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ventive dentistry

검색결과 871건 처리시간 0.03초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업무수행과의 관계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he Practice Performance as Dental Hygienist)

  • 김경선;유미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11-115
    • /
    • 2004
  •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전문직 자아개념 정립과 치위생직 전문직 발전에 도움이 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전라북도 전주시 치과진료기관에 종사하는 110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002년 3월 11일부터 3월 2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 분석결과 종교(p<.05)와 최종학력(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업무수행 분석결과 종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3. 전문직 자아개념과 업무수행과의 상관관계는 순상관성(F=.663, p<.001)을 보여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업무수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 전문직 자아개념은 업무수행 영역의 독자적업무(F=.683, p<.001), 대인관계업무(F=.648, p<.001), 일반관리업무(F=.573, p<.001), 협동적업무(F=.478, p<.001)순으로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2) 업무수행은 전문직 자아개념 영역의 전문적 실무(F=.637, p<.001)와 만족감(F=.337, p=.000)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업무수행 정도를 높이기 위해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의 기회가 확대, 유지되어야한다. 둘째,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업무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전주시 치과의료기관에 국한된 것이므로 연구결과를 확대 해석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하고 설문도구 작성에 있어 주로 간호사를 중심으로 개발된 문항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치과위생사에 적합한 표준문항이 없어 타당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 PDF

치위생학과 교육과정에서의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과목 운영 사례연구 (Effectiveness and Learning Experience of Dental Communication Course Training in Dental Hygiene Schools)

  • 최용금;신보미;손정희;박덕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4-141
    • /
    • 2016
  • 이번 연구는 치위생학과 교육과정에서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된 효과적인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관계 형성하기', '대화 열기', '정보 수집하기', '상대방의 시각 이해하기', '정보 공유하기', '의견일치 보기', '마무리짓기' 등 7가지 평가항목에서 교육 전보다 교육 후 모든 점수가 상승되었다. 이 중 '정보 수집하기'의 자가평가 수준은 수업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008).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교과목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수업운영 전보다 후에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수업은 치과위생사의 전문성을 키우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하나요',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수업이 교육과정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라는 항목에서는 수업 전후 각각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9, p=0.016).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치과위생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인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은 치위생(학) 교육과정으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역량은 교육과 학습을 통해 계발 및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치과의료현장에서 필요한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요소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이론 교육만이 아닌 실습 교육을 포함한 체계적이고, 학년 간 연계 가능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연구 대상자 수를 늘리고, 자가수준의 평가가 아닌 학생들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 개발과 표준화된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일부 성인의 구강건강문해력과 구강보건행태 (A Study on Oral Health Literacy and Oral Health Behavior among Adults)

  • 김선일;박현경;남지영;고수연;김혜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9-82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behavior,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literacy for adult workers. Methods: This study chose some adult workers located D City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accepted those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with a survey as subjects. The final study subjects were 297 except 24 with unsound questionnaires among a total of 321 questionnaires. The contents of a survey we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al health behavior,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literacy, and the survey was done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In the verbal oral health literacy distribution based on REALM standard of the subjects, a scale of 7-8, 45-60 points by score was the highest with 62.0%. In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oral health knowledge level of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liter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oral health literacy, monthly income of house hold, and marital status as well,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literacy level according to oral health behavior and in the oral health knowledge level depending on a regular checkup. And In experie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of dentistry and dental health education, and main body of the decision of dental treatment, verbal oral health literacy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literacy was significant. It can be seen that based on correlation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knowledge level, verbal oral health literacy, and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gender and education level, age and average monthly income, and age and marital status.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ed the need for oral health literacy along with the oral health knowledge of oral health behavior affecting adult workers' oral health, and tried to establish the connection among them.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an improvement plan of oral health literacy for the prevention and promotion of adult workers' dental disease in the future.

