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active policy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99초

테러와 테러정책에 대한 미시경제학적 분석 (A Microeconomic Analysis on Terrorism and Anti-terror Policies)

  • 최효철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2호
    • /
    • pp.201-235
    • /
    • 2004
  • This paper provides a simple microeconomic model of terrorist attcks and anti-terrorism policies. The terrorists can be characterised as rational actors, choosing between legal activities and terrorist activities to promote their political goals. Since their resources are limited, one can think of anti-terrorist policies by examining how such policies affect the objectives and constraints of terrorists. Deterrence policy seeks to reduce terrorist attacks by raising the cost of undertaking terrorist acts. Proactive policy aims at preventing attacks by destroying terrorists' resources (fund, personnel, leadership). This paper suggests another type of anti-terrorist policy which is to reduce the benefits of (or in other words, raising the opportunity costs of) terrorist acts. Such a policy is based on decentralisation in political decision-making and economic power.

  • PDF

산업체 규모와 업종에 따른 MSDS 영업비밀 적용 실태조사 연구 (Study on the Status of Application of Trade Secrets in MSDS Provided in Workplaces)

  • 이권섭;최흥구;이인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7-33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the application of trade secrets in MSDSs according to size and type of industry. The contents of the MSDS non-public approval policy are summarized. We suggest proactive improvement requirement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MSDS non-public approval policy. Methods: To review this subject, we selected 153 manufacturers and six importers in such fields as organic chemical production. The trade secrets application status and ratio (%) of MSDSs by industry size and industry classification were investigated. Improvements toward a proactive system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MSDS non-public approval policy unde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OSHA) were summarized. Results and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rade secret ratio in MSDSs by industry size was 33% in workplaces with less than 50 employees, 23.1% in workplaces with more than 50 but less than 100 workers, 73% in workplaces with more than 100 workers, and 83.4% in workplaces with 300 or more workers. For the trade secret writing rate for MSDSs by industry, the highest was MOCCP (Manufacture of ink, paint, coating and similar products) at 80.9%. MOC (Manufacture of other chemicals) was the lowest at 16.2%. We propose four proactive efforts to minimize the administrative burden of implementation of the MSDS non-public approval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olicy improvements to make more effective use of MSDS.

중소제조기업 조직역량이 선도적 사회적 책임활동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E's Organizational Capabilities on Proactive CSR and Business Performance)

  • 배정호;박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181-197
    • /
    • 2016
  • 지금껏 중소제조기업의 선도적 CSR에 대한연구가 별로 없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조직역량과 선도적 CSR활동 및 경영성과 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역량 및 CSR활동 등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목적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 모형은 전국 중소제조기업 관리자 4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 자료를 근거로 SPSS 18.0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소기업 조직역량은 선도적 CSR활동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도적 CSR활동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선도적 CSR이 매개역할 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업관리자들의 사업환경 불확실에 대한 인지는 조직역량과 선도적 CSR 간의 관계에 조절효과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기업 조직역량과 선도적 CSR활동 간의 관련성에 대한 검증 및 선도적 CSR활동이 기업경영성과를 향상시켜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능동적 지능형 가상 비서의 사용자 경험 연구 : Google의 'Nest Hub Max'를 중심으로 (An User Experience of Proactiv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Focusing on Google 'Nest Hub Max')

  • 조수경;김재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379-389
    • /
    • 2020
  • 본 연구는 능동적 IPA(지능형 가상 비서)가 탑재된 Google의 Nest Hub Max의 사용 행태별 사용자 경험 분석을 위한 질적 연구이다. 근거이론 방법론에 착안하여, 한 달 동안 해당 기기를 사용한 6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총 186개의 개념이 추출되었으며, 24개의 하위 범주와 11개의 상위 범주로 정리되었다. 개방 코딩을 통해 축 코딩을 이용한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고 선택 코딩을 거쳐 사용 행태 유형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능동적 IPA의 소극적 사용자와 적극적 사용자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유형별 해당 기기의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였다. 유형별 다른 사용 행태의 패러다임을 보였으나 결론적으로 소극적 사용자와 적극적 사용자는 모두 해당 기기의 능동적 IPA로부터 긍정적인 사용 경험을 유발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앞으로 출시될 능동적 IPA가 탑재된 기기 및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윤리적 리더십과 직무 자율성이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 : 윤리풍토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and Job Autonomy on Proactive Administra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Ethical Climate)

