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dicted runoff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4초

Future water quality analysis of the Anseongcheon River basin, Korea under climate change

  • Kim, Deokwhan;Kim, Jungwook;Joo, Hongjun;Han, Daegun;Kim, Hung Soo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0권1호
    • /
    • pp.1-11
    • /
    • 2019
  •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Fifth Assessment Report (AR5) predicted that recent extreme hydrological events would affect water quality and aggravate various forms of water pollution. To analyze changes in water quality due to future climate change, input data (precipitation, averag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verage wind speed and sunlight) were established using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suggested by the AR5 and calculated the future runoff for each target period (Reference:1989-2015; I: 2016-2040; II: 2041-2070; and III: 2071-2099) using the semi-distributed land use-based runoff processes (SLURP) model. Meteorological factors that affect water quality (precipitation, temperature and runoff) were inputted into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MLRA)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odels to analyze water quality data, dissolved oxygen (DO),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suspended solids (SS),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Future water quality prediction of the Anseongcheon River basin shows that DO at Gongdo station in the river will drop by 35% in autumn by the end of the $21^{st}$ century and that BOD, COD and SS will increase by 36%, 20% and 42%, respectively. Analysis revealed that the oxygen demand at Dongyeongyo station will decrease by 17% in summer and BOD, COD and SS will increase by 30%, 12% and 17%, respective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continuously monitor the water quality of the Anseongcheon River basin for long-term management. A more reliable prediction of future water quality will be achieved if various social scenarios and climate data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SWMM을 이용한 도시계획지역 유출량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매개변수 산정 (Parameter estimations to improve urban planning area runoff prediction accuracy using Stormwater Management Model (SWMM))

  • 구영민;서동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5호
    • /
    • pp.303-313
    • /
    • 2017
  • 우리나라에서는 도시 개발사업을 위한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는데 있어 개발 전 중 후의 강우유출량을 분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도시개발에 따른 수문학적 변화를 분석하고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수문모델이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현장의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관계로 그 산정결과의 신뢰도가 문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의 관평천 일부유역에서 2015년 7월 부터 2016년 7월 까지 자동 모니터링 장치을 이용하고 또한 및 현장 측정을 통해 확보된 강우량 및 유출유량의 연속자료를 활용하여 SWMM을 이용하는 경우 강우 유출량 예측의 정확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토양침투량 산정을 위해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Curve Number 방법, Horton 방법 및 Green-Ampt 방법들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투수지역과 불투수 지역에 대해 각각 최적의 Manning 조도계수와 지표면 저류깊이를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의 도시 유역에서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강우 유출 모델을 보정하였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며 추후 유역의 개발등의 상황에 대해는 강우 시 유출량 및 수질현상을 더욱 정확하게 예측하고 나아가서 향후의 유역 내 수문조건 변화 요인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는 데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특성인자의 상호연관성을 고려한 강우-유출모형 매개변수 지역화 (Regionalization of rainfall-runoff model parameters based on the correl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 factors)

  • 김진국;오랑치맥 솜야;김태정;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11호
    • /
    • pp.955-968
    • /
    • 2021
  • 수자원 계획 수립시 인위적인 하천수의 사용 및 조절 과정을 거치지 않는 자연유량 상태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관측자료를 이용하거나 장기유출모형을 이용한 방법 등을 통해 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자연적인 유출 상태를 보이는 유역은 매우 제한적이며, 미계측유역은 수문모형을 구축한 후 이를 전이시켜 산정하는 등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GR4J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하여 14개 댐 상류 유역에 대한 매개변수 최적화를 수행하여 자연유량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고려하기 위해 Bayesian 이론을 도입하였으며, 매개변수의 사후분포로부터 추출되는 다수의 매개변수를 지역화에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최적 매개변수와 유역의 특성을 갖는 인자에 대한 상관관계를 파악해 유역특성인자를 선별하였으며, 인자 사이의 상관성을 효과적으로 고려하기 위하여 Copula 함수를 활용해 매개변수 지역화 모델로 확장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역 매개변수를 활용해 산정된 유량과 14개 댐 관측 유입량이 약 0.8 이상의 높은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은 미계측유역의 강우-유출모형 매개변수 추정시 유역특성을 고려한 지역 매개변수의 추정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동시에 불확실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미계측유역의 자연유량 예측 모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린인프라 기반 빗물 관리를 위한 설계강우량별 강우-유출저감 효율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rainfall-runoff reduction efficiency on each design rainfall for the green infrastructure-baesd stormwater management)

