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ast hollow core slab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3초

상부강선을 갖는 고성능 중공슬래브의 휨거동 (Flexural Behaviors of High Performance Hollow Core Slabs with Upper Strands)

  • 김인규;박현석;유승룡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56-163
    • /
    • 2002
  • 우리나라에서 교량이나 주차장 슬래브용으로 중공 슬래브를 활용한 예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중인 중공슬레브의 길이가 가장 큰 고성능 중공슬래브를 재설계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최대 깊이 315 mm인 고성능 중공슬래브에 대하여 12.7 mm 슬래브 하부강선 10개와 상부강선을 4개를 배근한 중공슬래브 80mm 토핑콘크리트를 타설한 4개의 실험체에 휨실험을 실시하여, 차량 등을 위한 고하중에서의 활용성과 슬래브의 합성작용에 대한 검토를 병행하였다. 이 실험에서의 중공슬래브는 10 m-경간 슬래브에서 설계활하중 1,000 kgf/$m^2$를 고려할 때 강도설계에 적합한 연성적 휨파괴 거동을 보여주었다. 또한 슬래브와 토핑콘크리트의 합성거동을 위하여 사용한 직사각형 전단키와 원형 전단키는 모든 단부에서 순수 휨파괴까지 어떠한 미세 균열도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누 종류의 키는 전단키로 충분한 내력을 발휘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성능 중공슬래브의 휨 실험 (Flexural Tests of High Performance Hollow Core Slabs)

  • 박현석;김인규;조영모;유승룡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7-172
    • /
    • 2001
  • Hollow core slabs generally have not been used for a bridge slab or a parking in Korea. In this study, high performance hollow core slabs, which has been the most thick one in domestic are re-designed and examined for practical use. Flexural tests were performed on four 315mm deep hollow core slabs to investigate adaptability for high vehicle live loadings and composite action with topping concrete. The precast slabs were reinforced with 10-l/2 inch dia-strands at the lower of slab and 4-l/2 inch dia-strands at tile upper of slab, and cast with 80mm deep topping concrete. Those tested hollow core slabs showed ductile failure behaviors which were conform to the current Ultimate Strength Design Method for a span of l0m up to the live load of 1, 000 kg/$m^2$.

  • PDF

주거용 내화단면 중공슬래브의 휨거동 평가 (A Evaluation on Flexural Behavior for Hollow Core Slab of Fire Resistance section for Residence Building)

  • 부윤섭;배규웅;신상민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61-68
    • /
    • 2023
  • A two-hour fire-resistance PC hollow slab for residential use was developed to secure structural and fire-resistance performance and to be applied to the general building and apartment housing markets. Compared to the existing hollow slab, in order to secure the same or better structural performance and economic feasibility by reducing the quantity, it was attempted to secure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by reducing the concrete filling rate in the cross section and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flanges by optimizing the hollow shap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lab. For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PC hollow slabs by varying the member thicknes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overlaid concrete, and all of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design strength was sufficiently exhibited and that stability during construction was possible. The developed synthetic PC hollow slab has secured fire resistance and residential performance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ll buildings, and it is intended to be immediately applied to the field.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of precast hollow core slabs

  • Sgambi, Luca;Gkoumas, Konstantinos;Bontempi, Franco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3권3호
    • /
    • pp.389-409
    • /
    • 2014
  • Precast hollow core slabs (HCS) are technically advanced products in the precast concrete industry, widely used in the last years due to their versatility, their multipurpose potential and their low cost. Using three dimensional FEM (Finite Element Method) elem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esses induced by the prestressing of steel. In particular the investigation of the spalling crack formation that takes place during prestressing is carried out, since it is important to assure the appropriate necessary margins concerning such stresses. In fact, spalling cracks may spread rapidly towards the web, leading to the detachment of the lower part of the slab. A parametric study takes place, capable of evaluating the influence of the tendon position and of the web width on the spalling stress. Consequently, after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topic of soft computing, an optimization of the HCS is performed by means of Genetic Algorithms coupled with 3-D FEM models.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내화단면 중공슬래브의 부재두께에 따른 화재거동평가 (A Evaluation of Fire Behavior According to Member Thickness of Precast Prestressed Hollow Core Slab of Fire Resistance Section )

  • 부윤섭;배규웅;신상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23
  • 최근 건설현장은 인건비 상승, 중대재해처벌법 등으로 인한 건설 현장 여건의 변화로 탈현장 여건으로 프리캐스트 부재 생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중공슬래브는 단면 내 중공형상을 두어, 중량감소 및 강연선을 통한 처짐 제어 등으로 구조성능은 확보하고 있으나, 현재 내화 성능 개선에 대한 미비한 연구 뿐만 아니라, 기업들의 근거 없는 당연내화구조 기준을 적용함에 내화성능 확보에 대한 시급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중공 슬래브와 비교하여 동등이상 구조성능, 경제성을 갖기 위하여 슬래브단면 내 중공 형상 최적화를 통해 단면 내 콘크리트 충진률 감소 및 상하부 플랜지 형상 개선으로 내화단면을 개발하였다. 이를 적용한 PC 중공 슬래브에 대하여 단면두께를 변수로 하여 2시간 내화시험을 진행하여, 실험결과 내화 성능(하중지지력, 차열성, 차염성)을 확보 하였다. 실험 결과 기반으로, 수치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내화모델링을 정립하여, 추후 단면형상 변경에 따라 내화 해석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무튜브 몰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공 슬래브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oid Precast Concrete Slab using Rubber Tube Mold for Inner Core)