  • 박정민;최도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634-650
    • /
    • 2022
  •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와 이론검토를 통해 적극행정의 의미를 구체화하고, 윤리적 리더십과 직무 자율성이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토를 거쳐 275개의 설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윤리적 리더십과 직무 자율성이 적극행정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리더의 윤리적 속성이 높을수록, 직무수행 시 담당자가 가지는 자율성이 높을수록 적극행정이 실현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직무 자율성과 적극행정 사이에서 윤리풍토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윤리적 리더십과 적극행정 사이에서는 그 효과를 가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윤리풍토가 높은 경우 직무수행을 위한 자율적 행위를 긍정적으로 수용할 가능성이 높아 적극행정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윤리적 리더십과 윤리풍토 각 변인은 적극행정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바, 적극행정이 조직 내 윤리적 측면과 상당한 관련성을 가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컨설턴트의 주도성과 배려가 신뢰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sultant Proactive Personality and Benevolence on Trust & Innovative Performance)

  • 정구상;김태성;이현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83-92
    • /
    • 2012
  • 본 연구는 컨설턴트의 주도성과 배려가 신뢰유형에 따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컨설턴트의 주도성이 인지기반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컨설턴트의 배려 또한 정서기반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된 신뢰는 혁신성과에도 긍정적인 관계를 보여주고 있어, 컨설팅 서비스에서 신뢰의 매개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신뢰의 형성요인을 컨설팅 수행과정에서 감성 요인을 신뢰형성의 주요 변인으로 추가하여 실증분석함으로서 정시기반 신뢰의 효과를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A policy analysis of nuclear safety culture and security culture in East Asia: Examining best practices and challenges

  • Trajano, Julius Cesar Imperia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1권6호
    • /
    • pp.1696-1707
    • /
    • 2019
  • This paper conducts a qualitative policy analysis of current challenges to safety culture and security culture in Southeast Asia and emerging best practices in Northeast Asia that are aimed at strengthening both cultures. It analyses lessons, including strengths and limit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Northeast Asian states, given the long history of nuclear energy i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It identifies and examines best practices from Northeast Asia's Nuclear Security Centres of Excellence in terms of boosting nuclear security culture and their relevance for Southeast Asia. The paper accentuates the important role of the State in adopting policy and regulatory frameworks and in institutionalising nuclea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mes to deepen the safety-security cultures. Best practices in and challenges to developing a nuclear safety culture and a security culture in East Asia are examined using three frameworks of analysis (i) a comprehensive nuclear policy framework; (ii) a proactive and independent regulatory body; and (iii) holistic nuclea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mes. The paper argues that Southeast Asian states interested in harnessing nuclear energy and/or utilising radioactive sources for non-power applications must develop a comprehensive policy framework on developing safety and security cultures, a proactive regulatory body, and holistic nuclear training programmes that cover both technical and human factors. Such measures are crucial in order to mitigate human errors that may lead to radiological accidents and nuclear security crises. Key lessons from Japan, South Korea and China such as best practices and challenges can inform policy recommendations for Southeast Asia in enhancing safety-security cultures.

바이오헬스정책, 거버넌스 구축이 최우선 과제이다 (Establishing an Effective Governance System Is the Top Priority in Securing Competitiveness in the Biohealth Industry)

  • 이선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77-378
    • /
    • 2023
  • The Yoon Suk Yeol administration is promoting the "Global Leap of the Biohealth Industry" as one of its 120 key national policies. Recently, the administration has been showing its commitment by establishing various strategies and presenting blueprints for policy implementation. However, the results felt on the ground are still not sufficient. The biohealth industry is a difficult field to generate policy effects because the related regulations are intricately intertwined and the diverse administrative tasks are scattered in various government departments, where inter-departmental interests differ. To solve this problem, an innovative governanc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for the government's recent approach to establish a government-wide control tower to be effective, it should demonstrate a proactive policy commitment and be given practical power to coordinate the interests between departments.

일-가정 갈등과 조직시민행동간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와 주도적 성격의 조절효과 (Mediating effect of burnout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 한진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113-12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가정갈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와 일-가정갈등의 인한 직무소진과 조직시민행동간 주도적 성격의 조절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의 표본은 대전시, 세종자치시, 충남북도 소재 병원 및 콜센터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3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초래갈등(WIF)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정초래 갈등(FIW)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초래갈등(WIF)과 조직시민행동간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초래갈등(FIW)과 조직시민행동간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도적 성격은 일-가정갈등으로 인한 직무소진과 조직시민행동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장에서 일-가정갈등으로 인한 직무소진과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를 주도적 성격이 완화시킨다는 것을 입증하였는데, 이는 일-가정 갈등에서 구성원의 주도적 성격의 필요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이 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추후에는 더 다양한 개인특성을 조절변수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