  • PDF

The long-term evaluation of the prognosis of implants with acid-etched surfaces sandblasted with alumina: a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 Kim, Min-Joong;Yun, Pil-Young;Chang, Na-Hee;Kim, Young-Kyu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2권
    • /
    • pp.10.1-10.9
    • /
    • 2020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ong-term clinical stability of implants with acid-etched surfaces sandblasted with alumina using retrospective analyses of the survival rate, success rate, primary and secondary stability, complications, and marginal bone loss of the implants. Methods: Patients who had implants placed (TS III SA, SS II SA, SS III SA, and U III SA) with SA surfaces from Osstem (Osstem Implant Co., Busan, Korea)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0 were selected for the study. Patients'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panorama, periapical view)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o investigate sex, age, location of implantation, diameter, and length of the implants, initial and secondary stability, presence of bone grafting, types of bone grafting and membranes, early and delayed complications, marginal bone loss, and implant survival rate. Results: Ninety-six implants were placed in 45 patients. Five implants were remov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for a total survival rate of 94.8%. There were 14 cases of complications, including 6 cases of early complications and 8 cases of delayed complications. All five implants that failed to survive were included in the early complications. The survival of implant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and the absorption of bone greater than 1 mm within 1 year after prosthetic completion. In addition, the absorption of bone greater than 1 mm within 1 year after prosthetic comple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primary stability, and implant placement method. Five cases that failed to survive were all included in the early complications criteria such as infection, failure of initial osseointegration, and early exposure of the fixture. Conclusions: Of the 96 cases, 5 implants failed resulting in a 94.8% survival rate. The failed implants were all cases of early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failure of initial osseointegration, and early exposure of the fixtures. Periimplantitis was mostly addressed through conservative and/or surgical treatment and resulted in very low prosthetic complications. Therefore, if preventive measures are taken to minimize initial complications, the results can be very stable.

소아 진정 치료 시 구강 점막 하와 비점막 Midazolam 투여의 행동 반응 비교 (Comparison of Behavioral Response between Intranasal and Submucosal Midazolam Adminstration)

  • 김윤희;정상혁;백광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27-436
    • /
    • 2008
  • 진정법을 이용한 소아환자의 치과치료 시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을 복용 후 추가로 midazolam을 비점막내로 분무하는 것과 구강 점막 하로 주사했을 때 행동 반응과 진정 효과에 대해 비교하고자 하였다. 미국 마취과학회 신체등급 I급 (ASAI)이며, 협조가 안 되는 24-72 개월 소아 환자 중 진정법을 통해 2개 치아 이상의 보존 치료 및 발치 치료를 받은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chloral hydrate 50 mg/kg 와 hydroxyzine 1 mg/kg 복용하였다. 45분 후 한 군은 비강내로 midazolam 0.2 mg/kg 을 추가 투여하였고 다른 군은 구강 점막 하 midazolam 0.2mg/kg 을 주사하였다. 치료하는 동안 두 군 모두 50 % nitrous oxide 를 유지하였다. 맥박 산소 계측기와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측정기를 이용하여 산소 포화도, 맥박수, 호흡수,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을 기록하였다. 행동 반응은 Quiet(Q), Crying(C), Movement(M) 그리고 Struggling(S)를 이용하여 총 40분 동안 매 2분마다 기록하고 모든 진정 치료 과정은 비디오로 촬영하였다. 모든 자료는 chi-sqaure test와 two sample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군간의 평균 도입 시간과 최대 치료 시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활력 생징후도 모두 정상 범위이며 두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행동 반응 비교에서는 치료 시작 10분 동안 비강내 투여 군이 점막 하 투여 군보다 개선된 행동 반응을 보였다(P<0.05). 치료 시작 10분 이후에는 두 군사이의 행동 반응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chloral hydrate 와 hydroxyzine 복용 후 nitrous oxide 50%로 유지하는 진정법에 비강내로 midazolam을 추가 투여하는 것은 점막 하로 추가 투여와 유사한 진정 효과를 가진다. 또한 비강내 midazolam 추가 투여하는 것은 구강 점막 하로 추가 투여의 장점을 가지면서도 비침습적이고 상대적으로 통증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비강내 midazolam 추가 투여는 침습적인 구강 점막 하 추가 투여를 대체할 만한 방법이다.

  • PDF

농촌지역 노인요양병원 입원환자의 간병인을 통한 구강건강관리 효과 (Effects of Oral Hygiene Improvement of the Elderly Patients by Caregiver's in Rural Long-term Care Hospital)