  • 김병성;김재문;이상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8호
    • /
    • pp.613-621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를 겪고 있으며, 21세기 말 한반도에서 강우의 강도와 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급격한 도시개발로 인해 불투수면적이 증가하여 도시 물순환 건전성이 왜곡되었다. 물순환 건전성 회복을 위해 빗물 관리기법 관련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빗물 관리기법의 효과는 검증되었지만 도시 물순환 건전성을 위해 적합한 설계 가이드라인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빗물 관리기법의 설계 가이드라인 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해 부산관측소 10년 강우자료를 통해 60, 70, 80, 90 백분위수의 강우량 및 강우 지속시간별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적절한 도시 빗물 관리를 위해 시나리오별로 그린인프라의 규모를 산정하였으며, SWMM 모형을 이용하여 장기 강우(10년)-유출량 모의를 통해 저감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린인프라 규모별 총 유출 저감량은 13.1~52.1%로 나타났다. 빗물 관리 목표량을 설정하기 위해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대상지역에서는 80~85 백분위수의 강우량으로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수문곡선의 감수부 특성을 고려한 기저유출 산정 (Estimation of baseflow considering recession characteristics of hydrograph)

  • 정영훈;임경재;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1-171
    • /
    • 2014
  • 수문곡선의 감수부는 기저유출의 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강우유출 모형과 기저유출분리법을 이용한 기저유출 산정과정에서 감수부의 특성을 고려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수특성을 고려하여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의 보정에서 유량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보정된 SWAT으로부터 예측된 유량으로부터 기저유출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RECESS으로부터 산정된 alpha factor와 11개의 다른 매개변수를 자동보정모듈에 적용한 시나리오 (S1)와 SWAT의 매개변수인 alpha factor를 포함한 12개의 매개변수를 자동보정모듈에 적용한 시나리오 (S2)에 대해 SWAT을 이용해 유량 모의를 하였다. 또한, 두 시나리오에 대해 SWAT으로 예측된 유량을 Web-based Hydrograph Analysis Tool (WHAT)을 적용하여 기저유출을 산정하였다. 보정 결과는 유량에 대한 두 시나리오의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값들 사이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기저유출의 경우 S1에 대한 NSE는 0.777이고, S2의 NSE 결과는 0.844로 다소 큰 차이를 보였다. 연평균 유량의 분포의 정량적 비교를 위한 관측유량과 상대오차를 산정하였으며 S1에 대하여 20.78%, S2에 대하여 6.59%의 상대오차를 보였다. 본 연구는 모형을 이용하여 예측된 유량으로부터 기저유출을 산정하는데 있어 감수부 특성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환경영향평가에 사용되는 컴퓨터 모델에 관한 연구 II : 수리수문 모델 (A Study of Computer Models Used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I : Hydrologic and Hydraulic Models)

  • 박석순;나은혜
    • 환경영향평가
    • /
    • 제9권1호
    • /
    • pp.25-37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f hydrological and hydraulic model applications in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s which were submitted during recent years in Korea. In many cases (almost 70 %), the hydrological and hydraulic changes were neglected from the impact identification processes, even if the proposed actions would cause significant impacts on those environmental items. In most cases where the hydrological and hydraulic impacts were predicted, simple equations were used as an impact prediction tool. Computer models were used in very few cases(5%). Even in these few cases, models were improperly applied and thus the predicted impacts would not be reliable. The improper applications and the impact neglections a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re are no available model application guidelines as well as no requirements by the review agency. The effects of mitigation measures were not analyzed in most cases. Again, these can be attributed to no formal guidelines available for impact predictions until now. A brief guideline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odel application should be required and guided in detail by the review agency.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hydrological and hydraulic items shoud be integrated with the water quality predictions in future, since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runoff is based on the hydrologic phenomena and the water quality reactions on the hydraulic nature.

