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atives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28초

피부 미생물총의 생장과 구성에 대한 화장품과 그 방부제의 영향 (Effects of Cosmetics and Their Preservatives on the Growth and Composition of Human Skin Microbiota)

  • 정진주;김동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7-134
    • /
    • 2015
  • 화장품 및 화장품 함유 방부제에 대한 병원미생물과 사람의 피부서식세균들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파라벤, 1,2-헥산디올, 페녹시 에탄올과 같은 방부제를 함유한 토너, 에멀젼, 크림, 유아용크림은 포도상구균, 대장균, 녹농균에 대해 강한 방부효과를 보였으며, 파라벤, 1,2-헥산디올, 페녹시 에탄올과 같은 방부제들은 포도상구균, 대장균, 녹농균과 같은 병원균 및 Staphilococcus epidermidis, Shigella flexneri, Enterobacter aerogenes 등과 같은 일부 피부서식세균에 대한 강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사람의 피부에 페녹시 에탄올 함유 크림을 도포하였을 때, 피부서식 미생물들의 구성이 바뀌었다. 문 수준에서는 Proteobacteria가 증가하였고, 종 수준에서는 4P004125_s가 증가하였고, Propionibacterium humerusii 감소하였다. 이 결과들로부터 파라벤, 1,2-헥산디올, 페녹시 에탄올과 같은 방부제는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페녹시 에탄올을 함유한 화장품은 피부세균군집에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식용가능한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균 특성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Edible Medicinal Herbs Extracts)

  • 이영철;오세욱;홍희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00-709
    • /
    • 2002
  • 식품에 사용가능한 천연식품보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총 62종이 특용작물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공시된 62종의 특용작물에 대한 물추출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Escher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s 및 Candidia albicans의 3종의 미생물을 대상균주로 하여 paper disk method에 의해 항균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7종의 특용작물을 1차로 선발하였고 이후 정밀실험을 통하여 복분자 (Rubus coreanus miquel), 가자육(Therminalia chebula Retz), 오배자(Rhus javanica) 3종의 특용작물을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된 3종의 특용작물에 대한 항균 spectrum 측정 결과 가자육과 오배자 추출물이 비교적 넓은 항균 spectrum을 가지고 있었다. 최소성장억제농도인 MIC(minimal inhibition concentration)를 측정한 결과 가자육과 오배자 추출물이 낮은 수치의 MIC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액체배양시 균주의 성장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Listeria monocytogens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천연 식품보존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 유통 알부틴 함유 미백 기능성화장품 중 히드로퀴논 및 살균보존제 안전성 조사 (Investigation on the Safety of Hydroquinone and Preservatives among Whitening Functional Cosmetics Containing Albutin in Korea)

  • 조중희;김지형;엄선아;강민정;한영선;허명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99-408
    • /
    • 2019
  • 미백 성분으로 사용되는 알부틴은 피부질환 및 발암물질로 알려진 히드로퀴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살균보존제는 화장품을 장기간 보관 및 사용 중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이기는 하지만 독성 및 피부 자극 등 안전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온·오프라인으로 판매되는 알부틴 함유 미백 기능성화장품 40건을 대상으로 히드로퀴논과 살균보존제 21종에 대하여 함량 및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히드로퀴논은 9건이 검출 되었으며, 이 중 7건에서 0.3 ~ 0.9 ppm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설정한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2건에서는 8.4 ppm, 50.5 ppm으로 검출이 되어 기준을 초과하였다. 살균보존제는 40건 중 20건에서 검출되었으며, 검출 항목 및 범위는 페녹시에탄올 0.1 ~ 0.7% (15건), 메틸파라벤 0.19 ~ 0.21% (2건), 클로르페네신 0.13% (1건), 클로르헥시딘 0.006%(1건), 프로필파라벤 0.06% (1건) 로 모두 기준 이내로 검출되었다. 또한 화장품 중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 화장품법에 의하여 1차 또는 2차 포장에 기능성 화장품이라는 단어를 표기해야 하지만 40건 중 1건에서 표기가 되어 있지 않았다. 실험 결과 살균보존제는 안전하게 관리 되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히드로퀴논이 검출된 제품은 알부틴이 분해되어 생성되었다고 사료 되어 알부틴의 분해에 대한 추가적 연구 및 품질관리의 개선이 요구된다.

LC-MS/MS를 이용한 소시지 중 보존료 동시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reservatives in sausage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 고바라다;김지연;장미선;서두리;정보람;신지현;임진택;김용환;김은선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7-136
    • /
    • 2015
  • A simultaneous determination method was developed for nine preservatives (benzoic acid, sorbic acid, dehydroacetic acid, methyl-, ethyl-, isopropyl-, propyl-, isobutyl- and butyl-parabens) in sausage by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LC/ESI-MS/MS). Each parameter was established by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in negative mode. Separation was achieved on a phenyl-hexyl ($2.5{\mu}m$, $2.1{\times}150mm$, Waters) with A-20 mM ammonium acetate containing 0.1% acetic acid in water, B-Acetonitrile as mobile phase with gradient mode at a flow rate of 0.3 mL/min. The developed method was validated for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in sausages samples. Linearity was over 0.998 with calibration curve of the mixed standards. The mean recoveries from sausages fortified at the level of 2.0~10.0 mg/L were in range of 98.60~109.16% with RSDs lower than 8.93%. The limits of detection (LOD) and the limits of quantification (LOQ) were in the range between 0.0003~0.085 mg/L and 0.01~0.257 mg/L, respectively. Intra-day precision and inter-day precision were 0.45~6.16% and 2.81~13.33%, respectively. Using presently developed determination method, 33 field sausage samples from Gwangju city in Korea were screened over nine preservatives. As a result, no preservatives were detected in all samples.

