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atives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21초

토복령 추출물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bacteria of Smilacis glabrae Rhizoma extracts)

  • 박장순;권혜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425-430
    • /
    • 2017
  • 본 연구는 토복령 추출물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방부효과를 측정하여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합성방부제의 대체 가능한 천연 항균 추출물의 개발을 위해 연구하였다. 토복령은 국내산으로 건조한 후 증류수와 95% EeOH 두 가지 용매를 각각 사용하여 실온에서 추출하였다. 그 결과 2종 P ropionibacterium acnes 3314, Propionibacterium acnes 3320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으며, 특히 증류수 추출물의 clear zone이 16.61 mm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피부오염 군집을 채취한 결과에서는 24.48 mm의 clear zone을 보여 토복령 추출물은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뿐 아니라 그 외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상의 결과로 토복령 추출물은 항균효능 및 방부 효능을 갖는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천연 방부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식품소비량과 최대허용량을 이용한 보존료의 추정섭취량 평가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 for Preservatives by Maximum Permitted Level and National Food Disappearance Data)

  • 윤혜정;박현경;이창희;박성관;박재석;김소희;이종옥;이철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9-185
    • /
    • 2000
  • 소르빈산등 14종류의 보존료가 사용된 식품소비량과 식품첨가물의 최대허용량을 이용하여 보존료 섭취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고, 보존료 중 더욱 정밀한 섭취량 조사가 필요한 품목을 선별하였다. 가장 섭취량이 많은 보존료는 안식향산 및 안식향산나트륨으로 총 섭취량은 안식향산으로서 85.65mg이며 1일 섭취허용량에 대한 1일 추정섭취량의 비율은 31%이며 특히 청량음료로부터 안식향산의 섭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소르빈산 및 소르빈산칼륨으로 총 추정 섭취량은 76.61mg이며 1일 추정섭취량은 1일 섭취허용량의 5%이다. 나머지 보존료의 1일 추정섭취량은 1일 섭취허용량에 대한 비율이 2%이하로 현재 사용되고있는 보존료의 섭취수준은 안전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of Lonicera japonica and Magnolia obovata Extracts and Potential as a Plant-Derived Natural Preservative

  • Lee, Ye Seul;Lee, Yun Ju;Park, Soo Na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1호
    • /
    • pp.1814-1822
    • /
    • 2018
  • Most people use cosmetics to protect their skin. Preservatives are often used to prevent their contamination upon use. There has been a great demand for natural preservatives due to recent reports on the side effects of parabens. Therefore, we evalu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onicera japonica and Magnolia obovata extracts and determined their potential as natural preservatives. We found that the 50% ethanol extract from L. japonica had antibacterial activity only against S. aureus and P. aeruginosa, while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ll six microbial strains tested. On the other hand, the 70% ethanol extract and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M. obovata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ll six strains. A synergistic effect against S. aureus, B. subtilis, and C. albicans was confirmed when two ethyl acetate fractions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ll six strains were used in combination. Synergistic activity against B. subtilis was also confirmed through kill-time analysis.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each extract. Based on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nd the results of a disc diffusion assay, we confirmed that caffeic acid and luteolin influenc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 japonica and tha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 obovata was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of magnolol and honokiol with other compon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mbination of L. japonica and M. obovata extracts may be used as a plant-derived natural preservative.

초음파침지처리에 의한 목재방부제의 주입성 (Penetrating Performance of Wood-preservatives by Ultrasonic Steeping)

