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onceptions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초

아동의 컴퓨터 선개념이 컴퓨터 보조 과학 수업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puter Assisted Science Instruction on Children's Preconceptions about Computer)

  • 정진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0-246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uter-naive children's preconceptions of computer concept, anxieties for computer, the changes in preconceptions and anxieties by computer literacy teaching, and the effect of CASI(Computer Assisted Science Instruction) on the science achievement. For this study, 42 5th graders were sample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male:10, female:11) and control group(male:12, female:9). Each group was randomly assigned in the elementary school. Preconceptions about computer were examined by individual interview. Computer anxiety score was measured by questionaires. The questionaires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total 21 items measured by Chronbach ${\alpha}$ (0.93) and Total Item Correlationtp(p=0.01, r = $0.40{\sim}0.72$). Computer literacy curriculum based on children's preconceptions was developed and then was treated for experimental group as a computer literacy course. Preconceptions of computer, computer anxiety, and CASI achievements were compar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pre and post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hildren's preconceptions of computer showed various non-scientific concepts as animism and obvious visiual thinking. 2) children's misconceptions and anxieties about comput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learning experience of computer. 3) computer literacy had an effect on eliminating children's misconception about computer. 4) computer literacy had an effect on diminishing children's computer anxiety. 5) children's misconceptions and anxieties about computer showed significant inter-correlation. 6) children's misconceptions and anxieties about computer were appeared negative effect on CASI achievements. As the results, children's misconception and anxieties about computer had an effect on CASI acheivements. Therefore before performing CASI, more systematic computer literacy might be taught in formal education.

  • PDF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선개념 조사 (The Investigation of Six Grade Students' Preconceptions about the Cause of Seasonal Change)

  • 채동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2호
    • /
    • pp.204-212
    • /
    • 2011
  • This research is about the six graders' preconceptions in elementary school about a cause of the seasonal change before learn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patterns of six graders's preconceptions in elementary school are earth's rotation, earth's revolu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earth and the sun and the location factor between the sun and our country, which are mixed up with two more things. Especially many patterns of students explain the seasonal change of our country using the change of location of our country by earth's rotation, the location factor between the earth and the su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arth and the sun by earth's revolution.

학생의 선개념과 탐구 기능이 전기 실험 결과의 해석에 미치는 영향

  • 박종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7-238
    • /
    • 1996
  • This study primary aim is to investigate students' responses to experimental results which conflict with their preconceptions regarding electrical circuits. Eighty-eight students of both sexe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 science high school in Korea. They were questioned about their preconceptions regarding an electric circuit, and sixty-eight students with relevant misconceptions were selected. These students were presented with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by some other experimenter, and asked to interpret these results. The second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tudents' responses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inquiry-skills required to obtain the result. To do this, two type of experimental results were developed: one obtained by observation and the other obtained by controlling variables. We found that many students doubted results for the simple reason that they conflicted with their preconceptions. They rejected results by mentioning other factors which could have affected the result, or simply by reiterating their preconceptions. This behaviour varied considerably by inquiry-skill type. 41% of students rejected conflictual result obtained by observation, but only 6% of students rejected results obtained by controlling variables.

  • PDF

정량적 현상제시와 정성적 현장제시에 의한 학생들의 인지갈등 정도 (Students' Levels of Cognitive Conflict by Provided Quantitative Demonstration and Qualitative Demonstration)

  • 김지나;최혁준;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21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정량적 현상제시와 정성적 현상제시를 하였을 때, 중학교 학생들의 갈등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의 중학교 2학년 297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 문항은 역학의 작용반작용 문항과 전기의 전구의 불의 밝기를 비교하는 문항을 사용하였고, 인지적 갈등을 측정하는 검사지는 권혁구(1999) 등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먼저, 정량적 현상제시 집단과 정성적 현상제시 집단의 인지갈등 점수를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현상제시 후 자신의 선개념을 바꾼 학생들과 고수한 학생들의 갈등 점수를 비교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선개념의 확신 정도와 갈등 정수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를 보면, 첫째, 선개념에서 오답을 선택한 학생들은 정성적 현상제시보다 정량적 현상제시에서 갈등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선개념에서 정답을 선택한 학생들은 정량적 현상제시보다 정성적 현상제시에서 갈등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신의 선개념을 바꾼 학생들이 고수한 학생들에 비해 갈등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개념의 확신정도와 갈등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정량적 현상을 제시한 집단의 학생들 중 선개념에서 오답을 택한 학생들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선개념에서 정답을 택한 학생들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정성적 집단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물리실험에서 선개념과 불일치한 실험 데이터에 대한 학생들의 해석 유형 (The Types of Explanation about Different Experimental Data with Students' Preconceptions on Physical Experiment)

