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drying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8초

세라믹 건조공정 시뮬레이션 시스템 (The simulation system for ceramic drying processes)

  • 금영탁;김준한;오근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0-126
    • /
    • 2001
  • 세라믹 제품의 건조공정을 해석 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해석 시스템은 전처리 프로세서, 해석 모듈, 후처리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있다. 전처리 프로세서에서는 세라믹 제품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고 유한요소 메쉬를 생성하며, 해석 모듈의 입력 데이터를 만드는 과정을 수행한다. 해석 모듈에서는 유한요소 메쉬의 절점과 요소에 관한 정보, 물성치, 경계조건을 이용하여 건조공정중의 온도, 습도, 응력, 변형률 등을 해석한다. 그리고 후처리기에서는 설계자가 해석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석결과 데이터를 가시화 해준다.

  • PDF

건조 공법에 따른 해저 파이프라인 내부 상대습도 변화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nge of Relative Humidity in Subsea Pipeline According to Drying Method)

  • 양승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406-413
    • /
    • 2022
  • 해저 파이프라인 예비커미셔닝(Pre-commissioning) 단계는 입수(Flooding), 배수(Venting), 하이드로테스팅(Hydrotesting), 탈수(Dewatering), 건조(Drying), 질소충진(N2 Purging)의 공정과정으로 구성된다. 이 중 건조와 질소충진 과정은 운용 중 파이프라인 내부에 하이드레이트(Hydrate)의 발생과 가스 폭발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습도를 이슬점 아래로 감소 및 유지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저 파이프라인 예비커미셔닝 중, 공기건조(Air Drying)와 질소충진 공정과정에 대한 해석법을 개발하고 현장계측 결과와의 상호 비교를 통해 해석법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해저 파이프라인 내부 상대습도 평가를 위한 방법으로 전산열유체(CFD)를 활용한 해석기법을 도입·적용하였고 해양공사 해저 파이프라인 공기건조와 질소충진 공정과정에 대한 현장계측 결과와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공기건조와 질소충진 해석법 및 평가방법을 향후 해저 파이프라인 예비커미셔닝 작업의 사전 엔지니어링 도구로 활용할 경우, 작업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처리 방법이 생강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on the Quality of Ginger during Storage)

  • 정태연;정태연;남궁배;이세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
    • /
    • 1999
  • Fresh gingers, harvested in Seosan, Choongcheongnam-do, were pre-treated by a washing-pasteurizing-drying process, a curing process, and non-treated, respectively. Then they were stored in a lab-scale storage room(12$^{\circ}C$, >92%RH)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on the quality changes during long-term storage. Weight loss of ginger during storage showed ranges in 0.7∼4.3%, and the weight of gingers pre-treated by washing-drying process showed a tendency to change less than those treated by curing. After storage of 130 days, spoilage rates were about 20% in non-treated, 11% in curing treated, and 12% in washing-drying treated ginger,, showing the effect of pre-treatment. The final rate of sprouting was 13∼15% regardless of treatment methods. The firmness of ginger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stored ginger for the longer period; however, the values were ranged from 1,200 to 1,400 g/$\textrm{cm}^2$, that is hard enough to show a marketable quality.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the lapse of storage time.

  • PDF

예비천연건조가 잣나무 중목구조부재의 고온저습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erve Air-Drying of Korean Pine Heavy Timbers on High-temperature and Low-humidity Drying Characteristics)

  • 이창진;이남호;박문재;박주생;엄창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49-57
    • /
    • 2014
  • 최종함수율은 예비천연건조를 수행한 시험재에서 더 균일하게 건조가 가능하였으며, 예비천연건조 후 고온저습건조시 최종함수율은 초기함수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재면할렬 억제 효과는 예비천연건조를 수행한 시험재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예비천연건조 중 발생된 재면할렬에 의한 영향이 크기 때문에 예비천연건조 중할렬발생 억제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부분엔드코팅은 내부할렬, 표면경화율, 비틀림, 수축율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천연건조는 고온저습건조 중 내층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감소시켜 내부할렬의 발생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표면경화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틀림의 경우 함수율감소에 따른 수축으로 인하여 비틀림의 정도가 증가되었다.

세탁의 탈수와 건조과정 중 면직물의 수분전달특성 및 미생물 분석 (Analysis of Microorganisms and Water Transport Properties of the Cotton Fabrics through Dehydration and Drying Process during Washing)

  • 최해운;박명자;차옥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5호
    • /
    • pp.578-58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residual water retention and to determine the number and species of microorganisms from the wet cotton fabrics in dehydration and drying process during washing. The drying rates of terrycloth and interlock knit under the rainy season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dehydration and hanging methods, layers of fabric and pre-treatment agents.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the dried terrycloth by pure culture, and were identified by Biolog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initial water retention of fabrics after dehydration decreased in the order of dripping>centrifuge>squeezing method, which affected the drying rate. The drying rates were faster by increasing surface area of fabri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ying rate among the fabrics pre-treated with detergent, or fabric softener, or cationic surfactants such as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CTAB) and Benzalkonium chloride(BC). Puedomonas aureginosa was found in the fabrics treated with a powder-type detergent. On the other side, there was no growth of microorganism in the fabrics treated with a liquid-type detergent (containing antibacterial agent), CTAB and BC.

  • PDF

전평삭처리(前平削處理)가 물참나무의 건조속도(乾燥速度)와 건조결함(乾燥缺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resurfacing on drying rate and drying defect of Quercus grosseserrata BI.)

