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9초

보육컨설팅에 관한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A Study on the Awareness, Request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on Childcare Consulting)

  • 정은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564-58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childcare consulting scholarship which will be expanded completely in the future by examining awareness on childcare consulting, requests for childcare consultant, operation method of childcare consulting and tendency and meaning of childcare consulting for 500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ho are attending senior classes of departments related to childcare teachers in Busan. The results of research, obtained by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In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on childcare consulting, they replied that they know concept and method of childcare consulting well. Also, qualifications of childcare consultant are actual knowledge and technology related to childcare process, they wanted consultants to provide ideas about class technology and problems which are expected among the consultants are lack of time by heavy works, etc. As expanded in the aspects of educational necessities an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ystem as the awareness or publicity of childcare consulting is insufficient.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사용의도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metaverse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홍현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533-541
    • /
    • 2022
  • 코로나19로 인해 교육 현장에서는 비대면 수업이 정착되었다. 이에 온라인 수업, 블렌디드 러닝 등의 방법이 도입 되었으며, 학습자와 교수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메타버스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메타버스는 비대면 방식에서 나타난 물리적 환경에서 오는 교육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어 초등교육 학습자들에게 보다 적합한 교육 방안이 될 수 있다. 메타버스를 교육 현장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들의 사용의도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에 기반하여 예비교사의 교육역량과 메타버스 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대한 유연성, 교수효능감,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의 영향 요인을 살펴보았다. 예비교사 2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최종 수집된 18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의 메타버스 교육역량 중 유연성과 TPACK은 인지된 용이성을 매개하여 메타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였다. 이와 관련 논의와 예비교사들의 메타버스 사용의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현실충격과 학교소진이 진로탐색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ality Shock and School Burnout on Career Search Self-Efficacy)

  • 이해정;엄세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245-25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의 진로탐색 측면에서 개인적 변인인 학교소진과 환경적 변인인 현실충격이 예비유아교사의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195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및 Pearson 적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현실충격, 학교소진, 진로탐색효능감의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현실충격과 학교소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 현실충격과 진로탐색효능감, 학교소진과 진로탐색효능감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현실충격, 학교소진이 진로탐색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진로탐색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교직인성, 그릿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ivation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Teaching Personality, Grit on Flourish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민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957-969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교직인성, 그릿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경기도 H시에 소재한 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112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각 변인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교직인성, 그릿은 행복플로리시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의 크기는 교직인성이 나머지 두 변인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직선택동기, 교직인성, 그릿의 하위요인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능동적 동기 및 수동적 동기, 보편인성, 노력의 꾸준함 요인이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교직선택동기 및 인성, 그릿의 향상을 통한 행복플로리시 증진 프로그램 설계 및 이의 검증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예비 초등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Designing and Implementing Integrated Lesson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 최영미;홍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287-304
    • /
    • 2019
  • Teaching with technology has been widespread in practical classroom settings, and increased the needs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capability with a variety of technolo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cused 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training program to develop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which promotes them use technologies tactically in integrated science classe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PACK and Practitioner's Guide to TPACK, the authors developed ten periods of lessons comprised instructional skill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Subsequently, the program was applied into a teacher trainee course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PACK training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attitude toward convergence, TPACK,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the engaged participants. The developed program, meanwhile, caused a significant TPACK improvement of female participants of the teachers college more effectively. Furthermore, it mitigated the gap between science and humanity tracks coming from their high schools. Consequently, there are possibilities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for integrated classes, if they have opportunities to review the comprehensibility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intersected areas with metacognitive perspectives.