  • 변영찬;김지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04-411
    • /
    • 2007
  • 이 연구는 학생들에게 예상과 불일치한 실험 데이터를 제시한 뒤, 학생들이 이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P 대학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자의 주기에 대해서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 중, 깡통진자에 물을 넣어가면서 깡통진자의 주기를 측정할 때, 주기가 일정할 것이라고 예상한 학생 45명을 선발하였다. 학생들에게 깡통진자에 물을 넣어가면서 주기를 측정한 데이터를 제시하고, 표에 기록하게하고 그것을 그래프로 그려 자료변환을 하도록 하였다. 검사문항지를 통해 불일치 인식, 데이터에 대한 선뢰, 인지갈등, 개념 변화 및 실험 결과에 대한 가설 등을 조사하였다. 인지 갈등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CCLT(Cognitive Conflict Levels Test) 검사문항지를 사용하였다. 일부 학생들은 선개념에 의존하여, 데이터를 실제 데이터가 아니라고 간주하거나 실험 오류로 간주하였다. 불일치 상황을 인식 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인지갈등 정도가 높았다. 선개념에 대한 신념이 변한 학생들은 불일치 상황을 인식하였고, 신념이 변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인지갈등 정도가 높았다. 선개념에 대한 신념이 변하지 않은 학생들은 데이터를 실험 오류로 간주하였다.

물리학습에서 불일치 상황에 직면한 학생들의 반응 유형 - 관찰 및 인식, 신념변화, 제안하는 실험의 유형, 신념변화에 따른 인지갈등 정도 (The types of Students' Responses to Anomalous Situations in Physics - Observation, Perception about Observation, Belief Change about Preconception, Contents and Types of Suggested Experiments, Cognitive Conflict Level by the Belief Change)

  • 김지나;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2-172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선개념과 불일치하는 현상을 관찰한 학생들의 반응 즉, 관찰, 관찰에 대한 인식, 선개념에 대한 신념 변화, 인지갈등, 새로운 실험의 필요 여부 및 실험 유형 등을 알아보는 것이다. 부산광역시 소재 중학교 3학년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전 검사를 통하여 오개념을 가진 학생을 먼저 선발하고, 사전개념에 대한 확신 정도가 큰 학생들을 선정하였다. 이 학생들 중 이 연구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학생을 다시 선별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16명이다. 학생들의 반응과 인지갈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지갈등 측정도구(CCLT)와 반구조화 된 면담을 이용하였다. 학생들에게 제시한 불일치 상황은 정성적 상황과 정량적 상황으로 분류하였다. 정성적 상황은 불일치 상황이 눈금으로 제시되지 않는 경우이고, 정량적 상황은 불일치 상황이 눈금으로 제시되는 경우이다. 불일치 상황을 정성적으로 제시했을 경우에는 자신의 선개념의 영향을 받아 틀리게 관찰한 학생이 있는 반면, 정량적 불일치 상황에서는 모두가 바르게 관찰하였다. 역학의 정성적 불일치 집단의 1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제시된 상황이 자신의 선개념과 다른 현상이라고 인식하였다. 불일치 상황을 선개념에 비추어 관찰한 학생은 대체적으로 선개념을 버리지 않으며, 자신의 선개념을 지지하는 확인실험을 요구하는 경향이 있었다. 선개념에 대한 신념의 변화가 있는 학생은 신념을 유지한 학생보다 인지갈등 정도가 높았다.

