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ference for vegetables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8초

성남지역 보육시설 유아의 식생활 행동 및 음식기호도 (The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in Sungnam Day Care Facilities)

  • 이정윤;조동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82-49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in day care facilitie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2 young children who lived in Sungnam city, Gyeonggi-Do.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arents reported that 34% of the children ate 'unbalanced diet'. And 16% of the children ate small portions of food. The parents picked up several reasons for their children's 'unbalanced diet' such as 'dislike of the tastes(29.2%), 'texture in the mouth(28.6%)', 'smell of food(18.2%)' Fifty-six percent of parents took 'to change the cooking methods' as the best way to make their children have good eating habits in their home. The highest score of preference among the children was noodles with bean sauce and kimbab for staple food, stews seaweed soup for soups and stews, bulgogi and fried chicken for side dish. The young children's preference score fur side dish made with meats were higher than made with vegetables. This study made a suggestion to parents of children ages 4 to 6 and to teachers in preschool that they prepare for foods made with vegetables.

Student feedback to improve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resh Fruit and Vegetable Program

  • Lin, Yi-Chun;Fly, Alyce D.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3호
    • /
    • pp.321-327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of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falls below recommendations.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resh Fruit and Vegetable Program (FFVP) is a national free-fruit and vegetable school distribution program designed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permanent, legislated program provides funding to qualified elementary schools for provision of additional fruit and vegetables outside of school mea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hildren's perceptions of FFVP after the intervention and formulate recommendations that may improve success of the intervention. SUBJECTS/METHODS: Secondary data were obtained from 5,265 $4^{th}-6^{th}$ graders at 51 randomly-selected FFVP intervention schools in Indiana. Anonymous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late in the 2011-2012 academic year.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s were used to determine associations between students' perceptions of program effects (4 close-ended items) and their preference toward the program. Content analysis was applied to a single open-ended item for program comments. RESULTS: Over 47% of students reported greater intake of fruit and vegetables due to FFVP, and over 66% reported liking the program. Student-reported program effect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eference for the program (P < 0.01). Themes that emerged during analysis of 3,811 comments, included, students liked: the opportunity to try different kinds of fruit and vegetables, types and flavors of fruits served, and benefits of eating fruit. Fewer students liked the types of vegetables and their benefits. A small group disliked the program citing poor flavor of vegetables and quality of fruits. Important suggestions for the program include serving more dipping sauces for vegetables, cooking vegetables, and providing a greater variety of produce. CONCLUSIONS: The degree that students liked FFVP may predict the program's effects on fruit and vegetable intake. FFVP may become more acceptable to students by incorporating their suggestions. Program planners should consider these options for achieving program goals.

꽁치 어육을 이용한 너겟의 풍미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nsory Properties of the Saury (Cololabis saira) Fishmeat Nuggets)

  • 김태순;김기륜;김현아;이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70-77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overall preference of Saury fishmeat nuggets. In order to remove off-flavor of Saury and to improve the sensory properties of Saury fishmeat nuggets, different concentrations of vegetables (onion, 0-20%), different types of spices (ginger powder, white pepper powder, garlic powder) and different types of vegetables (onion & hot pepper, onion & pimento, mushroom & hot pepper, and mushroom & pimento) were added and the sensory properties were evaluated. Different types of herbs (Anthemis nobillis, Rosemarinus offcinalis L) and oriental herb (Angelica gigas Nakai, 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d) extracts were included as well to preserve the antioxidants in the nuggets after reheating. The main ingredients included saury mince, mild pizza cheese, hydrated textured soy protein, and egg white powder. The samples were molded (dia. 4.5 cm, thickness 1.5 cm, 20 g), lightly battered and fried for 2 min (2 time) at $160^{\circ}C$. The samples were then frozen, reheated ($150^{\circ}C$, 20 min) and subjected to a sensory evaluation. In the sensory evaluation, Saury nuggets made with a vegetable concentration of 15% had the highest flavor,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V5). In addition, Saury nuggets made with 1 g of ginger powder and garlic powder scored the highest in the preference test (S2). Saury nuggets made with onion and pepper had the highest score in the preference test relative to all the other tested vegetables (SV1). Finally, in terms of the herb and oriental herb extracts, the nuggets made with the condensed extracts at a 1/20 ratio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d (AS) scored the highest in the preference test, since AS had the lowest off-flavor taste.