Chitosan과 다른 보존제 첨가에 따른 김치의 저장성 향상 (The Effect of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with and without Other Preservatives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손유미;김광옥;전동원;경규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88-896
    • /
    • 1996
  • 보존제의 종류와 chitosan의 첨가방법이 김치의 보존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chitnsan, acetic acid, Na-benzoate를 단독 또는 병용하거나, chitosan을 acetic acid에 용해시켜 배추김치 첨가하여 10^{\circ}C$에서 12일간 발효시키면서 김치의 특성변화를 알아보았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보존제 첨가군들은 대조군보다 pH는 높고 적정산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환원당 함량의 감소가 대조군보다 느리게 일어났다. 보존제 첨가군들은 발효가 지속되면서 증가하는 lactic acid와 acetic acid의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매우 낮았으며 보존제 병용군 중 특히 chitosan을 산에 용해시킨 CH-B와 chitosan과 Na-benzoate를 병용한 CHS에서 낮게 나타났다. 총균수, Leuconostoc속 미생물 수, L. plantarum의 수는 CH-B, CHS, CH-C, AA, SB, CH-A순으로 적었다. 따라서 보존제가 병용되고, 병용된 보존제가 산일 경우에는 chitosan이 산에 용해되어 더 큰 항균력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보존제 첨가군들은 발효후기까지 바람직한 김치의 관능적 특성을 유지했는데 보존제가 병용된 군들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CHS가 CH-B와 CH-C보다 낮은 신맛과 군덕내를 나타냈다. 앞으로 김치 본래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유지 할 수 있도록 발효에 관여하는 젖산균의 생육을 적절히 조절하는 보존제의 종류, 혼합사용 및 첨가수준 효과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비이온 계면 활성제가 화장품의 방부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onionic surfactant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reservatives in cosmetic products)

  • 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2-63
    • /
    • 1992
  • 방부제와 계면활성제를 혼합 사용하였을 경우 미생물에 대한 방부력 변화를 검토하고자 Imidazolidinyl urea, Methylparaben, Imidazolidinyl urea와 Methylparaben 혼합체 3종의 농도에 따른 각 농도별 계면활성제 Tween 20, Tween60, Tween 80의 첨가가 S. aureus ATCC E. coli ATCC 10536, P. aeruginosa NCTC 10490에 대한 방부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으며, 아울러 제품내에서 Tween 60 계면활성제 농도에 변화를 주었을 때의 방부력 변화를 조사하였다. 1. S. aureus ATCC 6538 Methylparaben과 Imidazolidinyl urea 혼합체에 대해 내성을 전혀 갖지 않았다. 2. E. coli ATCC 10536은 Mithylparaben에 대하여 내성을 전혀 갖지 않았다. 3. Mithlparaben과 Imidazolidinyl urea 혼합체는 Gram 음성균, Gram 양성균에 넓은 향균 spectrum을 나타났다. 즉, 방부제는 단일 사용시보다 혼합 사용시 상승효과를 가졌다. 4. Imidazolidinyl urea는 Polyoxyethylene(20) Sorbitan fatty acid ester류에 의해 전혀 방부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에 시험균주 3종에 대해 내성이 잘 되었다. 5. Muthylparaben은 Polyoxyethylene(20) Sorbitan fatty acid ester류에 의해 불활성화가 큰 폭으로 나타났다. 6. 방부제 Methyparaben 0.2%를 함유하는 제품에 비이온 계면활성제 Tween 60의 량을 0.5, 1.0, 2.0%로 달리 첨가하였을시 D-value는 제품내 비이온 계면활성제 Tween 60의 량이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커졌다. 즉, 비이온 계면활성제 Polyoxyethylene(20) Sorbitan monostearate에 의해 Methylparaben이 제품내에서도 불활성화 되었다.

