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ferred clothing

검색결과 669건 처리시간 0.027초

말레이시아 무슬림 여성의 패션제품 구매와 패션의식 (The Fashion Product Purchase and Fashion Consciousness of Malaysian Muslim Women)

  • 장선우;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2호
    • /
    • pp.63-79
    • /
    • 2021
  • In order to expand the overseas market of the Korean fashion industr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fashion-related purchases and fashion consciousness of Muslim women, who are increasingly attracting attention as global fashion consumers. Therefore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shion design preferences and fashion consciousness of Malaysian Muslim women. A total of 245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urvey included question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shion product purchases, design preferences and environmental awarenes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ere young Malaysian Muslim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y preferred a modern, Sophisticated, and sporty image, and their preference for unpatterned fabrics was high. When choosing fashion products, these women seek to both pursue fashion trends and comply with Islamic laws. When the women buy clothes, they consider practicality and design elements. The women also collected fashion trend information through SNS and the Internet, and ues this information to purchase fashion products through the Internet and shopping malls. This study was based on a practical survey of local consumer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as data for fashion-related studies and to expand overseas markets to reach Muslim women in Southeast Asia.

액티브 시니어 남성을 위한 아웃도어 팬츠 개발 (A development of outdoor pants for active senior males)

  • 김지은;김은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7-73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outdoor pants for active senior males, which is emerging as a new consumer bracket in the rapidly aging society. To this end, this study modified and complemented the patterns of existing outdoor pants for active senior males, that received the most positive evaluation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and outdoor wear assessment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matters to consider in the manufacturing of outdoor pants for active senior males. As a result of the existing outdoor wear's wearing assessment, the pants of brand C were revealed to be the best. This study actually designed research outdoor wear by modifying the problematic parts by adding and subtracting spare length or circumference, on parts where fit satisfaction was low, and by referring to the selected brands' patterns. The research outdoor pants were designed by referring to the preferred outdoor types and colors that were revealed in the survey results. The wearing assessment was conducted by comparing the manufactured research outdoor pants and the existing outdoor pants, which were selected as the best outdoor pants. Consequently, this study verified the fit of the research outdoor pants was superior to most items. This study proposed the final patterns of outdoor pants suitable for active senior males through the modification of several items that required some improvements revealed via the wearing assessment of the research outdoor.

웨딩소비자의 연령에 따른 결혼인식 및 결혼준비행동 차이에 관한 연구 (Perception of marriage and marriage preparation - Consumers' age-related behavior differences -)

  • 조성미;유지헌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5호
    • /
    • pp.461-478
    • /
    • 2019
  • As the concept of "marriage age" gradually disappears, the consumption class of the wedding market includes not only X and Y generations but also Z generations, and each generation has its own characteristics as it is already known,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onsumption. So this research analyzed age-related behavior differences in both awareness of and preparation for marriage. Three hundred sixteen unmarried Korean males and females comprised the study population and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5, 2019, to April 3, 2019. The SPSS Statistics 23.0 Package was used for analysis, specifically the functions of frequency, cross tabulation, factor analysis, chi-squared test, Cronbach's alpha, Duncans's new multiple range test (MRT),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Marriage motivation was analyzed by three factor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o types. Marital involvement was analyzed by two factors, and both factors showed significant age-related differences. Concerns relating to marriage preparation were analyzed by four factors, and two varied according to respondent age. Regarding marriage preparation behavior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rriage preparation method appreciably differed between age groups. Our analysis also found significant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main media usually used to acquire information" and "the paths preferred for acquiring information in preparing for marriage". We expect that study results will be useful for identifying new research directions, understanding the dimensions of the wedding industry, and developing related marketing strategies.