초등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과학관 활동지의 유형 및 요건, 필요성에 대한 관점 분석 (An Analysis of Types of Science Museum Worksheets developed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Perspectives on the Requirements and Necessity)

  • 김동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2호
    • /
    • pp.150-165
    • /
    • 2016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ypes of science museum worksheets developed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perspectives on the requirements and necessity of science museum worksheets. As analysis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38 kinds of worksheets and reports developed by 114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in the third year of university of education. In this study, the science museum selected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o develop worksheets was a national science museum, composed of 'Nature and Discovery Museum',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Museum' and 'Children's Museum', which was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and opened in 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ience museum worksheets developed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experience type with hands-on and observation techniques applied was most, and as an approach method, direct manipulation, look-in observation and close observation were most. However, although these science museum worksheets were experience-oriented, many of them were survey-oriented ones that suggested too many questions through various exhibit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requirements of science museum worksheet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ought and described through the word tree of NVivo 10, this study extracted 10 kinds of main themes, out of which the requirement, 'A limited amount of activity should be required',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cessity of science museum worksheet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ought and described through the word tree of NVivo 10, this study extracted 9 kinds of main themes, out of which the opinion, 'It is required to help students check an exhibit which may be passed by', was most.

유아교육 전공연계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in Major-associated Service-learning)

  • 최미정;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281-28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전공연계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I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 재학생 8명으로, 해당 예비유아교사들은 2018년 1학기에 유아교육과 전공 교과목인 <악기활용지도>를 수강하면서 전공연계 봉사학습에 참여했다. 전공연계 봉사학습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가 작성한 성찰일지를 분석했으며, 분석 결과 전공연계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은 전공연계 봉사학습에 대한 의미, 구체적인 수업 계획의 중요성, 전문성 있는 수업진행의 중요성, 교수효능감의 증진의 네 가지 의미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 전공연계 봉사학습에 참여함으로서 지식과 행동 및 가치 태도 측면에서의 바람직한 변화와 함께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상호호혜성과 민주주의의 가치를 경험했음을 보여준다.

An Investigation of the Visual-Mental Capability of Pre- 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 Tale of Two Cones and One Cube

  • Barkai, Ruthi;Patkin, Dorit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41-54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isual-mental capability of pre-service 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s well as academicians making a career change to mathematics teachers with regard to manipulations of two geometric shapes (from 2- to 3-dimensional). Moreover, it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visual-mental capability of these participant groups. Findings illustrate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demonstrate an adequate visual capability relating to the task dealing with a cube. Conversely, very low percentage of participants manifested a visual-mental capability in a task requiring the identification of a solid resulting from rotation of a square page, whose diagonal serves as the rotation axis. The study indicates that learners' high visual view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enhance their visual-mental capability.

A Narrative Inquiry int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s Presented in Microteaching Lessons

  • Chung, Choong-Duk;Kang, Kyung-He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405-1416
    • /
    • 2012
  •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is presented during the microteaching proc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 students who attended a lecture course on science teaching methods offered by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t a national university. The simulated lessons that were performed during the microteaching process went through peer assessment and self-assessment. Then, the next set of lesson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s. After the first set of simulated lessons, th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 at the routine and technical levels was most remarkable in the focus dimension. In the inquiry and change dimensions, technical reflection stood out. Dialogic or transformative reflection was rarely presented. In addition,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displayed mingling patterns of reflection levels in all of the three dimen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particular, prove that microteaching has a high level of applicability in terms of reflective thinking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subsequent studies to create a new model that can encourag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by structuralizing peer and self-assessment during the process of microteaching.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앱 활용 수학 수업을 위한 예비교사의 TPACK과 의사소통 능력 신장 방안 (Development of TPACK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in math classes using apps for group creativity)

  • 김부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95-22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가 고등학생들의 집단창의성 신장을 위한 모바일 수학 학습 콘텐츠인 애플리케이션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E-learning 고등수학"을 활용하여 사범대학 정규교육과정에서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을 함양하고 수학 수업에서 학생과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학수업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사전교육, 목표설정, 수업계획, 수업실습, 수업평가 단계로 구성된다. 이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테크놀로지 도구를 평가하였고, 앱의 두 활동에서 고등학생들이 집단창의성을 발현하도록 지도하기 위해 과제대화록, 레슨 플레이, 반성적 저널,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다. 교육프로그램 적용 결과, 예비수학교사의 TPACK을 함양할 수 있었고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학생과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