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1초

'좋은 수업'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와 관련하여 - (A Study on Perception of Good Instruction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 엄미리;김명랑;박인우;장선영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107-132
    • /
    • 2009
  •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좋은' 이라는 용어가 갖는 상대성, 복합성, 상황성 등으로 인해 좋은 수업에 대해 정의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수업'은 학교교육의 핵심적인 활동이며 '좋은' 학교 만들기의 전제이자, 학교교육 개혁의 출발점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좋은 수업'의 반대급부로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에 대한 개방형 질문지를 바탕으로 현직교사 150명, 교사와 학생의 중간 입장에 있는 예비교사 160명의 인식 차이를 통해 좋은 수업의 의미를 도출해 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Nvivo 8.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교사가 인식하는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는 단일수업기법적용, 지시적 수업, 비체계적인 수업진행, 교수역량부족, 성적 및 경쟁 중시 수업, 상호작용 부족, 학생수준 비고려, 비인격적 행위, 환경 열악 및 지원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는 단일수업기법적용, 비체계적인 수업진행, 교수역량부족, 지시적 수업, 비인격적 행위, 성적 및 경쟁 중시 수업, 학생수준 비고려, 상호작용 부족, 환경 열악 및 지원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에 대해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통합 빈도 순위는 단일수업기법적용, 비체계적인 수업진행, 지시적 수업, 교수역량부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현직교사에게는 자신의 수업 전문성을 되짚어보고 학생에 대해 그리고 수업에 대한 태도를 반추해 보는 준거로, 예비교사는 앞으로 체계적인 수업을 설계하고 좋은 수업을 이끌어갈 수 있는 실제적인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와 공감능력이 아동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thics and Empathy on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 좌승화;엄세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281-286
    • /
    • 2023
  • 우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97명을 대상으로 교직윤리와 공감능력이 아동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질 높은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인성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와 공감능력 및 아동권리인식의 인식 정도를 살펴본 결과 교직윤리, 아동권리인식, 공감능력 순으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교직윤리와 아동권리인식, 공감능력과 아동권리인식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와 공감능력이 아동권리인식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직윤리 중 사회윤리가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에서 교직윤리와 공감능력이 효과적임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우리의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지녀야 할 바람직한 교사의 인성 함양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예비 초등 교사의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 on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 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2호
    • /
    • pp.145-160
    • /
    • 2012
  • Prospective teachers need to have an opportunity to critically examine their initial perception with regard to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during the teacher education period.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in relation to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by a total of 265 prospective teachers from four institutes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using a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regarded learn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election of content, and construction of curriculum as important for high-quality mathematics instruction. However, they revealed relatively low levels of agreement against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al materials, classroom environment and atmosphere, and assessment. On the basis of teachers' perception on each element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this paper raises issues for discussion and includes som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초임 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 인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Work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Childcare Teachers)

  • 최연화;김양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35-153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otivation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of newly-appointed childcare teachers would predict work adjustment, and to understand the mediating role of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Method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 regression, and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of act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when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work adjustment. Second, act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in relation to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were the variables that could predict the work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teachers. Third,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newly-appointed teachers had partial-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motivation in relation to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work adjustment, as well as on the complete-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motivation and work adjustment. Implications: The training institute should strengthen education that could foster active motivation of pre-service teachers, and daycare centers should establish a cooperative workplace culture for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teachers.

초등 예비교사의 협력 과학수업이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지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eam Teaching on Science Learning of Pre-Service Teachers on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and Scientific Knowledge)

  • 이용섭;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41-3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교재연구' 강좌를 수강하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실험처치 후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 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과 교재연구' 강좌를 수강하는 심화과정 4개 반(118명)을 대상으로 9월 초에서 12월까지 실험처치를 하였다. 실험처치는 한 학기의 교재연구 및 교수법에 대해 교육을 하는 것이며, 초등예비교사들이 모둠별 과학협력 수업을 시연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분석은 집단의 전-후 검사에서 대응 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강좌 수강 후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교수효능감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강좌 수강 후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지식 습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시연에서 예비교사의 수업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예비교사들은 교수설계의 원리에 의한 과제분석으로 과학과 과정안(세안)을 작성하였으며, 수업에 대한 올바른 마인드 함양과 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과학 교수효능감, 과학교육 목표, 과학교수 방법을 중심으로 (The Perception about Science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Focused on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Goals and Methods -)