  • 김경원;윤희정;김미령;이희경;이경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1호
    • /
    • pp.13-20
    • /
    • 2010
  •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되는 시점에서 구강위생상태가 개선되기 위한 우리나라 노인의 실정에 맞는 구강관리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2007년 12월에서 2008년 6월까지 충북 목천에 있는 노인요양병원 한 곳의 노인환자 53명을 관리군으로 선정하여 구강검사 및 구강위생검사를 한 후, 간병인에게 잇솔질 교육과 의치관리교육을 실시하고, 교육 받은 간병인이 1일 1회 구강위생관리를 지도하도록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에 있는 노인요양병원의 노인환자 52명을 선정하여 관리군과 같은 조사를 실시하였다. 3개월간의 구강위생관리 실시 후, 구강관리의 효과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구강위생관리를 실시 전 대조군과 관리군의 일반적인 특성, 질병의 유병률, 구강상태, 구강위생상태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치아우식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개월 후의 두 군을 비교한 결과, 치면세균막점수는 구강관리 실시 후 관리군에서 19.0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대조군에서는 1.2점 증가하였다(p=0.566). 구강관리 실시 전 치면세균막점수를 통제한 후 그 효과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관리군과 대조군 간에 구강위생, 치면세균막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구강위생상태의 변화는 대조군에서 치면세균막이 중등도 이상 발견된 비율이 82.7%에서 76.9%로 4.8%P 감소했고 관리군은 84.9%에서 58.5%로 26.4% 감소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4). 설태가 다량 발견된 비율은 대조군에서 90.4%에서 94.2%로 3.8% 증가했고, 관리군은 90.6%에서 59.1%로 31.5% 감소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의치 오염도는 대조군에서 중등도 이상인 비율이 75%에서 78.8%로 3.8% 증가했고, 관리군은 73.6%에서 43.4%로 30.2% 감소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이 연구는 장기요양 노인 환자들에게 3개월 동안 간병인을 통한 구강관리를 시행한 결과, 구강위생상태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장기요양 노인환자에 대한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경상북도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치과의료이용양상 및 관련요인 (Dental Care Utilization Patterns and Its Related Factors of the Rural Residents)

  • 장분자;김지영;송근배;감신;이성국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8권2호
    • /
    • pp.171-182
    • /
    • 2003
  • 일부 농촌지역주민의 치과의료이용양상 및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상북도 성주군의 1개읍, 9개면에 거주하는 건강검진사업 참가자 중 설문조사에 응답한 남자 260명과 여자 264명인 총 524명을 대상으로 직접 대면방식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농촌지역주민의 치과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치과의료이용률은 대상자의 64%로 치과병의원(49.4%)의 이용률이 가장 높았고 보건기관의 치과(8.0%), 기타(6.6%) 순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1년동안의 스스로 인지한 구강질환경험률은 연령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높았고, 치과의료이용률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구강보건인식에 따른 구강질환경험률은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가 불량할수록 유의하게 높았고, 치과의료이용률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할수록 유의하게 높았다(p<0.01). 상용치과치료원 유무에 따른 구강질환경험률과 치과의료이용률은 상용치과치료원이 있는 경우(81.0%)가 더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통증의 정도별에 따른 치과의료이용률은 많이 아플수록 유의하게 높았다(P<0.01). 구강질환자의 미치료율은 36%이며 주된 이유는 심한 질환이 아니라고 생각해서(45.5%)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치과의료이용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교육수준, 통증의정도,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상용 치과치료원 유무였다(P<0.05). 즉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할 수록, 통증의 정도가 심할수록, 상용치과 치료원이 있을수록 치과의료 이용을 더 많이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건기관에서는 지역사회의 구강질환 예방을 위한 구강보건사업을 강화하고 구강보건인식도를 높일 수 있는 보건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 도 및 보건소의 조직에 전문성을 갖춘 구강보건 전담부서가 마련되어 구강보건사업을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효율적인 구강보건사업의 추진이 가능할 것이다.

  • PDF

임플란트 시술환자의 시술 전.후의 저작능력과 삶의 질 비교 (Comparison of chew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the dental implantation)

  • 김경원;이경수;강복수;김우식;이희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15-221
    • /
    • 2009
  • 연구목적: 임플란트 시술을 받는 환자가 크게 증가하는 시점에 임플란트 시술환자를 시술 전후로 추적 조사하여 시술 전후의 저작능력을 평가하고, 시술 전후의 환자 만족도와 삶의 질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대구광역시와 울산광역시에 있는 6개의 치과 의원에서 2006년 12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환자 109명을 대상으로 임플란트 시술 전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임플란트 치료선택동기, 저작능력, 환자만족도, 권유의향, 삶의 질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임플란트 선택 동기는 '치아기능의 회복을 위하여'가 45.9%로 가장 많았고, 치료 시 가장 걱정되는 것은 '치료실패와 부작용'이 38.5%로 가장 많았다.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만족도는 시술 전 30.37점에서 시술 후 45.01점으로 시술 전후의 만족도 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치료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한다'라고 답한 사람이 91.8%였으며, 연구대상자의 89%가 가족이나 주위에 임플란트를 '권유할 의향이 있다'라고 응답했다. 섭취가능 식품에 대한 설문을 이용하여 측정한 저작능력 점수는 임플란트 시술 전 15.24점에서 임플란트 시술 후 19.11점으로 시술 전후의 저작능력 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삶의 질 점수도 임플란트 시술 전 9.99점에서 시술 후 11.17점으로 시술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결론: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치아 질환, 치아상실로 인하여 저하된 저작 능력이 임플란트를 통하여 유의하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임플란트를 시술한 상실치아 수나 상실 부위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환자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시술 후 장기간의 경과 후 평가 및 연구대상자 확대를 통한 연구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교합안정장치 교합면의 모양에 따른 저작효율 (The Chewing Efficiency of Occlusal Stabilization Appliances by Anatomy of the Occlusal Surface)

