by dietary PACs has been shown effective through different mechanisms of action such as antioxidant, apoptosis-inducing, and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Good sources of dietary PACs are nuts, fruits, beans, chocolate, fruit juice, red wine, and green tea. The chemopreventive potential of dietary PAC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ith their bioavailability in humans. The safety issues regarding carcinogenesis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 are also reviewed.

Expression of a Functional Type-I Chalcone Isomerase Gene Is Localized to the Infected Cells of Root Nodules of Elaeagnus umbellata

  • Kim, Ho Bang;Bae, Ju Hee;Lim, Jung Dae;Yu, Chang Yeon;An, Chung S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3권3호
    • /
    • pp.405-409
    • /
    • 2007
  • A putative type-I chalcone isomerase (CHI) cDNA clone EuNOD-CHI was previously isolated from the root nodule of Elaeagnus umbellata [Kim et al. (2003)]. To see if it encodes a functional CHI, we ectopically overexpressed it in the Arabidopsis (Arabidopsis thaliana) transparent testa 5 (tt5) mutant, which is defective in naringenin production and has yellow seeds due to proanthocyanidin deficiency. Ectopic overexpression of EuNOD-CHI resulted in recovery of normal seed coat color. Naringenin produced by CHI from naringenin chalcone was detected in the transgenic lines like in the wild-type, whereas it was absent from the tt5 mutant. We conclude that EuNOD-CHI encodes a functional type-I CHI. In situ hybridization revealed that EuNOD-CHI expression is localized to the infected cells of the fixation zone in root nodules.

비수리(Lespedeza cuneata G. Don)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용매분획물의 항산화활성과 α-Glucosidase 저해활성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ic Extract of Sericea Lespedeza (Lespedeza cuneata G. Don))

  • 김현영;고지연;송석보;김정인;서혜인;이재생;곽도연;정태욱;김기영;오인석;정헌상;우관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08-1514
    • /
    • 2012
  • 비수리의 식품학적 이용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비수리 메탄올 추출물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물 분획 등 순차적 용매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2.44, 3.61, 6.39, 27.11, 20.00 및 9.32 mg GAE/g extract residue(ER)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94, 9.92, 7.77, 9.27, 5.11 및 2.66 mg CE/g ER, 총 탄닌 함량은 각각 8.75, 10.04, 7.42, 17.32, 11.65 및 7.61 mg TAE/g ER, 총 프로안토시아니딘의 함량은 346.09, 63.50, 103.76, 288.62, 231.99 및 $358.48{\mu}g$ CE/g ER로 나타났다. 비수리 메탄올 추출물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물 분획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20.62, 5.16, 9.29, 20.80, 20.00 및 20.79 mg TE/g ER,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33.86, 9.24, 17.36, 33.76, 33.49 및 33.86 mg TE/g ER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각각 4.12, 0.61, 2.01, 9.89, 13.47 및 11.82 unit/mL의 활성을 보여 butanol 분획과 물 분획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물 분획 50 및 $25{\mu}g/mL$에서 각각 93.85 및 61.64%로 높은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비수리 추출물은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SOD 유사활성,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보이며, 체내 및 식품에서 활성산소 종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 용매 분획에 따른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Ethanol Extract According to Serial Solvent Fractionation)

  • 정하열;윤수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92-1096
    • /
    • 2002
  •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 용매 분획물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을 분획물의 총 카테킨 함량은 각각 35.7 mg/g, 20.2 mg/g이었으나 두 용매 분획물을 첨가한 시료의 POV 증가 경향은 유사하여 카테킨의 함량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두 용매 분획물에 함유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이루고 있는 카테킨의 중합도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 용매 분획물을 Cl8 카트리지로 소분획하여 카테킨의 단량체-이량체 분획 (FI)과 올리고량체 분획(FII) 및 다량체 분획 (FIII) 등의 세가지 그룹으로 분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는 E-FI(26.0 mg/g) > F-FII(18.6 mg/g) > E-FIII(13.7 mgtg)의 순서로 카테킨 할량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을 1,000 ppm 농도로 첨가한 시료의 POV 증가 경향은 유사하였다. 또한 부탄을 분획 물에서도 B-FI(33.3 mg/g) > B-FI(30.8 mg/g) > B-FIII(22.7 mg/g)의 순서로 카테킨 함량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항산화 효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일반적으로 카테킨의 항산화력은 첨 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각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에서 차이가 없었던 것은 포도종실 에탄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총 카테킨의 함량 뿐만 아니라 프로안토시아니딘을 이루고 있는 카테킨의 중합도에 따른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 제조되는 포도종실 추출물의 품질 관리에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