일간신문 광고 속에 등장하는 광고지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중앙일보($1966{\sim}2000$)를 대상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vertizing Maps in the Daily Newspaper - JoongAng Ilbo from l966 to 2000 -)

  • 손일;황은옥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7-231
    • /
    • 2003
  • 본 연구는 주요 일간지 중의 하나인 중앙일보에 1966년부터 2000년까지 게재된 광고지도의 특성을 지도학적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광고지도의 이용빈도는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였으며, 계절로는 봄과 가을에, 월별로는 10월에, 요일별로는 토요일라 수요일에 많이 나타난다. 이는 주로 부동산 광고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광고지도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업종으로는 부동산 광고(62%), 의복 광고(7%), 대기업 홍보광고(3%) 순인데, 전자의 두 업종에서는 주로 위치지도를 이용하고 있으며 대기업 광고에는 주로 배경지도가 이용되고 있다. 지도에 나타나는 기호는 지도제작자나 광고주의 관습, 관심, 선호 때문에 일반 지도와 다르게 나타나고, 일반 지도학에서 요구하는 기본적인 기호는 거의 볼 수 없었다. 이는 소비자에게 시각적으로 호소하는 것이 광고의 목적이므로 지도제작자의 독창성이나 소비자의 흥미가 더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광고지도는 나름의 가치를 지닌것이므로 지도학에서 특수한 분야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 PDF

한국 근대 서양화에 표현된 한복의 배색에 관한 연구 (Coloration of Han-bok on Modern Korean Oil-Paintings)

  • 김미진;조우현
    • 복식
    • /
    • 제56권1호
    • /
    • pp.1-1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color and the coloration of Han-bok on the oil-painting of modern Korea. Generally, the modern Korean art is from late 19th to early 1980s' for the lowest year. Through the introduction of oil painting and the painter's work which had been reflected painter's realism at these times, we might know that the phases of the times and we could see a Korean costume and color combination. In this study, Han-bok is divided to upper clothes, lower clothes and the other parts which was distinguished by the color. The color of Han-bok which is watched on the modern art oil-painting is mainly white. The primary color including red, yellow, blue and middle tone colors is in harmony. It means that the five colors of Yin-Yang Wu-hsing were preferred until the modern times. The coloration of Han-bok is classified to a one-colored arrangement, two-colored arrangement and three-colored arrangement. The one-colored arrangement by white and black is a peculiar coloration to the modern times. The two-colored arrangement is a traditional coloration of Han-bok. The color which is high value and chroma is arranged on jacket, Jeogori. A dimension rate that is related with the difference of value and chroma made a visual harmony. In many cases of the two-colored arrangement of neutral colors is not much different in Jeogori and Chima. So Han-bok which is two-colored arrangement of neutral colors is colored in a breast- tie, pigtail ribbon, cuff and waist band for getting visual focus. The represented three-colored arrangement is white Jeogori and navy blue Chima with red breast-tie. It is a perfect visual color combination. The color of Han-bok was inherited a traditional color and the combination of neutral color was balanced. It was a refinable coloration system according to a difference of value and chroma. It means that a color sensation and arrangement of Korean have been developed by our unique climate, nations and the culture which has been formed for a long times.

헤어 패션 감각(感覺)에 관(關)한 연구(硏究) - 수도권(首都圈) 대학(大學) 여학생(女學生)을 대상(對象)으로 - (A Study on the hair fashion feeling - Objecting to capital area university women students -)

  • 안현경;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9권4호
    • /
    • pp.59-78
    • /
    • 2005
  • This study aims to know the deferences of hair fashion feeling group in accordance with hair styling activities, general characteristics, life styles objecting to capital area university women students and aid to hair fashion design. So the results are as belows. 1. Frequency Analysis of Categories A. Hair fashion feeling - Natural, sexy, romantic pretty, sophisticate, ethnic are 90% in total hair fashion feeling variables in sequence of frequency, so it can be said these are in vogue. B. Hair styling activities - The objections visit the hair salon once 1-2months, spend about 42,000 won a month, perform cut & wave perm to sentimental reasens & hair style changes, determine the hair style well coordinated in her image and managed easily. In her home, they manage her hair style 12 minutes a day, spend 17,000 won to buy hair aids, do hair blow dry or pin or pony tail mainly in the morning, scarcely use the hair styling aids but if use, essence or wax mainly. And the degree of interest to hair style is high. C. General Characteristics - The objections's average age is 21.1, residence is seoul kangnam 23.3%, seoul kangbook 18.4%, other capital areas 58.4%, the degree of education is university students 94.9%, graduated student 5.1%, marriage is married 96%, unmarried 2.8%, family who live with is married are mainly man & woman and living with father & mother in low in man's, unmarried are mainly live alone & nuclear family, personal expenses a month is 300,000 won in average, income of home is 4,000,000 won a month. D. Life style - The objections are not in interest of physical exercises but if are, do yoga & health, like drama & comedies program, watch TV or meet friend in leisure time, like balad & dance music, fashion magazine, meet friend in cafe or college. 2. Relationship of hair fashion feeling & other variables Using the $x^2$-test, level p<0.05, Hair styling activities(frequency of hair salon coming in and out, ordinary time representing hair style, preferred hair styling aids, the amount of hair style interest), General Characteristics(age), Life style(leisure time) variables are meaningful.

