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ipitation method$CO_{2}$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38초

Optimization red emission of SrMoO4: Eu3+ via hydro-thermal co-precipitation synthesis using orthogonal experiment

  • Tan, Yongjun;Luo, Xuedan;Mao, Mingfu;Shu, Dehua;Shan, Wenfei;Li, Guizhi;Guo, Dongcai
    • Current Applied Physics
    • /
    • 제18권11호
    • /
    • pp.1403-1409
    • /
    • 2018
  • In the present study, the $SrMoO_4:Eu^{3+}$ phosphors has been synthesized through hydro-thermal co-precipitation method, and single factor and orthogonal experiment method was adopted to find optimal synthesis condition.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hydro-thermal temperature is a prominent effect on the luminescent intensity of $SrMoO_4:Eu^{3+}$ red phosphor, followed by co-precipitation temperature, calcining time, and the doping amount of $Eu^{3+}$. The optimal synthesis conditions were obtained: hydro-thermal temperature is $145^{\circ}C$, co-precipitation temperature is $35^{\circ}C$, the calcining time is 2.5 h, and the doping amount of activator $Eu^{3+}$ is 25%. Subsequently, the crystalline particle size, phase composition and morphology of the synthesized phosphors were evaluated by X-ray powder diffraction (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results show that these phosphors possess a scheelite-type tetragonal structure, and the particle size is about $0.2{\mu}m$. Spectroscopic investigations of the synthesized phosphors are carried out with the help of photo-luminescence excitation and emission analysis. The studies reveal that $SrMoO_4:Eu^{3+}$ phosphor efficiently convert radiation of 394 nm-592 and 616 nm for red light, and the luminescence intensity of $SrMoO_4:Eu^{3+}$ phosphors is improved. $SrMoO_4:Eu^{3+}$ phosphors may be a potential application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white LEDs.

공침법을 통한 나노로드 형태의 니켈계 양극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norod-Type Ni-Rich Cathode Materials by Using Co-Precipitation Method)

  • 박주혁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7권2호
    • /
    • pp.215-222
    • /
    • 2024
  • Ni-rich cathode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as the most promising candidates for next-generation cath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because of their high capacity and energy density. In particular,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ithium-ion batteries could be enhanced by increasing the contents of nickel ion. However, there are still limitations, such as low structural stability, cation mixing, low capacity retention and poor rate capability. Herein, we have successfully developed the nanorod-type Ni-rich cathode materials by using co-precipitation method. Particularly, the nanorod-type primary particles of LiNi0.7Co0.15Mn0.15O2 could facilitate the electron transfer because of their longitudinal morphology. Moreover, there were holes at the center of secondary particles, resulting in high permeability of the electrolyte. Lithium-ion batteries using the prepared nanorod-type LiNi0.7Co0.15Mn0.15O2 achieved highly improv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with a superior rate capability during battery cycling.

모의 FP-$(Na_2CO_3-NaHCO_3)-H_2O_2$ 용액으로부터 NaTPB 및 TPPCl에 의한 Cs 및 Re(/Tc)의 침전 거동 (Precipitation behaviors of Cs and Re(/Tc) by NaTPB and TPPCl from a simulated fission products-$(Na_2CO_3-NaHCO_3)-H_2O_2$ solution)

  • 이일희;임재관;정동용;양한범;김광욱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5-122
    • /
    • 2010
  • 본 연구는 $H_2O_2$가 함유된 ($Na_2CO_3-NaHCO_3$) 혼합 탄산염 계에서 사용후핵연료를 산화용해할 시 U과 함께 공용해 되는 Cs, Te, Tc, Mo 등의 핵분열생성물로부터 Cs과 Tc의 선택적 침전 제거 거동을 규명하였다. Cs과 Tc은 각각 장수명 핵종으로 지하에서의 빠른 핵종 이동성과 고방열성 등으로 최종 처분 시 처분 환경을 저해하는 핵종으로 처분 안전성 제고 측면에서 이들의 제거는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Cs과 Re (Tc 대용원소)의 선택적 침전제로는 각각 NaTPB, TPPCl를 선정하였으며, NaTPB에의한 Cs 침전 및 TPPCl에 의한 Re 침전 모두 5분 이내로 매우 빠르게 이루어졌으며, 온도를 $50^{\circ}C$, 교반속도를 1000 rpm 까지 증가시켜도 이들의 침전 속도에는 별 영향이 없었다. NaTPB 침전 및 TPPCl 침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은 침전 용액의 pH 이며, 특히 TPPCl에 의한 Re의 선택적 침전의 경우 낮은 pH 에서 Mo가 Re과 공침되므로 pH 9 이상에서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NaTPB]/[Cs] 및 [TPPCl]/[Re]의 몰 농도 비 1 이상에서 Cs 및 Re을 각각 99% 이상 선택적으로 침전 제거할 수 있었다.