선입관(先入觀)의 철학적(哲學的) 배경(背景) 및 오인(誤認)과 과학학습(科學學習)의 관계(關係) (A Study of Philosophical Basis of Preconceptions and Relationship Between Misconceptions and Science Education)

  • 조희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4-43
    • /
    • 1984
  • Since the study of student's preconceptions and their effects on the learning of relevant subjects became an influential research area with high significance, the research area bas mainly been concerned by science educators. However, it was not until the year of 1983 that the area received recognition of various fields other than science education. The recognition was given by the Scientific American when it published a paper reporting a misconceptions in mechanics. Studies concerning misconceptions primarily interested in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kinds of theoretical bases do preconceptions or misconceptions have? What are the sources of those conceptions? How are the misconceptions changed into or improved to scientific concepts? What are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s appropriate for reducing the number of the misconceptions after instruction? Those questions are partly answered by experimental psychology and by philosophy of science, especially epistemology. Therefore, the paper will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and the sources of the misconcep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n, a few learning and teaching theories currently carrying great prestige in educational practice will be interpreted in terms of the knowledge of preconceptions or misconceptions.

  • PDF

힘과 운동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갈등을 일으키기 위한 시범에 대한 학생의 반응 분석 (The Analysis of Students' Responses about Demonstrations for Cognitive Conflict on the Force and Motion)

  • 박종원;박문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9-162
    • /
    • 1997
  • Many students have misconceptions about the direction of force of moving objects, but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 is not easy because the direction of force of moving objects can not be observed directly. Therefore, we devloped demonstration using table tennis ball connected with spring in the water, in which a ball always move to the direction of force of moving object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s' responses on the demonstrations designed to generate cognitive conflict and to understand more deeply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To do this, five questions were administrated to identify students' preconceptions about force and motion, and interview was conducted using demonstrations, and the process of interview was recorded by video camera. About half of students changed their preconceptions by observing the demonstration. However about thirty percentage of students did not change their preconceptions even though they observed demonstration correctly, among these students, some students simply rejected the observation, doubted the process of demonstrations, or reinterpret the result of observation to preserve their own preconceptions.

  • PDF

학생 선개념을 지지하는 증거와 반증하는 증거에 대한 학생의 반응 (Students' Responses on the Supporting or Conflicting Evidences on Thier Preconception)

  • 박종원;김익균;이무;김명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3-296
    • /
    • 1998
  • 본 연구는 정전기 유도(유전분극)현상에 대한 학생의 선개념을 조사하고, 선개념을 지지하는 증거와 반증하는 증거를 관찰하게 하여 학생의 반응을 조사하는 연구이다. 증거를 학생이 직접 선택하게 하였을 때, 선택 유형은 두 가지로 나타났다: 자신의 생각이 불확실하여 확인하기 위해 증거를 선택하는 경우와, 자신의 생각을 확신하면서 확증 증거로서 관찰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선택유형은 다시 각각 3개와 2개의 하위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학생의 관찰 결과를 보면 모든 학생이 관찰 결과를 받아들여, 자신의 생각을 반증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관찰자체를 거부하는 경우는 없었다. 자신의 생각을 지지하는 증거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학생이 후건 긍정식의 오류를 범하여, 계속적으로 확증증거를 요구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생각을 반증하는 증거에 대해서는 학생의 반응이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졌다: 반증 증거에 의해 자신의 생각을 폐기한 경우와 핵심원리를 폐기하기보다는 관련된 다른 보조 이론을 수정 보완하는 경우, 첫 번째 경우는 다시 3가지로 세분화되었는데,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 하였다는 것이었다. 이것은 학생의 개념 변화를 이해하는 데, 포퍼보다는 라카토스식 설명이 더 적절함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두 번째 경우도 다시 3개 하위 유형으로 나뉘어졌으며, 대학생보다는 중학생의 경우에 더 많았다. 즉, 관련 보조 이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에는 핵심원리(오개념)를 폐기하기 보다는 관련 보조 이론을 수정 보완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념변화에서는 관련 보조 개념에 대한 이해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 PDF

온실효과, 오존층 파괴, 산성비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들의 개념 (The Con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bout Greenhouse Effect, Ozone Layer Depletion and Acid Rain)

  • 백남권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67-373
    • /
    • 2003
  •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describe environmental preconceptions hel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bout three issues : greenhouse effect, ozone layer depletion and acid rain. Two hundred and twenty nin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36 question survey was created by one of the authors. The questions focused on the cause, effects, and interactions of three environmental issues greenhouse effect of one layer depletion and acid ra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swered the questions on a Likert scale. An analysis of the survey data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ossess an array of incorrect conceptions about the causes and effects of the greenhouse effect ozone layer depletion, and acid rain. and also man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ought that there wer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increase in greenhouse effect, the destruction of ozone layer, and the increase of acid r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