  • PDF

자료동화 기법을 연계한 실시간 하천유량 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Real-Time River Flow Forecasting Model with Data Assimilation Technique)

  • 이병주;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3호
    • /
    • pp.199-20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연속형 강우-유출모형과 앙상블 칼만 필터 기법을 연계하여 실시간 하천유량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자료동화로 인한 정확도 개선 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유역은 안동댐 상류유역을 선정하고 2006.7.1~8.18과 2007.8.1~9.30의 홍수기간에 대해 평가를 수행하였다. 자료동화를 위한 모형 상태변수는 유역의 토양수분과 저류량 및 하도 저류량을 선정하였으며 하류 댐 지점의 관측유량을 이용하여 상태변수를 갱신하도록 모형을 설계하였다. 상태변수의 칼만게인 거동을 분석한 결과 모의유량은 관측유량으로 74%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강우를 관측강우와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예측선행시간 1시간에 대해 자료동화 전 후의 모의유량을 분석한 결과 2006년과 2007년에 각각 49.6%와 33.1%의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간 하천유량 예측시스템에 자료동화기법을 연계할 경우 강우-유출모형만을 이용한 결과보다 정확한 홍수량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청댐 예비 방류를 위한 홍수 예보 (Flood Forecasting for Pre-Release of Taech'ong Reservoir)

  • 이재형;심명필;전일권
    • 물과 미래
    • /
    • 제26권2호
    • /
    • pp.99-105
    • /
    • 1993
  • 호우발생전의 기상상태, 유역의 저류상태 그리고 과거의 패턴을 반영한 실용성 있는 홍수 예보모형을 제안하였다. 호우 예보는 구름 물리학을 토대로한 지점 호우 예보 모형을, 유출예측은 저류함수모형을 채택하였다. 홍수 예보 모형의 입력 변수는 예보 발령 시점의 지상 기온, 지상 기압, 지상 이슬점 온도 그리고 유출점의 초기 유량이다. 홍수 예보 모형의 매개 상수는 과거의 홍수 사상이 갖는 최적 상수들의 산술평균값으로 하였다. 유출률은 홍수 초기 유량을 지표로 하여 예측될 수 있게 하였다.

  • PDF

대유역의 유량예측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Flow Forecasting System in Large Drainage Basin)

  • 배덕효
    • 물과 미래
    • /
    • 제28권3호
    • /
    • pp.123-132
    • /
    • 1995
  • 본 연구는 대유역의 유량예측을 위한 수공학적 모형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시스템은 각각의 부분유역에서의 기상학적, 수문학적 입력자료를 바탕으로 하천유량을 예측하는 개념적인 수문학적 강우유출모형과 각부분유역의 예측유량을 입력치로 하여 하도홍수추적을 하는 수리학적 모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간 해석시 새로운 관측자료로부터 모형의 상태변량을 최적화 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상태변량 추정자가 사용되었다. 실시간 유량예측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을 적용하여 본 결과, 예측가능시간이 짧은 경우 대유역의 실시간 유량예측모형으로서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Watershed Erosion Modeling with CASC2D-SED

  • Pierre Julien;Rosalia Rojas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27-40
    • /
    • 2002
  • Developed at Colorado State University, CASC2D-SED is a physically-based model simulating the hydrologic response of a watershed to a distributed rainfall field. The time-dependent processes include: precipitation, interception, infiltration, surface runoff and channel routing, upland erosion, transport and sedimentation. CASC2D-SED is applied to Goodwin Creek, Mississippi. The watershed covers 21 $\textrm{km}^2$ and has been extensively monitored both at the outlet and at several internal locations by the ARS-NSL at Oxford, MS. The model has been calibrated and validated using rainfall data from 16 meteorological stations,6 stream gaging stations and 6 sediment gaging stations. Sediment erosion/deposition rates by size fraction are predicted both in space and time. Geovisualization, a powerful data exploration technique based on GIS technology, is used to analyze and display the dynamic output time series generated by the CASC2D-SED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