침전법으로 제조한 Al2O3-15v/o ZrO2(+3m/o Y2O3)계 세라믹스의 소결거동 (Sintering Behavior of Al2O3-15v/o ZrO2(+3m/o Y2O3) Ceramics Prepared by Precipitation Method)

  • 홍기곤;이홍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23-437
    • /
    • 1989
  • Al2O3/ZrO2 composites were prepared by precipitation method using Al2(SO4)3.18H2O, ZrOCl2.8H2O and YCl3.6H2O as starting materials and NH4OH as a precipitation agent. Al2O3/ZrO2 composites(series A) were prepared by mixing Al2O3 powder obtained by single precipitation method with ZrO2(+3m/o Y2O3) powder obtained by co-predipitation method. Al2O3/ZrO2 composites (series B) were prepared by co-precipitation method using the three starting materials. In all cases, the composition was controlled as Al2O3-15v/o ZrO2(+3m/o Y2O3). The composites of series A showed higher final relative densities than those of series B and tetagonal ZrO2 in all cases was retained to about 95% at room temperature. ZrO2 particles were coalesced more rapidly in grain boundary of Al2O3 than within Al2O3 grain. ZrO2 particles were located at 3-and 4-grain junction of Al2O3 and limited the grain growth of Al2O3. It was observed that MgO contributed to densification of Al2O3 but limited grain growth of Al2O3 by MgO was not remarkable. In all Al2O3/ZrO2 composites, exaggerated grain growth of Al2O3 was not observed and Al2O3/ZrO2 composites were found to have homogeneous microstructures.

  • PDF

졸-겔법에 의한 CuO-CeO2 복합 산화물 촉매의 제조 및 CO의 선택적 산화반응에 응용 (Preparation of CuO-CeO2 mixed oxide catalyst by sol-gel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preferential oxidation of CO)

  • 황재영;함현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883-891
    • /
    • 2017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연료에 포함된 일산화탄소의 선택적 산화를 위하여, 귀금속 촉매를 대체하기 위한 CuO-$CeO_2$ 복합 산화물 촉매를 졸-겔법과 공침법으로 제조하였다. 졸-겔법으로 촉매 제조 시 Cu/Ce의 비와 가수분해 비를 변화시켰다. 제조한 촉매의 활성은 귀금속 촉매($Pt/{\gamma}-Al_2O_3$)와 비교하였다. Cu/Ce의 비를 변화시키면서 제조한 촉매 중 Cu/Ce의 비가 4:16인 촉매가 가장 높은 CO 전환율(90%)과 선택도(60%)를 나타내었다. 촉매의 제조에서 가수분해 비가 증가할수록 촉매 표면적이 증가하였고, 아울러 촉매 활성 또한 증가하였다. 공침법으로 제조한 촉매와 1wt% $Pt/{\gamma}-Al_2O_3$ 촉매의 가장 높은 CO 전환율은 각각 82% 및 81%인 반면, 졸-겔법으로 제조한 촉매의 경우는 90%가 얻어졌다. 이는 졸-겔법으로 제조한 촉매가 공침법으로 제조한 촉매나 귀금속 촉매보다 더 높은 촉매활성을 보임을 의미한다. CO-TPD 실험을 통하여, 낮은 온도($140^{\circ}C$)에서 CO를 탈착하는 촉매가 본 반응에서 더 높은 촉매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액상침전법으로 제조된 ZnO와 ZnO-CuO후막의 일산화탄소 감응특성 (CO gas sensing characteristics of ZnO and ZnO-CuO thick films prepared by acquous precipitation)

  • 전석택;최우성;백승철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9권9호
    • /
    • pp.925-932
    • /
    • 1996
  • Using the d.c. 2-probe method, we have examined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CO gas sensitivity of pure ZnO and ZnO CuO thick films prepared by the acqueous precipitation. At 200ppm CO gas, pure ZnO thick film shows the maximum sensitivity of -6.5 at 300.deg. C. On the other hand, the maximum sensitivity of 1-5 mol% and 10-15 mol% CuO added ZnO thick films are 2.8-2.5 and 1.6, respectively. Therefore, the sensitivity of pure ZnO thick film is about three times larger than those of ZnO-CuO thick films. We suggest that the promotion of maximum sensitivity is caused by low packing and the increase of chemical adsorptions for $O_{2}$ gas.