유아 대상 활동북과 동영상 중심의 채소 편식 개선 교육자료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Booklets and Video Clips to Prevent Children from Developing Picky Eating)

  • 이소정;이승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51-463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booklets and video clips to prevent children from picky eating. Method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on food preferences of preschool children aged 2 to 5 years, 14 kinds of less preferred vegetables were selected. Accordingly, educational videos, activity books, and teaching-learning guides were produced for preschool children using the 'food bridge' theory, and the educational materials were named "Friendly vegetables". Educational materials were distributed to childcare institutions, and their effectiveness was investigated for preschool children who were instructed on these materials once every 30 days from March to November, 2019. The children were examined for changes in their knowledge of names, colors, taste/texture, methods of cultivation, and preferences for vegetables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al course. Results: The awareness of vegetabl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younger children and the picky eating group. When the assessment was carried out in terms of vegetable knowledge, it was observed that the younger the age or the pickier the in eating food, the more effective the education is compared to the counter part. The preference for vegetables also increased after the instruction compared to the pre-instruction period, but significant changes were seen only in the 2~3 year age group for boys and girls. Also, only the picky group of girls showed changes in preference. The children's average interest in the education materials was 3.85 points out of 5 point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educational materials for standalone use in childcare facilities and confirmed that the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awareness and preferences related to vegetables. In summary, the younger the age or the pickier the child in eating food, the more effective the education. It is believed that additional education on mealtime guidance is needed which can alter the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and improve their diet. It is proposed to widen the scope of use of the materials by collecting diverse opinions from child care teachers.

일부 지역 초등학교 고학년의 채소 선호 영향 요인 : 사회인지이론을 기반으로 (Factors affecting preference of vegetabl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 차수현;류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3호
    • /
    • pp.285-296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채소 섭취 부족 문제를 개선하고자, 사회인지론을 기반으로 초등학생의 채소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실제 영양교육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초등학생의 올바른 식습관 정립과 채소 섭취 증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조사는 2018년 6월 한달 간 초등학교 5~6학년 17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남학생은 54.2%, 여학생은 45.8%이었으며 그 중 5학년이 27.7%, 6학년이 72.3%로 6학년의 비율이 높았다. 채소선호도에 대해 '좋아한다', '매우 좋아한다'고 응답한 아동을 채소선호군으로, '싫어한다'와 '매우 싫어한다'라고 응답한 아동을 채소비선호군으로 분류하였다. 사회인지론의 개인적 요인에 있어 긍정적 결과기대와 자아효능감은 채소선호군이 채소비선호군에 비해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부정적 장애 요인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채소비선호군의 점수가 채소선호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특히 채소는 맛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장애요인이었다. 행동적 요인에 있어서는 채소에 관한 영양지식은 군 간의 차이 없이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실천도에 있어서는 낮은 값을 보여 채소섭취에 대한 실천도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환경적 요인에 있어서 사회적 환경인 주변인에서는 채소선호군이 채소비선호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점수가 높아 주변인의 충고를 받아들일 용의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은 의사와 부모님이었다. 물리적 환경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채소선호군의 점수가 높아 채소선호군에 속한 아동이 채소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환경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인지론의 요인들과 채소선호도와의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인지론의 요인들 중 영양지식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이 채소선호도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주변인 (p < 0.01), 행동실천도 (p < 0.01) 및 자아효능감 (p < 0.05) 등이 채소선호도에 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초등학생의 채소 선호도를 높이고 채소 섭취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영양중재활동을 통해 단순히 영양지식을 제공하기보다는 채소를 먹음으로써 나타나는 긍정적 결과 기대를 높이고, 채소가 맛이 없다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변화시키고, 채소를 잘 먹을 수 있다는 자신감을 고취시키며, 의사와 부모님 등 주변인들의 적극적인 격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학생들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채소류 섭취에 관한 조사 (A Survey on Intake of Vegetable Foods for Proper Dietary Habits in Middle School Students)