  • 배규웅;홍성엽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3-303
    • /
    • 2021
  • 국내 PC공장은 PC 유공 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해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거나 매입물 삽입을 통해 중공 단면을 구현하지만 PC공장의 과다한 초기투자비용이 생산원가의 증가라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기에 다른 대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C 유공 슬래브 부재 생산시 고무 튜브를 내부 속빈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중공 형상의 성형 및 대단면화, 초경량화, 신속생산 대응 가능을 통한 생산성 확보에 기여하고자 한다.

매입형 합성보의 휨 성능 평가 -속 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와 비대칭 H형강 철골보- (Flexural Capacity of Encased Composite Beam with Hollow Core PC Slabs)

  • 허병욱;배규웅;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5호통권72호
    • /
    • pp.587-59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합성보의 전체 춤을 절감할 수 있도록 속 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철골보의 춤내에 삽입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철골조 고층건물에서 층고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른바 "슬림플로어"공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콘크리트에 매입된 비대칭 철골보를 가지는 불완전 합성 슬림플로어 시스템의 휨 거동에 관한 것이다. 총 10개의 실대형 실험체를 철골보 춤, 속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춤, 슬래브 유효폭, 및 콘크리트 슬래브의 지지방식 별로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매입형 합성보의 경우, 별도의 전단연결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자체가 가지고 있는 기계적 화학적 부착응력으로 인해 완전합성보에 비해서 0.48~0.98의 전단합성비를 나타내었다.

실험을 통한 프리캐스트-프리스트레스트 중공슬래브의 전단강도 (Evaluation of Shear Strength of Precast-prestressed Hollow Core Slabs Based on Experiments)

  • 한상환;문기훈;강동훈;임주혁;김용남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635-642
    • /
    • 2014
  • 일반적인 슬래브대신에 중공슬래브를 사용함으로 콘크리트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다. 하지만 중공슬래브는 복부에서 콘크리트단면의 감소와 전단철근을 배근할 수 없기 때문에 전단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프리캐스트-프리스트레스트 중공슬래브를 실험을 기반으로 전단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전단강도실험은 6개의 실험체를 제작하고 수행하였으며, 전단강도는 현행기준인 EC2, ACI, EN1168, AASHTO로 평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트리플 리브 슬래브의 전단성능 (Shear Capacity of Precast Concrete Triple Ribs Slab)

  • 황승범;서수연;이강철;이석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489-496
    • /
    • 2016
  • 최근, 건물의 자중을 저감시킴으로서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중공 PC슬래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중공 PC슬래브인 HCS는 생산방식 특성상 전단보강근의 배근이 어렵기 때문에 안전성 및 사용성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최근 새로운 형태의 부분 PC 슬래브 시스템인 Tripple Ribs Slab (TRS)가 개발되었다. TRS는 전단보강근의 배근이 가능한 하프PC형 중공슬래브이다. 본 연구에서는 TRS의 전단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전단실험을 진행하였다. 시공단계별로 형성되는 단면조건에 대하여 비대칭 1점 가력으로 실험하였으며 실험결과 강도를 기준 식들과 비교하였다. 실험에서의 변수는 CIP 유무와 래티스바의 유무 또는 래티스바의 종류이다. 실험으로부터, TRS는 설계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전단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실험체의 강도는 국내콘크리트구조기준에서 제시하는 일반식으로 적절하게 예측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IP가 타설되지 않은 시공단계에서는 래티스바의 기여도가 현저히 낮기 때문에 래티스바의 전단강도를 제외하고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Hollow core 슬래브 간 접합부의 전단저항성능 평가 (Shea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Joint between Hollow Core Slabs)

  • 홍건호;백종삼;박홍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94-101
    • /
    • 2010
  • 최근 건설공사의 공기단축을 위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 내부에 중공을 설치하여 중량을 감소시킨 할로우코어 슬래브 간의 접합부 전단성능 평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의 주요 변수는 할로우코어 슬래브 상부의 토핑콘크리트의 두께와 와이어메쉬의 배근유무이며, 총 8개의 슬래브간 접합부 실험체 중 4개의 면내전단실험과 4개의 면외방향 전단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균열하중, 파괴하중, 파괴양상, 강성 및 연성도의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실험결과를 설계하중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최적의 디테일을 개발할 수 있는 실험적 근거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실험결과, 슬래브 간 접합부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타설한 경우에는 토핑두께 30mm의 보통 콘크리트를 사용한 것과 유사한 구조성능을 발현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와이어메쉬의 보강효과는 내력 및 강성보다는 연성의 증가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핑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른 설계하중과의 비교를 통하여 적절한 디테일 설계를 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