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bone tumor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3초

전이성 골종양의 역학적 연구 (An Epidemiologic Study of Metastatic Bone Tumor)

  • 김재도;이덕희;박정호;손영찬;홍영기;손정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8-44
    • /
    • 1995
  • 1988년부터 1993년까지 최근 6년간 고신의료원에서 전이성 골종양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았던 환자중 조직학적으로 확진되었던 4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통하여 연령별, 성별, 골전이 부위별 분포와 원발성 암에 따른 전이의 양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전이를 가장 잘 일으키는 원발성 암은 폐암(29.5%), 위암(15.3%), 유방암(11.3%), 자궁경부암(5.3%), 간암(4.8%)등의 순이었으며, 원발 부위 미상의 전이성 골종양은 7.7%였다. 2. 연령 분포는 40대 이후에서 발생한 경우가 85.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54.8세였다. 남자의 경우 50대(39.4%), 60대(27.5%), 40대(14.3%)의 순이었으며, 여자의 경우는 50대(31.9%), 40대(21.7%), 60대(20.5%)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3. 골전이 부위별 분포는 척추(25.2%), 골반골(16.0%), 늑골(15.3%), 대퇴골(14.5%), 두개골(8.3%), 상완골(5.5%), 견갑골(5.1%)등의 순이었으며, 골전이의 분포 양상은 체간골이 75.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근위부의 장관골이 19.8%, 슬관절과 주관절 이하의 원위 골격계가 4.4%의 순으로 나타났다. 척추 중에서는 흉추(42.1%), 요추(39.1%), 경추(13.2%), 천추(5.6%)의 순으로 나타났다. 4. 골전이 부위별 분포는 원발성 암의 종류에 관계없이 다발성 전이(73.1%)가 단발성 전이(26.9%) 보다 많았다. 5. 원발성 종양에 따른 분포 양상은 폐암의 경우 연령 분포는 50대, 60대, 40대의 순이었고, 남녀비는 2.3 : 1이었으며, 골전이는 척추, 골반, 대퇴골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위암의 경우 연령 분포는 50대, 60대, 40대의 순이었고, 골전이 부위는 척추, 대퇴골, 골반의 순이었다. 유방암의 경우 연령 분포는 40대, 50대, 30대의 순이었고, 골전이 부위는 척추, 늑골, 골반의 순이었다. 6. 원발 부위 미상의 전이성 골종양의 경우는 60대가 가장 많았으며, 30대부터 70대까지 분포되어 있었다. 골전이 부위는 척추, 대퇴골, 골반골, 늑골, 견갑골의 순이었으며, 조직학적으로는 선암, 편평세포암이 많았다.

  • PDF

CA 19-9 상승을 동반한 전이성 골종양으로 오인된 골결핵 1예 (A Case of Sacral Tuberculosis Mimicking Metastatic Bone Tumor with Elevated CA 19-9)

  • 장경윤;하경선;박경선;심은희;변재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196-201
    • /
    • 2011
  • A 73-year-old male presented a six-month history of buttock pain radiating into his thigh. The MRI revealed a large enhancing mass lesion involving the sacrum, with extension into the sacral canal. The tumor markers were measured to distinguish skeletal metastasis of carcinoma from primary bone tumor. The CA 19-9 was elevated. Despite the investigation, the primary site of cancer could not be found. Sacral bone biopsy was done. The pathologic examination revealed necrosis,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and multinucleated giant cells, consistent with tuberculosis. Sacral tuberculosis is rare in patients with no history of tuberculosis. Such solitary osteolytic lesions involving the subarticular region of large joints may mimic bone neoplasms and may be called "tuberculous pseudotumors." This case report intends to emphasize that bone tuberculosis should be a differential diagnosis in the presence of atypical clinical and radiological features. As tuberculous lesions may be mistaken for neoplasms, a small amount of fresh tissue should be sent for culture even if clinical diagnosis of a tumor seems likely. Described herein is a case of sacral tuberculosis mimicking metastatic bone tumor with elevated CA 19-9.

  • PDF

Primary Eosinophilic Granuloma of Adult Cervical Spine Presenting as a Radiculomyelopathy

  • Bang, Woo-Seok;Kim, Kyoung-Tae;Cho, Dae-Chul;Sung, Joo-Ky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4권1호
    • /
    • pp.54-57
    • /
    • 2013
  • We report a case of 29-year-old man diagnosed as a primary eosinophilic granuloma (EG) lesion of the seventh cervical vertebra. He had paresthesia on both arms, and grasping weakness for 10 days. Cervical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showed an enhancing mass with ventral epidural bulging and cord compression on the seventh cervical vertebra. Additionally, we performed spine series MRI, bone scan and positive emission tomography for confirmation of other bone lesions. These studies showed no other pathological lesions. He underwent anterior cervical corpectomy of the seventh cervical vertebra and plate fixation with iliac bone graft. After surgical management, neurological symptoms were much improved. Histopathologic evaluation confirmed the diagnosis of EG. There was no evidence of tumor recurrence at 12 months postoperative cervical MRI follow-up. We reported symptomatic primary EG of cervical spine successfully treated with surgical resection.