  • 김금란;박소현;김미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28-137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behavior and preference of vegetable food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required for menu promo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proper diet habits for their health. A survey was conducted for one week(2007) in Kyounggi province(Ansan and Seoul). The result was as follows. Three times a day was the highest in the number of eating meals and boiled rice. In the preference of food items, the meat food was more preferred than the vegetable food. In case of vegetable preference, males were higher than females. Many students recognized one dish of vegetable food in their meals. 72.4% of students ate less than provided in the food service system. Also, 7% of students did not eat vegetable foods entirely. They have had 1/2 dish(35.2%) of Kimchi in their meals and only 10.6% of students didn't eat Kimchi at all. The reason that students ate vegetable provided was 'for eating rice'(47%). Also, the reasons that students do not eat vegetable provided were 'bad taste' and 'unfavorite vegetable'. The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it was need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vegetables and education about the nutrients of vegetables.

  • PDF

뇌졸중 환자의 식품 기호도 변화와 섭취빈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Altered Food Preference and Food Frequency in Stroke Patients)

  • 박경애;김종성;최스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6호
    • /
    • pp.622-63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and altered food preferences of stroke patients. One hundred and forty-six outpatients, who had experienced their first-ever stroke and were admitted to Asan Medical Center between July and December 2000, were studied. Using interviews, we assessed the altered food preferences, food consumption frequency, and other factors influencing the food preferences and food consumption frequency of the subjects. These results were analyzed with 2 t-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package program. Preferences for pork, red fish, coffee, bread and stews were higher in male stroke patients than in females.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beef, pork, white fish, red fish, egg, garlic, onion, coffee, instant noodles, bread, and culinary vegetables increased in the male stroke patients more than in the females. Food preferences were influenced by income, risk factors, subjective tastes and location of brain ischemic lesions. Food consumption frequency was affected by food preference, income, drugs, alcohol, marital status, sex, and dysgeusia.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white fish, red fish, eggs, soy milk, milk, garlic, onions, coffee, noodles, bread, bean-paste stew, kimchi, culinary vegetables, and greasy foods were the most affected by each food preference. Our results suggest that food consumption frequency may vary with food preference, income, drugs, alcohol, marital status, sex, and dysgeusia, and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formulated to prevent stroke recurrence based on the food preferences, subjective tastes, and risk factors of individual stroke patients.

강원지역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채소류 섭취에 대한 인식 및 섭취태도 연구 (Study on perception and eating attitude towards vegetable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Gangwon area)

  • 김미경;오혜숙;이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34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기피 식품 중의 하나인 채소류 섭취에 대한 인식 및 섭취 태도를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강원도 소재 초등학교 학생과 그의 학부모 각 4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총 742부, 학생 391, 학부모 351),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사 시 건강 관심도는 학생 64.3%, 학부모 84.9%가 (매우) 관심 있다고 하여 두 그룹 모두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아동 46.6%, 학부모 52.4%가 편식을 한다고 하였고, 편식하는 식품은 대부분 채소류로 버섯, 당근, 마늘, 피망, 파, 김치, 호박이나 콩이었다. 편식 여부는 식사 시 건강고려도(p<0.01), 아동의 건강관심도(p<0.05)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편식 아동의 70.9%가 편식 개선 의지를 보였고, 건강에 관심이 많은 경우 편식 개선의지도 높았다(p<0.01). 학교급식에 주로 사용되는 20종 채소류에 대한 인지도는 고추, 깻잎, 브로콜리, 배추, 양상추, 시금치, 양배추, 열무, 무, 오이, 피망, 호박은 90%이상이 들어본 적이 있다고 하였으며, 근대, 비름나물과 아욱은 들어보거나 먹어본 경험이 적은 생소한 채소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추, 무(62.7%), 오이(62.1%), 깻잎(60.4%), 양상추(58.1%), 시금치(54.5%) 등이 자주 먹는 채소류였다. 각 채소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양상추, 오이, 배추, 깻잎, 시금치, 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고, 마늘종, 쑥갓, 피망, 고추, 아욱은 선호도 순위가 낮았다. 아동과 학부모의 채소류 선호도 사이에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어(p<0.01, p<0.001) 학부모의 선호도가 아동의 채소류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이 선호하는 채소류 조리방법은 쌈장, 국과 비빔밥이었고, 소금 간을 이용하는 것보다 고추장 무침을 선호하였다. 향이 강한 채소의 섭취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맛이 없었던 채소는 다음에도 섭취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많아 채소의 향과 맛이 없었던 경험은 아동의 채소류 섭취 태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먹어본 적이 없는 채소도 먹으려 한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건강관심도(p<0.05), 식사 시 건강 고려도(p<0.001)와 먹어본 적이 없는 채소의 섭취 태도 사이에는 유의적 상관을 보였다.