  • PDF

ACQ 약제의 목재 내 침투 및 부후 특성에 미치는 목재 조직의 영향 (Penetration of ACQ Treatment and its Effect of Degradation on Wood Tissues (Structure))

  • 이현미;이동흡;황원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6호
    • /
    • pp.576-582
    • /
    • 2013
  • 구리계 보존제 처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Douglas fir 변재와 ACQ-2 보존제를 사용하여 목재 내 침투 및 부후 특성을 조사하였다. 약제의 주입이 어려운 Douglas fir 수종에 대하여 약제의 주입이 잘된 곳과 안된 곳의 시료를 채취하여 약제 이동을 방해하는 인자를 구명하고자 방사조직 높이, 방사조직 밀도, 가도관의 길이를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그리고 전자현미경으로 측정 및 관찰하였다. 그 결과 방사조직의 높이와 밀도 그리고 가도관길이는 약제의 주입이 용이했던 부분과 주입이 안된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목재 구성 세포들의 벽공에서는 차이가 나타났음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약제의 주입이 안된 곳에서는 폐색된 벽공이 많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여러 농도의 ACQ로 처리한 목재 시편을 갈색부후균으로 부후시킨 후 광학 현미경으로 부후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 시편의 가도관, 방사조직, 수지구 등의 조직이 부후되어 파괴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약제 처리 농도가 낮으면 부후가 진행되므로 일정 농도 이상으로 처리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동위원소희석 질량분석법을 이용한 간장 중의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의 분석 (An analysis of benzoic acid, methyl paraben and butyl paraben in soy sauce using isotope dilution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 안성희
    • 분석과학
    • /
    • 제31권6호
    • /
    • pp.225-231
    • /
    • 2018
  •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은 식품, 의약품뿐 만 아니라 화장품 분야에서도 사용되는 보존료이다. 그러나 이들 보존료들의 여러 가지 독성이 보고되면서, 한국을 비롯하여 여러 나라들에서 식품 중의 이들 보존료의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장 중의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의 정확하고 정밀한 분석을 위하여 세가지 분석물질의 동위원소를 내부표준물질로 이용하는 동위원소 희석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 (Isotope Dilution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ID-LC/MS)을 개발하였다. 메틸, 부틸 파라벤보다 pKa가 낮은 안식향산을 고려하여 acetic acid로 pH 4.0으로 조정한 5 mM ammonium acetate를 이동상 용매로 사용하여 C18 컬럼으로 분리하였다. 질량분석 조건으로는 전기분무이온화법으로 음이온을 생성하여 음이온 모드에서 분석하였으며, 방해물질로부터 선택성을 향상하기 위해 선택반응분석법 (Selected Reaction Monitor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장의 색깔과 간장 중의 여러 가지 방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C18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최적화된 조건과 방법을 이용하여 싱가포르 Health Science Authority(HSA)가 제공하는 간장 기준시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원에서 측정한 결과값은 HSA가 제공하는 기준값과 불확도 내에서 일치하였다.

HPLC-PDA를 이용한 가공식품 중 보존료 9종 동시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9 preservatives in processed food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photo diode array detector)

  • 이도연;김민희;안장혁
    • 분석과학
    • /
    • 제33권6호
    • /
    • pp.233-23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식품첨가물 중 보존료로 사용되는 데히드로초산(DHA), 소브산(SA), 안식향산(BA),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MP) 및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EP)과 사용이 금지된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P),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BP) 및 그 이성체(IPP, IBP) 9종에 대한 동시분석법 시료 전처리 과정에서 단백질과 지질을 효과적이고 간편하게 제거하기 위해 카레즈 시액을 침전제로 사용하는 분석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시료 중에 함유된 단백질과 지질 등 간섭저해물질들을 간편하게 제거한 시험용액 중의 보존료 9종에 대하여 HPLC 분리분석시에 효과적인 선택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확립된 보존료 9종 동시분석법의 직선성은 0.999 이상의 우수한 직선성을 나타내었으며, 검출한계는 0.09~0.12 mg/L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정량한계는 0.28~0.37 mg/L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절임식품류, 치즈류, 식육가공품류, 음료류, 소스류 및 유화식품에 회수율 시험을 한 결과, DHA는 90.9~107.7 %, SA는 85.4~113.7 %, BA는 90.7~111.6 %, MP는 84.5~111.2%, EP는 81.3~110.9 %, IPP는 82.5~102.2 %, PP는 81.1~110.0 %, IBP는 80.9~109.0 % 그리고 BP는 82.4~110.3 %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동시분석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가공식품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유통 어린이 및 무기 자외선차단제에서 자외선 차단성분, 보존제 및 중금속 실태 조사 (A Study on UV Filters, Preservatives and Heavy Metals Contained in the Children's and Inorganic Sunscreens Distributed in Korea)

  • 김애란;이유진;조윤식;김현주;조상훈;김양희;노정원;박용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89-29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민감성 피부 대상 자외선 차단제의 안전성 조사를 위해 무기 자외선 차단제 27 건 및 어린이용 자외선 차단제 23 건을 수거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 17 종, 보존제 13 종 및 중금속 5 종의 사용 및 혼입 실태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차단 성분은 티타늄디옥사이드(41 건), 징크옥사이드(29 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10 건)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8 건) 및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8 건)순으로 검출되었으며,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6 건), 안식향산(1 건), 디히드로초산(1 건) 순으로 검출되었다. 확인된 자외선 차단성분은 모두 표시 사항에 적합 하였으나, 1 개 제품에서 표시사항 외 보존제 성분인 페녹시에탄올이 0.1% 농도로 검출되었다. 중금속 납, 카드뮴, 비소, 안티몬, 니켈은 불검출에서 3.6 ㎍/g로 다양한 농도로 검출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자외선 차단성분, 보존제 및 중금속은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의 성분별 최대 배합한도 및 최대 허용량 기준에 적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