골 및 연부 조직 종양에서의 미세 침 흡입 세포 검사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in Bone and Soft Tissue Tumor)

  • 이수용;전대근;이종석;김석준;조경자;오형호;박민효;박현수;장진대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3-37
    • /
    • 1996
  • From January 1994 to August 1995 we performed 270 cases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or bone and soft tissue lesions. Among them 137 cases were diagnosed histologically. Sixty-seven cases were benign and 70 cases were malignant. We analysed these on the aspect of sensitivity, specif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the cytologic examination. Malignant cases consisted of bone tumor 29 cases; soft tissue tumor 25 cases; and metastatic tumor 16 cases. The sensitivity and specifity of the aspiration cytology for malignant tumor were 67.8% and 97%, respectively.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aspiration cytology were 97.4% and 72.7%, respectively. Among them 40 cases were primary bony lesions; 14 benign lesions, 26 malignamt bone tumors. Sensitivity of aspiration cytology for these primary bony lesion was 90%(18/20) and its specifity was 100%(13/13). Three cases showed atypical cells in cytology but with biopsy we could find them as one benign and two malignancies. Two cases of manignancy showed negative result in cytology; one was parosteal sarcoma of proximal femur and the other was osteosarcoma of proximal tibia which was biopsied already at other hospital. Although the overall sensitivity and specifity for malignant bone and soft tissue tumors were relatively low and not so predictable, the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or primary bony lesion was useful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benign or malignancy.

  • PDF

비골에 발생한 원발성 골 종양 (Primary bone tumors of fibula)

  • 박장원;이승환;신규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2-117
    • /
    • 2006
  •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골 종양의 발생 부위 중 비교적 드문 부위인 비골에서 원발하는 골 종양의 종류와 그 치료 후 경과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하지의 골종양을 진단 받고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비골의 원발성 골종양 환자에 대하여 조사하여 그 임상적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상기 기간에 비골의 원발성 골종양을 진단 받고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는 총 17명(남자 10명, 여자 7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2세, 평균 추시는 18개월이었다. 병리조직 검사 결과 골연골종이 8예로 가장 흔한 진단이었으며 그 외에 골육종, 섬유성 골이형성증이 2예씩 진단되었다. 악성 골 종양의 빈도는 10.5%였다. 그 부위별로는 근위부, 간부, 원위부가 각각 12예, 4예, 1예였다. 최종 추시 시의 임상적인 만족도는 우수 혹은 양호의 결과가 14명으로 나타났다. 결론: 비골은 골 이식 시에 가장 흔한 공여부 중의 하나로 병변이 경골까지 침범되거나 원위부에 위치하지 지 않는 이상 절제 후에 재건술이 특별히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적극적인 수술적인 치료가 가능하며 특히 간부의 경우에는 충분한 절제 경계를 확보하기 용이하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그 빈도가 낮은 편이며 증상이 명확하지 않고 병변이 진행될 경우에 절단술이 필요할 수 있어 진단에 주의를 요한다.

  • PDF

우측 둔부를 침범한 위장관 간질 종양 - 1예 보고 - (Extragastrointestianl Stromal tumor Developed in Right Buttock - A Case Report -)

  • 김태승;황건성;김기천;박문향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2-145
    • /
    • 2007
  • 위장관이외의 장소에서 위장관 간질 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일차적 병소가 아닌 전이 병소로 진단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25세 남자에서 좌측 둔부 중둔근, 소둔근에서 발생한 위장관 간질 종양이 복부의 일차 병소없이 인접한 장골 및 천골을 침범한 1례를 경험하였다. 이에 위장관외 간질종양(Extra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EGIST)이라는 진단명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Epidemiological Aspects of Osteosarcoma, Giant Cell Tumor and Chondrosarcoma Musculoskeletal Tumors - Experience of the National Rehabilitation Institute, Mexico City