  • 이명재;이동흡;이현미;손동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통권131호
    • /
    • pp.64-71
    • /
    • 2005
  • 본 실험에서는 초음파의 특성을 이용하여 목재를 방부처리하고 그 주입효과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유용성 방부제인 NCU (나프텐산 구리)와 수용성 방부제 AAC (알킬암모늄 화합물)에 소나무 및 잣나무 시편을 침지한 후 40 kHz, 400 W 출력의 초음파를 발진시켰다. 초음파처리 이후 시편의 흡수율 및 침윤도는 시간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20시간 경과 후 AAC처리 잣나무, 소나무 모두에 대해 약 95%의 흡수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소나무 및 잣나무 각 시편 두께의 95, 83%에 해당하는 NCU의 침윤도를 얻을 수 있었다. 초음파 처리후의 시편을 SEM을 이용해 관찰하였으며, 초음파 발생에 의해 생성된 고온, 고압의 충격파가 목재 내 약액의 주입통로가 되는 벽공구를 파괴하고 초음파의 탈포작용과 목재내 추출물의 배출 등에 기인하여 약액의 주입성능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초음파 처리에 의한 방부제의 주입은 가압방부처리의 적용이 어려운 소재, 단판 등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Isothiazolinone Components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Isothiazolinone Component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김종규;이덕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2-105
    • /
    • 1992
  • 냉각탑, 제지산업, 일반 산업용수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방부제의 유효 성분 isothiazolinone components 즉, 2-methyl-4-isothiazolin-3-one(unchlorinated compound)과 5-chloro-2-methy14-isothiazolin-3-one(chlorinated compound)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서 분리, 정량하였다. 역상의 C$_{18}$ column (15 cmX3.9 mm I.D.)을 사용하였으며 자외선 검출기의 파장 254 nm에서 methanol-0.4% acetic acid(40 : 60)의 이동상, methanol-0.4% acetic acid(30: 70)의 추출 및 주입용매 조건으로 HPLC 분리를 시도한 결과 unchlorinated compound는 10~32,400 mg/l 범위에서, 그리고 chlorinated compound는 120~107,400 mg.l의 범위에서 직선성을 보였다. 내부 표준물질로서 dimethyl phthalate를 사용하였으며, unchlorinated compound, chlorinated compound 및 내부 표준물질의 순서로 븐리가 일어났고 총 분리시간은 6.41분이었다. 상기의 조건으로 시험물질을 분석, 정량한 결과 예측농도치에 근접한 수치를 얻었다.

  • PDF

김치의 선도유지를 위한 천연보존제의 탐색 (Screening of Natural Preservatives to Inhibit Kimchi Fermentation)

  • 문광덕;변정아;김석중;한대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7-263
    • /
    • 1995
  • As a primary step to develop natural preservative for extending the shelf-life of kimchi, the effect of 102 edible plants, 21 antimicrobial agents and related compounds on kimchi fermentation was studied. Among 42 oriental medicinal plants tested, Baical skullcap and Assam indigo were found to be highly effective for maintaining the fresh state of kimchi. Although Bugbane, Red mangolia, Bushy sophora, Szechuan pepper, Chinese quince and Scisandre significantly inhibit the growth of Lactobacilli, their effect was not high enough to be used as raw materials for kimchi preservative. When the effect of 32 herbs and spices was tested, peppermint, cinnamon, lemon balm, clove, hop, rosemary, sage, horseradish and thyme showed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kimchi microorganisms. Among them, the effect of clove ranked top. When it was added to fresh kimchi, initial cfu value ($2.4{\times}10^{6}cfu/g$) changed little even after 2 day's fermentation ($2.6{\times}10^{6}cfu/g$). Sensory test was not a good criteria to evaluate the effect of herbs and spices, since their highly specific flavors affected the taste of kimchies. Twenty eight fruits, vegetables and related plants were tested, but only leaves of pine tree, persimmon and oak leaves showed a significant bactericidal effect, finally contributing to the storage of kimchi. In addition, when 21 natural preservatives and other compounds were added individually to fresh kimchi, nisin and caffeic acid could inhibit fermentation.

  • PDF

치즈의 보존료 및 일반성분 함량 조사 (The survey on contents of preservative and general composition in cheese)

  • 한혜진;김연주;이경혜;윤민;김영섭;이주형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91-196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ontents of preservatives and general composition on four different types of cheese to provide useful data and information to the consumer. We analyzed preservatives (sorbic acid, benzoic acid, dehydroacetic acid, methyl p-hydroxy benzoate, ethyl p-hydroxy benzoate, propionic acid) and general composition (moisture, protein, fat) from total 102 cheeses which are 46 sliced cheeses, 22 string cheeses, 20 cream cheeses and 14 pizza cheeses. Preservatives were detected from total 14 samples, which are suitable for the authorized limits in Korea. Sorbic acid was detected from 13 samples (197.3~1,736.1 mg/kg) and propionic acid was detected from 1 sample (362.7 mg/kg). Considering from each type of cheese, cream cheese showed the high detection rate (60%); 12 samples of cream cheese contained sorbic acid. The moisture, protein and fat contents of cheeses were in the ranges of 44.3~56.8%, 7.2~24.6% and 19.6~26.8%. Cream cheese had the highest level of moisture (56.8%) and fat (26.8%), but protein level is very low (7.2%).