  • PDF

침전법으로 제조된 전구체 성질에 의한 LiCoO2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LiCoO2 Synthesized via Structural and Compositional Variations of Precursors Prepared by Precipitation)

  • 정명국;황치석;최청송
    • 청정기술
    • /
    • 제12권2호
    • /
    • pp.101-10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수산화물 전구체로부터 HT-$LiCoO_2$ 분말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Co(OH)_2$${\alpha}$상 및, 또는 ${\beta}$ 상의 수산화물이며 여러 조건에서 침전법으로 제조되었다. 제조시에 $[OH^-]/[CO^{2+}]$ 농도 비와 숙성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특성을 지닌 $Co(OH)_2$ 제조가 가능하였다. 침전법으로 합성한 $Co(OH)_2$와 LiOH를 메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혼합한 후 이어서 증발, 건조 그리고 숙성 조작에 의하여 HT-$LiCoO_2$의 전구체를 합성하였다. 숙성기간에 tailor-made ${\beta}$-phase $Co(OH)_2$는 CoOOH로 변환되면서 고용체를 형성한다. 이 같은 결과로 HT-$LiCoO_2$가 낮은 온도($600^{\circ}C$), 짧은 시간(10분)에 합성이 가능하게 된다.

  • PDF

공침법에 의한 Nickel Ferrite의 분말제조에서 pH-조절제 및 공침물-세척제의 영향 (Effects of pH Control Agent and Co-Precipitate Washing Agent on Nickel Ferrite Preparation by Co-Precipitation Method)

  • 정홍호;성기웅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45-449
    • /
    • 2000
  • 가압 경수형 원자로 (pressurized light water reactor) 냉각재 계통 내의 주된 분식 생성물로 알려져 있는 nickel ferrite의 거동에 대해 고찰하기 위해 모의 nickel ferrite($Ni_{0.75}Fe_{2.25}O_4$)를 공침법으로 제조하였다. 수용액-pH-조절로는 am-monia 또는 potassium carbonate를, 공침물-세척제는 ammonia 수용액이나 potassium carbonate 수용액 또는 2차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Nickel ferrite의 생성 및 수용액-pH-조절제와 공치물-세척제가 최종 생성물의 Ni-Fe 몰 비에 따른 수율 및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EDX, XPS, XRD 및 SEM으로 고찰하였다. 반응 전.후 Ni/Fe 몰 비에 따른 수율은, pH를 potassium carbon-ate로 조절한 후 2차 증류수로 공침물을 세척한 경우가 0.994로 가장 높이 나왔으며, pH-조절제로 potassium carbonate를 사용한 경우가 ammonia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높은 수율을 나타냈다. 이러한 차이는 공침 시에 수용액 내에서 ammonia가 보여주는 상대적으로 큰 $Na_{2+}{\leftarrow}NH_3$ 착화 효과와 더불어 공침물-세척제의 pH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 PDF

Z-type 바리움 페라이트의 구조 및 자기적 성질 (Structural and Magnetic Properties of Z-type Barium Ferrite)

  • 남인탁
    • 산업기술연구
    • /
    • 제28권A호
    • /
    • pp.119-123
    • /
    • 2008
  • Structural and magnetic properties of $CO_{1-x}Zn_xZ$ ($Ba_3Co_{1-x}Zn_xFe_{24}O_{41}$) hexa-ferrite are studied using XRD, VSM and SEM, respectively. Powder was prepared from co-precipitation and firstly heat treated at $1350^{\circ}C$ for 6 hours in $O_2$ atmosphere. Second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900, 1000, $1100^{\circ}C$ for 6 hours in air, respectively. Saturation magnetization value of first heat treated powder is acceptable and coercivity is high for applying to device. These result may be originated from incomplete formation reaction from M and Y phases to Z phase. Second heat treatment leads to small value of coercivity.

  • PDF

메탄화 반응을 위한 Ni-Co 이원 금속 촉매의 제조와 특성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i-Co Bimetallic Catalyst for Methanation)

  • 이종협;강미영;김우영;조원준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33-38
    • /
    • 2009
  • 일산화탄소, 수소와 같은 친환경 연료용 가스를 이용하여 메탄화 반응을 거쳐 합성 가스를 생성하였다. 이를 위한 촉매로 상용 알루미나에 담지된 Ni-Co 이원 금속을 증착침전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촉매의 촉매 활성 비교를 위하여 Ni, Co 단일 금속 촉매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한 촉매를 TEM, XRD, TPR 분석을 실시하여 각각의 촉매 특성을 확인하였고 메탄화 반응을 진행하여 합성 가스 전환율을 측정하였다. 증착침전법으로 제조한 촉매의 경우, 금속 입자가 작은 크기로 분산된 것을 확인하였다. Ni, Co 두 금속이 담지된 이원 촉매는 Ni, Co가 각각 담지된 단일 금속 촉매에 비해 더욱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PR 분석 결과, 이는 두 금속의 공존으로 인한 상호 작용을 통해 활성 수소를 보다 증가시켰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