청소년들의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실태 및 창업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realities of the teenager internet shopping malls and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 이보영;오경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31
    • /
    • 2010
  •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 운영 경험 유무에 따른 진로성숙과 창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하여 창업경험이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청소년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학교 내 창업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학교교육과정 중 창의적 재량활동으로 창업교육에 대한 운영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청소년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실태를 조사한 결과, 청소년 인터넷 쇼핑몰은 주로 운영인력이 적고 초기 창업투자 비용이 적은 소규모 소자본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매출도 소규모였다. 판매품목으로 의류 및 패션잡화를 주로 취급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청소년 쇼핑몰 운영자들이 홍보, 마케팅지식 부족과 유행의 흐름 및 소비자의 요구도 파악에 가장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이와 관련된 정보를 가장 필요로 하였다. 청소년들은 창업에 필요한 정보를 주로 인터넷이나 주변지인을 통해 직 간접적으로 얻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교에서의 전문적인 창업교육 부재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청소년들은 인터넷 쇼핑몰이 성공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자신감과 도전정신과 지식 및 경험을 주로 선택하였다. 따라서 창업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창업의 시작과 성장과정, 자원관리와 팀 관리, 사업계획, 마케팅 등 창업경영 방법을 체계적으로 교육시킨다면 이들에게 창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신감과 능력을 동시에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인터넷 쇼핑몰의 운영 경험에 따른 청소년들의 진로성숙도와 창업교육 필요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쇼핑몰 운영 경험이 없는 청소년보다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이 진로성숙도와 창업교육에 대한 필요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고 창업교육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창업 실무 능력을 증진시키고 창업 마인드를 심어줄 수 있는 체계화 다양화된 실질적 학교 내 창업교육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학교 내 창업교육에 대한 필요도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 청소년들이 창업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하였으며 학교 내 창업교육은 전문적인 경험과 실질적인 지식을 가진 외부강사에게 재량활동시간이나 동아리 활동시간에 견학 및 현장 실습을 통해 창업교육을 받는 것을 선호하였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진로활동, 봉사활동, 동아리 활동이 포함된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배당 시간이 대폭 확대 되었는데, 이를 활용하여 직업교육의 일환인 창업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과 체험이 이루어져 학생진로를 자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결론적으로 창업교육은 청소년 대상으로 학교 내 교육의 일환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실무 위주의 창업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 창업교육 전문 지도 교사 양성, 창업동아리의 활성화 등을 통해 체계화 다양화된 실질적 학교 내 창업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고려시대 동아시아 훈의(熏衣)문화와 향재의 교역 연구 (A Study on Perfuming Clothes and the Incense Trade of East Asia in Goryeo Dynasty)