  • DelaGarza-Montano, P;Estrada-Villasenor, E;Dominguez Rubio, R;Martinez-Lopez, V;Avila-Luna, A;Alfaro-Rodriguez, A;Garciadiego-Cazares, D;Carlos, A;Hernandez-Perez, AD;Bandala, C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451-6455
    • /
    • 2015
  • Background: Primary bone neoplasms are rare, contributing only 0.2% of the global burden of all human malignancies. Osteosarcoma (OS) and chondrosarcoma (CS) are the most common malignancies of bone. The giant cell tumor of bone (GCTb) is a benign tumor with behavior characterized by osteolytic bone destruction. The OS, CS and GCTb affect both sexes, all races and generally have incidence peaks regarding the age of the patient which vary according to the tumor type. We analyzed the incidences of OS, CS and GCTb and their relations with gender and age in patients treated in the National Rehabilitation Institute (INR, for its acronym in Spanish) over a period of nine years. Materials and Methods: In the study period, clinic pathological data for 384 patients were obtained with clinical, radi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diagnosis for OS, GCTb and C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hi-square and Fisher's exact tests. Results: From 2006 to 2014 were recorded 384 cases of bone malignancies in the database of INR. The GCTb had the highest incidence (53.1%), followed by OS (31.3%) and finally the CS (15.6%). The overall average age was $33.6{\pm}15.8$ years and the overall frequency of gender had a ratio of 1/1.03 male/female. The states with the highest incidence were Distrito Federal and Estado de Mexico with 29.2% and 25.3% respectively. Malignant neoplasms of bone assessed in the course of nine years show three significant increases in 2008, 2011 and 2014 (p=0.14). We found association between sex and tumor type (p=0.03), GCTb and CS predominated in females (54.9% and 56.6% respectively), while for the OS males were most affected (59.1%). Age was different in relation with tumor type (p=0.0001), average age was $24.3{\pm}11.2$ years for OS, $34.5{\pm}13$ years for GCTb and $49.2{\pm}18.5$ years for CS. Furthermore, associations of tumor type with topographic location of the primary tumor (P=0.0001) were found.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can see that incidence of musculoskeletal tumor in our population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in nine years an approximately 200% increase of musculoskeletal tumor cases was observed.

치골에 발생한 연골육종 - 증례 보고 - (Chondrosarcoma of the Pubic Bone)

  • 송원석;안준환;조완형;변우진;전대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6-140
    • /
    • 2006
  • 골반골은 악성 골종양의 원발 병소 중 예후가 가장 나쁜 위치이다. 그 중에서도 치골결합 주위에서 발생한 악성 골종양은 그 자체가 극히 드물며, 이곳에 발생한 연골육종은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해부학적인 위치 때문에 절제에 어려움이 있다. 저자들은 치골에 생긴 골반강내 연골육종을 양측 치골지의 절골술 후 도달법으로 전 절제가 가능하였으며, 술후 양호한 기능적 결과를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대퇴골 근위부 악성 골종양 환자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Limb Salvage Surgery with Tumor Prosthesis for the Malignant Bone Tumors Involving the Proximal Femur)

  • 전영수;백종훈;이승혁;이충환;한정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3
    • /
    • 2014
  • 목적: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한 악성 골 종양의 치료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하는 경우 환자의 생존과 더불어 술 후 보행 등의 기능회복이 중요하다. 대퇴골 근위부의 악성 골 종양에 의한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한 환자에 대하여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시행 후 임상 결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대퇴골 근위부 악성 골 종양을 진단 받고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하여 대퇴골 근위부 절제술 및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한 20예(19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3.1세(범위 35-86세)였으며 남자가 14예, 여자가 6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0개월(1-94개월)이었고, 전이성 골 종양 15예, 골육종 4예, 다발성 골수종 1예였으며, 전이성 병변의 원발 암은 폐암 4예, 간암 3예, 신장암 3예였고,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전립선암, 악성 방추 세포암이 각각 1예씩 이었다. 사용된 종양 대치물은 모두 조립형 종양 대치물로 Kotz's$^{(R)}$ Modular Tumor prosthesis (Howmedica, Rutherford, New Jersey)가 3예에서 사용되었고, MUTARS$^{(R)}$ proximal femur system (Implantcast, Munster, Germany)이 17예에서 사용되었다. 수술 전 후의 동통 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s(VAS)로 평가하였으며, 술 후 하지의 기능적 평가를 위해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core(MSTS) grading system 을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20예(19명) 중 11예(10명)가 생존하고 9예(9명)가 사망하였으며 사망한 환자의 술 후 평균 생존기간은 10.1개월(1-38개월) 이었다. VAS 점수는 술 전 평균 8.40점(5-10점)에서 술 후 평균 1.35점(0-3점)으로 호전 되었고, 수술 후 MSTS 기능적 평가는 평균 19.65점(65.50%) (7-28점)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국소 재발 2예, 혈종 3예, 감염 3예, 음낭 종창 2예, 탈구 1예였고 치환물 주위 골절이나 해리는 없었다. 결론: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한 악성 골 종양에 의한 통증 또는 병적 골절이 발생한 경우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은 조기의 통증 감소 및 기능 회복을 위한 적절한 치료로 생각된다.

Solitary Plasmacytoma of the Sternum

  • Lee, Jung Hwa;Lee, Woo Surng;Kim, Yo Han;Kim, Jong Du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6호
    • /
    • pp.482-485
    • /
    • 2013
  • Plasmacytoma is a plasma cell neoplasm that locally infiltrates a bone or spreads to extramedullary areas. A new World Health Organization criterion defines solitary plasmacytoma of bone as a localized bone tumor consisting of plasma cells identical to those seen in plasma cell myeloma, which is manifested as a solitary osteolytic lesion in a radiological evaluation. Primary tumors of the sternum are generally malignant, and solitary plasmacytomas of the sternum are very rare tumors. We present herein the case of a patient who had a primary sternal tumor with solitary plasmacytoma and no evidence of multiple myelo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