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the Advertizing Maps in the Daily Newspaper - JoongAng Ilbo from l966 to 2000 -

일간신문 광고 속에 등장하는 광고지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중앙일보($1966{\sim}2000$)를 대상으로 -

  • Son, Ill (Schoo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Hwang, Eun-Ok (Myungshin High School, in Jinju)
  • 손일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부) ;
  • 황은옥 (진주 명신고등학교)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dvertizing maps which were presented in one of the major daily newspapers(JoongAng Ilbo) from 1966 to 2000. The use of advertizing maps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year by year. Advertizing maps have appeared much frequently in spring and fall seasons, in October, and on Saturday and Wednesday. The predominance of such seasons, month, days is related to the real estate advertizement. The important categories which have been presented frequently are real estate for sale(62%), clothing sale(7%) and the image advertizement of big corporations(3%). Locator maps are preferred in the first two categories and background maps are usually used in the corporation advertizement. The symbols in the map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ustom, interest and the preference of map-producers and clients. The basic symbols for the good map, which are required in the general cartography, are scarcely shown in the advertizing maps. That is because the goal of advertizement is to appeal visually to consumers, therefore, the creativity of map-producer and the attraction of maps to draw the reader's interest are much required in the advertizing maps. It is concluded that the advertizing maps have their own values in themselves and we have to treat the journalistic cartography as a special field in cartography.

본 연구는 주요 일간지 중의 하나인 중앙일보에 1966년부터 2000년까지 게재된 광고지도의 특성을 지도학적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광고지도의 이용빈도는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였으며, 계절로는 봄과 가을에, 월별로는 10월에, 요일별로는 토요일라 수요일에 많이 나타난다. 이는 주로 부동산 광고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광고지도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업종으로는 부동산 광고(62%), 의복 광고(7%), 대기업 홍보광고(3%) 순인데, 전자의 두 업종에서는 주로 위치지도를 이용하고 있으며 대기업 광고에는 주로 배경지도가 이용되고 있다. 지도에 나타나는 기호는 지도제작자나 광고주의 관습, 관심, 선호 때문에 일반 지도와 다르게 나타나고, 일반 지도학에서 요구하는 기본적인 기호는 거의 볼 수 없었다. 이는 소비자에게 시각적으로 호소하는 것이 광고의 목적이므로 지도제작자의 독창성이나 소비자의 흥미가 더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광고지도는 나름의 가치를 지닌것이므로 지도학에서 특수한 분야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