  • PDF

부산지역 중·고등학생의 채소 섭취에 대한 식습관, 기호도 및 섭취빈도 비교 (Comparisons of the Eating Habit, Preferences and Intake Frequency of Vegetabl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 이경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93-107
    • /
    • 2015
  • 본 연구는 부산지역 중학생 550명과 고등학생 560명 총 1,110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채소 섭취에 대한 식습관, 기호도, 섭취빈도, 자아효능감를 조사하여 중 고등학생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중학생과 고등학생에게 맞는 바람직한 채소 섭취와 채소 편식 교정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산지역 청소년들의 약 60%정도만이 어릴 적부터 채소를 골고루 먹고 있었고, 학교급식에서 채소반찬을 거의 다 먹는 청소년은 50% 이하이며, 가정에서도 한끼에 3가지 이상의 채소반찬을 먹는 청소년 역시 50%이하이었다. 연구대상자들은 학교급과 성별에 차이 없이 채소를 선호하지 않는 비율이 약 40%나 되었고, 그들의 채소 편식 원인은 섭취 경험 부족보다 자신의 기호에 의한 경우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대상자들은 중 고등학생 모두 채소별 기호도는 채소 색깔에 차이 없이 4점 만점에 2.6-2.7점 정도로 낮은 편이었고, 상추(녹색), 콩나물(흰색), 토마토(기타색)에 대한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연구대상자들의 2/3이상이 녹색채소를 월 1-2회 가끔 먹고 있었다. 주 1회 이상 흰색채소를 먹는 학생 비율이 35% 이상이었던 흰색채소는 10개 중 5개로 전반적으로 녹색채소보다 섭취빈도가 더 높았다. 연구대상자들은 노란색 채소(당근과 토마토)에 대한 섭취빈도는 높은 반면, 보라색 및 검정색 채소의 섭취빈도는 낮았다. 모든 색깔의 채소에서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의 섭취빈도가 낮았고, 녹색채소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에서 섭취빈도가 낮았다. 부산지역 청소년들의 채소에 대한 영양지식 총 점수는 10점 만점에 중학생 6.55점, 고등학생 6.90점으로 낮은 편이었고, 남녀나 학교급간의 차이는 없었다. 연구대상자들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채소 섭취에 대한 자아효능감이 낮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 부산지역 청소년의 채소 섭취 식습관은 바람직하지 못하였고, 채소에 대한 기호도와 영양지식도 낮았다. 채소 섭취 식습관, 기호도, 섭취빈도, 자아효능감에서 모두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바람직하지 못하였으며, 채소에 대한 기호도나 섭취빈도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학교급간,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채소 섭취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며 특히 고등학생 대상의 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산채(산나물)에 대한 소비자 의향 및 수요 분석: 소비자 의향 조사와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An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 and Demand for Wild Vegetables: Through a Consumer Preference Survey and Social Big Data Analysis)

  • 변승연;석현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1호
    • /
    • pp.116-126
    • /
    • 2019
  • 최근 5년간 단기소득임산물 생산량 및 생산액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중에서도 산채(산나물) 생산액은 2017년 기준 약 4천억 원으로 전체의 14 %를 차지하고 있다. 산채 중에서도 특히 고사리, 취나물, 곤드레 등의 생산량 및 생산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산나물의 특성상 값 싼 수입산과의 가격경쟁이 심하고, 소비패턴의 변화가 거의 없는 점들로 인해 국내산 산채류 가격에 악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산채 소비시장의 전반적인 소비 위축 현상을 불러일으킬 위험이 있다. 하지만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에 좋은 웰빙 식품 선호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지금이 산채 소비시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채 소비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 및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기 위하여 소비자조사를 통한 산채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행태 및 소비행태를 분석하였고, 이와 더불어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산채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의향을 파악하였다.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설문조사뿐만 아니라 SNS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 인식 및 의향 조사도 실시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으며,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산채 소비 증진을 위한 전략 및 정책 마련에 있어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