  • 임영관;최충호;김재형;이종욱;김병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3호
    • /
    • pp.361-373
    • /
    • 2005
  • 교합장치요법은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증상과 징후를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밝혀져 있다. 교합장치의 저작효율에 관한 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정상인에서 실험적으로 자연치열과 비교한 교합안정장치의 저작 효율을 조사하고, 개선된 저작 효율을 가진 변형된 교합안정장치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열한명의 연구대상자(평균 연령 25.3세, 연령 범위 23-33세)가 실험에 참여했다. 이 중 남자는 6명, 여자는 5명 이었다. 이들은 완전하거나 거의 완전한 자연치열을 가지고 있고 측두하악장애의 증상과 징후가 없는 건강한 사람들이었다. 기존의 편평한 교합면이 있는 상악 교합안정장치(FSA) 및 교합면에 부가적으로 해부학적인 구조가 있는 변형된 교합안정장치(ASA)의 2종의 교합장치를 각 대상자마다 제작하였다. 자연치열, ASA 및 FSA의 3가지 저작 조건에서 연구대상자들이 시험식품으로 선택된 땅콩을 저작하도록 하였다. 1분간의 저작기간 동안 저작주기 회수를 세었다. 저작된 땅콩 식괴를 회수하고 조직감 분석을 통해 경도를 측정하였다. 경도와 저작주기 회수에 대하여 통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FSA의 저작효율은 자연치열의 38.6%에 해당하였다. ASA의 저작효율은 자연치열의 78.2%에 해당하였다. 2. 자연치열의 저작조건에서의 저작주기 회수는 초당 1.5회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ASA와 FSA의 조건에서 약 90%로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SA가 측두하악장애에서의 치료효과뿐만 아니라 향상된 저작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보여주었다. TMD 환자의 치료에 ASA의 임상적 사용을 긍정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정식 교정 환자에서 전동치솔 효과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electric and manual toothbrushes on oral hygiene status in fixed orthodontic patients)

  • 박창헌;황현식;이기헌;홍석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3-370
    • /
    • 2004
  • 고정식 교정장치를 부착한 경우 장치주위의 치태 축적 가능성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치은염, 법랑질 탈회 등의 부작용이 초래 될 수 있는 바 치태 제거를 위한 효과적인 칫솔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정환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치솔에 비하여 전동치솔이 구강위생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고정식 장치에 의한 교정치료 예정인 환자 34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고정식 교정장치 부착 전에 치태지수, 치은염지수, 치은출혈지수를 측정하였다. 장치 부착 4주 후에 각 지수를 측정한 다음, 연구대상을 치솔의 종류에 따라 전동치솔군과 수동치솔군으로 임의 구분하여 수동치솔 또는 전동치솔을 사용하도록 구강위생교육을 각각 시행하였다. 이때 전동치솔의 경우 본체는 Braun Oral-B D9511을 브러쉬 헤드는 Braun Oral-B Ortho OD 15-1을 사용하게 하였으며, 수동치솔의 경우는 Butler G.U.M 124를 사용하게 하였을. 구강위생교육 4주 및 8주 후에 각 지수를 측정한 다음 시간 경과에 따른 전동치솔군과 수동치솔군의 구강위생 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고정식 교정장치 부착 4주 후 치태지수, 치은염지수, 치은출혈지수 모두 증가 양상을 나타내었다. 2. 구강위생교육 후 치태지수, 치은염지수, 치은출혈지수 모두 감소 양상을 나타내었다. 3. 치은염지수, 치은출혈지수의 경우 감소양상이 수동치솔과 전동치솔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치태지수의 경우 수동치솔에 비해 전동치솔군에서 감소효과가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고정식 교정장치로 치료받는 환자에서 전동치솔이 구강위생에 도움이 됨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