  • 한규성;정희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29-39
    • /
    • 1986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surfacing, both 25mm rough and pre surfaced oak boards (Quercus grosseserrata BI.) were dried in the same dry kiln condition. Drying curves, drying strains and drying defects of rough and presurfaced boards were compared. The results obatained are as follows. 1. Average drying rate of rough and presurfaced boards from green to 10% M.C. was 0.276%/hr. and 0.284%/hr., respectively. 2. At the early stage of drying, in case of rough boards, maximum tensile strain of outer slices was $-24.2{\times}10^{-4}$mm/mm and maximum compressive strain of innermost slices was $13.0{\times}10^{-4}$mm/mm, and in case of pre surfaced boards, maximum tensile strain of outer slices was $-14.5{\times}10^{-4}$mm/mm and maximum compressive strain of innermost slices was $28.1{\times}10^{-4}$mm/mm. And in both cases, stress reversal occurred at about 40% M.C.. 3. Maximum surface checking appeared at about 40% M.C.. Of the 10 rough boards. 6 hoards contained surface checks, but presurfaced boards did not contained surface checks after drying. And the results of end checking were similar to those of surface checking. But, honeycomb was not found in both cases. 4. Board shrinkage. warp and casehardening of presurfaced boards were similar to those of rough boards. But, collapse of prsurfaced boards was less than that of rough boards.

  • PDF

동결 전처리가 매실의 착즙과 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ezing Pretreatment on Juice Expression and Drying Characteristics of Prunus mume Fruit)

  • 정헌식;김한수;이영근;성종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07-512
    • /
    • 2010
  • 매실(Prunus mume)의 착즙과 건조 특성에 동결 전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매실을 동결처리($-20^{\circ}C$)하거나 처리하지 않고 착즙수율과 주스의 품질특성 및 건조속도와 분말의 품질특성을 각각 측정하였다. 매실의 착즙수율과 건조속도는 동결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압착주스와 건조분말의 L과 b값 및 a값은 동결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고 높은 수준을 각각 보였다. 압착주스와 건조분말의 유리당과 유기산 함량은 동결 전처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주스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 적정산도 및 pH는 동결 전처리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동결 전처리는 매실의 착즙과 건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지만 착즙액과 건조분말의 갈변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열 전처리 조건이 상황버섯 차의 추출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eating Conditions on Extraction Yield of Phelinus linteus Tea)

  • 박민경;김철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53-65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지상재배 방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상황버섯을 차로 개발하기 위하여 용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열 전처리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연 건조한 상황버섯을 건조오븐과 hot plate에서 온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가열 전처리하고 분쇄한 후 일정량을 티백에 넣어 열수 추출하고 용출성 변화를 흡광도, 건조 고형분 함량, 색도 등을 측정하여 알아보았다. 건조오븐에서 가열할 경우, $70^{\circ}C{\sim}80^{\circ}C$에서 30분 가열 전 처리한 시료의 흡광도 및 건조 고형분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반면, hot plate를 이용할 경우, 건조오븐에서 가열 전 처리한 시료의 증가폭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90^{\circ}C$에서 20분 가열 전 처리한 시료의 흡광도 및 건조 고형분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상황버섯 차의 색도변화는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밝기와 적색도가 감소하고 황색도가 상승하였으며 건조오븐에서의 가열 전 처리가 hotplate에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먼저 나타난다. 건조오븐을 이용하여 가열 전 처리한 시료를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70^{\circ}C$$80^{\circ}C$에서 30분 가열 전 처리한 상황버섯 차가 가열처리 하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종합적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건조오븐을 이용하여 $70{\sim}80^{\circ}C$에서 30분 가열 전 처리하는 것이 상황버섯 차의 용출성 증대 및 기호도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또한 일정기간 보관하면서 탁도를 측정한 결과 상황버섯 차가 보리차 및 옥수수차와 비교하여 보존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Water Absorption and Dimensional Stability of Heat-treated Fast-growing Hardwoods

  • PRIADI, Trisna;SHOLIHAH, Maratus;KARLINASARI, Lina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567-578
    • /
    • 2019
  • A common problem with fast-growing hardwoods is dimensional instability that limits use of their wo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e-drying methods, temperatures, and heating duration on the specific gravity, water absorption, and dimensional stability of three tropical fast-growing hardwoods, jabon (Neolamarckia cadamba Roxb.), sengon (Falcataria moluccana Miq.), and mangium (Acacia mangium Willd.). Wood samples were pre-dried by two methods (fan and oven at $40^{\circ}C$), and heat treatments were performed at three temperatures (120, 150, and $180^{\circ}C$) for two different time periods (2 and 6 hours). The specific gravity, water absorption, dimensional stability, and structural changes of the samples were evalu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heat treatments slightly reduced the specific gravity of all three wood species. In addition, the heat treatments reduced water absorption and significantly improved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samples. Oven pre-drying followed by heat treatment at $180^{\circ}C$ for 6 hours resulted in good physical improvement of jabon and sengon wood. Fan pre-drying followed by heat treatment at $180^{\circ}C$ for 2 hours improv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mangium wood. The heat treatment shows a promising technique for improv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 of fast growing hardwoods.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추출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의 건조 방법 (Method for Drying of Crude Extract Obtained by Biomass Extraction Using an Ionic Liquid)

  • 김슬기;김진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374-379
    • /
    • 2016
  • 이온성 액체를 보조용매로 이용할 경우 바이오매스로부터 파클리탁셀의 추출 효율은 획기적으로 개선되지만 잔류 이온성 액체로 후속 농축 및 건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정 효율 향상을 위하여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추출물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다. 추출물을 물로 전처리하고 추가적으로 세척함으로써 잔류 이온성 액체 제거를 통해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었다. 물 전처리을 위한 최적의 시료/물 비, 혼합시간 및 추가세척을 위한 최적의 시료/물 비는 각각 1:70 (w/v), 4분, 1:100 (w/v)이었다. 또한 진공 건조보다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의 경우 건조시간을 9배 정도 단축 가능하여 공정 효율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