천연방부제로서 항균오일의 항균력 비교 (Comparision of Anti-microbial Oils as Natural Preservatives)

  • 김미진;정택규;홍인기;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9-103
    • /
    • 2006
  • 티트리오일 2종과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천연오일을 합성방부제인 methylparaben과 항균력을 비교하였다. 대상 균주로 그람양성균인 S. aureus (KCTC 1916)와 그람음성균인 E. coli (KCTC 2571)와 P. aeruginosa (KCTC 2513)를 사용하였으며, 진균류인 C. albicans (KCTC 7965)와 A. niger (KCTC 6911), 그리고 여드름균인 P. acnes (KCTC 3314)를 사용하였다. 그람양성균의 항균력실험에서 천연오일은 합성방부제보다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그람음성균에서는 유사한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진균과 여드름균에 대해서는 합성물질에 비해 천연오일에서 월등한 활성을 볼 수 있었다. 실험군에서 항균력은 티트리오일 > methylparaben > 편백정유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DPPH 법에 의한 항산화실험과 lipoxygenase를 이용한 항염증실험을 통해 천연오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실험결과, 천연오일은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인 방부제나 항산화제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감마선 조사와 조사 후 보존제 처리가 절화 장미 및 국화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and Post-Irradaition Treatment of Preservatives on the Cut Flower Longevity of Rose and Mum.)

  • 박인환;정연승;이월순;권중호;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86-291
    • /
    • 1999
  •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 시기, 강도 및 조사 후 보존제 처리가 절화장미와 국화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시행하였던 바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절화장미의 경우 감마선 조사 강도가 0.5 KGy 까지는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할 수 있었으나, 이 보다 강한 조사구에서는 절화장미의 품질이 매우 악화되었으며, 조사 후 설탕용액에 침지한 것은 0.75 KGy 처리구까지 절화의 품질 유지효과가 인정되었다. 조사 후 절화보존제 침지 처리의 효과 실험에서는 2% sucrose, 0.2% silver nitrate, 1.0% Crysal 처리구에서 각각 선도 유지 효과가 어느 정도 인정되었으나, silver nitrate 처리구에서는 절화기부의 갈변부패가 매우 심한 것에서 절화수명의 연장에는 별 효과가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절화국화의 경우에는 감마선 조사 강도가 강해질수록 관산가치가 급격히 저하되었으며, 2.0KGy의 강도로 조사한 감마선 처리구에서는 증류수 및 HQS에 침지한 절화를 제외하고 다른 절화 보존제 처리구에서는 절화 수명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절화 보존제의 처리효과 중에 설탕용액의 침지 효과가 제일 우수하였는데, 감마선 무조사구에서 절화가 완전히 시들 때까지도 어느 정도 꽃을 관상 할 수 있을 정도로 절화수명은 유지되었다.

  • PDF

향기성분이 있는 식품의 보존료 분석 (Analysis of Preservatives in Flavor-Containing Foods)

  • 김진호;김현위;차익수;이윤경;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33-1037
    • /
    • 1996
  • 향기성분이 있는 카레, 토마토케첩에 대해 시료에서 유래되는 향기성분의 방해를 받지 않고 보존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시료를 수증기 증류한 다음 에테르로 추출하고 capillary column을 이용하여 GC로 분석하였다. 카레에서는 안식향산과 데히드로초산이 향기성분의 방해를 받았으며 토마토케첩에서는 보존료검출에 영향을 주는 향기성분이 없었다. 보존료를 분석할 때 향기성분을 크로마토그램에서 제거하기 위해 시료를 Sep-Pak $C_{18}$로 처리후 HPLC로 분석한 경우 향기성분의 방해를 받지 않는 크로마토그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 때 회수율은 GC로 분석한 경우보다 높았다. 카레의 경우 소르빈산, 안식향산, 살리실산이 각각 79.9%, 71.2%, 64.4%이고, 토마토케첩의 경우 각각 83.4%, 87.8%, 77.7%였다. 따라서 시료에서 유래하는 향기성분의 방해를 받지 않고 회수율이 높으며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HPLC를 이용한 보존료 분석이 향기성분이 있는 카레와 토마토케첩의 보존료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