  • 김지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91-697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well pre-teachers in preschools aware the importance of science teaching methods, goals and efficacy, and how different the pre-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ethods and goals in science teaching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s were 207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in Chonnam University and Chonbuk University.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ree questionnaires("Science teaching efficacy", "Science teaching goal" and "Science teaching method"). The data were analyzed by a t-test and descriptive statistic.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icacy levels of the pre-teachers are higher than the average. The pre-teachers perceive a 'process-oriented' goal more importantly than a 'content-oriented' goal in early science education. Also, they recognize science teaching methods as being significant in the order of an 'interactive' approach, an 'activity-discovery' approach and a 'knowledge-transmission' approach. Second, the pre-teachers with high teaching efficacy recognize a 'process-oriented' goal as being more important than those with low teaching efficacy do.

보육전공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직업가치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Value on the Major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Childcare)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99-206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보육전공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직업가치가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시에 소재한 예비보육교사 28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실시하였으며 변인별 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하여 첫째, 보육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자기효능감에서는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이, 직업가치에서는 내적가치가, 전공만족도에서는 일반만족과 인식만족애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전공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직업가치, 전공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전공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직업가치가 전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보육전공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질 높은 보육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자기효능감과 올바른 직업가치가 형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프트웨어교육 교과에 관한 예비교원들의 인식 실태조사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Software Education)

  • 박판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101-105
    • /
    • 2021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라 전 세계의 많은 국가들은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산업구조의 변화뿐만 아니라 전문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의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변화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로 컴퓨터 중심의 지능정보사회로의 변화를 준비하고 이끌어나갈 수 있는 인재를 길러내기 위하여 소프트웨어교육을 교육과정의 핵심영역으로 반영하고 미래역량으로 도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원들의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초등학교 정보교육에 대하여 갖고 있는 방향성과 생각을 분석하여 교과의 필요성과 추진방향 등을 살펴본다. 예비교원들의 응답을 토대로 SW교육이 학교현장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대해 프로젝트기반 학습이 필요하다고 조사되었으며, 평가는 관찰평가를 통해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예비교원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SW교육은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 PDF

야외지질학습에 대한 예비 중등 지구과학 교사의 인식 탐색 (Exploring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on Geological Field Trip)

  • 최윤성;김찬종;최승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91-302
    • /
    • 2018
  • 이번 연구는 예비 중등 지구과학 교사의 야외지질학습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여 야외지질학습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 소재 대학교 예비 중등 지구과학교사 39명을 대상으로 야외지질학습의 필요성, 교육적 가치, 야외지질학습을 위한 교육적 경험, 야외지질학습을 교수하기 위한 지도방법, 예비교사 단계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에 관해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4명의 예비 중등 지구과학교사와는 추가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는 성별과 학년에 유의미한 차이 없이 야외지질학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야외지질학습에 대한 교육적 가치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야외지질학습을 위한 교육적 경험에 관한 문항에서는 모든 예비교사들이 야외지질답사 경험이 있다고 하였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경험의 횟수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야외지질학습 지도 방법에 관한 문항에서는 야외지질학습의 목적에 대해서 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고, 새로운 수업 모듈을 개발해야한다는 문항에서는 남녀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야외지질학습을 실행하기 위해 예비교사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은 지질학적인 지식, 야외답사 경험, 야외지질학습을 지도하기 위한 새로운 교수법에 관한 것이다. 이번 연구는 야외지질학습을 실행하기 위해 교사 양성단계에서 필요로 교육을 포함하여 야외지질학습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물의 순환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지구 시스템적 인식 (The Earth Systems Perceptions about Water Cycle of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정진우;김윤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4호
    • /
    • pp.319-32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물의 순환에 대해 학습하는 학생들의 개념과 지구 시스템 사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밝히는 것이다. 초등 예비 교사 131명을 대상으로 개념 그리기 방법을 적용하여 물 순환의 구성 요소로 응답한 개념들을 지구 시스템의 하위계인 수권, 기권, 지권, 생물권의 범주로 코딩하고, 물의 순환 과정으로 응답한 요소들로부터 지구 시스템 하위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을 지구 시스템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예비 교사들은 물 순환의 구성 요소를 주로 기권과 수권에서 인식하고 지권의 작용과 생물권의 영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물의 순환 과정에서 모든 예비 교사들이 강수를 인식하였고 대부분 증발과 응결에 대한 인식을 표출하였으며, 지표에서의 흐름을 다수의 예비 교사들이 응답한데 반하여 지하에서의 흐름에 대한 표출이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