  • 하수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204-221
    • /
    • 2020
  • 훈의문화는 동아시아에서 공유한 문화이다. 해양 실크로드의 번영과 향재의 교역은 향 문화를 발달하게 해준 직접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향 문화의 발달 시기는 교역의 시작시기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훈의(熏衣)는 향을 태운 연기로 향을 입히는 용법이다. 중국은 한대(漢代)부터 합향을 제조하였으며, 훈롱(熏籠)을 사용한 기록이 있어 훈의향을 합향으로 제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당대(唐代)에 향료의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천금요방』, 『향보』, 『향승』 등에 훈의향의 제조법과 훈의 기술이 나타나고 『계해우형지』와 『제번지』 등의 서적을 통해서도 향료의 교역국과 교역품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훈의향의 제조법과 용법이 기록된 문헌과 훈의에 필요한 도구들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에는 불교의 전래와 함께 향이 소개되었다. 『매신라물해』의 기록을 통하여 일본과의 향 교역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훈의향이라는 교역품이 기록되어 있어 신라시대부터 훈의를 시행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향재의 교역이 융성하였던 고려시대에는 인삼과 함께 사향을 수출하였다. 왕실에서는 송(宋)으로부터 하사받은 향을 사용하였으며, 부인들은 향낭류의 패식향을 선호하였다. 패식향의 선호가 조선시대에도 이어져 조선시대에는 훈의의 기록을 찾기 어렵다. 조선시대에는 패식향의 사용, 향로에 피운 향의 냄새가 간접적으로 의복에 스며드는 방식, 그리고 옷장에 의향을 넣어두는 간접적인 방향을 선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은 『매신라물해』의 기록을 통하여 신라를 통해 향을 교역한 사실을 알 수 있다. 헤이안 시대 궁정 소설 『겐지이야기』를 보면 당시 귀족들의 향 문화와 훈의문화, 향 교역을 추정 할 수 있다. 일본의 훈롱은 필수 혼수품으로 자리 잡았으며, 그에 따라 실용적인 형태로 발달하고 장식성이 가미되었다. 베트남 남부의 점성국이 훈의를 시행한 사실은 『제번지』에 직접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베트남 북부의 교지국이 훈의를 행하였다는 직접적인 기록은 찾기 어렵다. 그러나 중국과 복식 문화가 같다는 기록과 훈의를 행하였던 국가인 중국과 점성국에 인접하였다는 점, 그리고 향료의 원산지라는 점에서 훈의문화를 공유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한·중·일, 그리고 베트남은 훈의를 시행하는 문화를 공유하였다. 이를 통해 훈의향의 목적과 발달 시기, 훈의향의 제작, 훈의법, 훈의 도구, 훈의를 하는 사람의 성별 그리고 사용한 향재에서 공통성을 찾을 수 있다.

여대생의 국적에 따른 캐주얼 셔츠 소재의 주관적 감각과 촉감 선호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Subjective Sensation and Tactile Preferences for Casual Shirt Fabrics Compared by the National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멍위;최종명
    • 감성과학
    • /
    • 제24권1호
    • /
    • pp.105-114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한국인 여대생과 중국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캐주얼 셔츠 소재의 주관적인 감각과 선호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춘추용 캐주얼 셔츠의 소재로 시판되는 소재 중에서 섬유조성이 상이한 7가지 종류의 흰색 셔츠 직물을 선정하였다. 캐주얼 셔츠 소재에 대한 주관적 감각 및 촉감 선호도의 평가자는 한국인 여대생과 중국인 여대생으로 40명이었다. 참가자들은 7종 소재를 관찰하고 나서 주관적인 감각과 촉감 선호도에 대한 평가를 설문지를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캐주얼 셔츠 소재의 주관적 감각을 요인분석한 결과, 평활감, 경량감, 유연감, 신축감의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주관적 감각 요인은 소재의 섬유조성별 국적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여대생은 중국인 여대생 보다 면 100% 소재를 더 가볍다고 평가하였고, 폴리에스터 50%/모달 50% 소재와 P100 소재를 더 신축성이 있다고 평가하였으나, 중국인 여대생은 폴리에스터 50%/면 45%/스판덱스 5% 소재를 더 가볍다고 평가하였다. 캐주얼 셔츠 소재의 섬유조성별 촉감 선호도는 국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여대생은 중국인 여대생에 비해 면 80%/폴리에스터 20% 소재, 폴리에스터 50%/면 45%/스판덱스 5% 소재, 아마 100% 소재를 더 선호하였다. 한편, 캐주얼 셔츠 소재의 주관적 감각 요인이 촉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국적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한국 여대생의 경우, 평활감과 유연감이 캐주얼 셔츠 소재의 촉감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중국인 여대생은 평활감, 유연감, 신축감이 촉감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캐주얼 셔츠 소재에 대한 주관적 감각 및 촉감 선호도는 한국인 여대생과 중국인 여대생간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여대생을 대상으로 캐주얼 셔츠 소재 기획시 이러한 감성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