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wdery mildew fungi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에서 흰가루병에 대한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의 새로운 기주 (New Hosts of Ampelomyces quisqualis Hyperparasite to Powdery Mildew in Korea)

  • 이상엽;김용기;김홍기;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83-190
    • /
    • 2007
  • 우리나라에서 1994년부터 2004년까지 73 식물체의 흰가루병균으로부터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를 308 균주 분리하였다. 그중에서 A. quisqualis의 새로운 균기주(mycohost)와 식물기주(plant host)는 38 식물체에서 흰가루병균 8 속(Erysiphe, Sphaerotheca, Microsphaera, Phyllactinia, Podosphaera, Uncinula, Uncinuliella, Oidium) 13종이 발견되었다. A. quisqualis의 새로 발견된 기주는 어수리의 흰가루병균(Erysiphe heraclei), 꽃향유의 흰가루병균(E. hommae), 콩의 흰가루병균(E. glycines), 싸리의 흰가루병균(E. lespedezae), 모시물퉁이의 흰가루병균(E. pileae), 녹두의 흰가루병균(E. pisi), 토대황과 소리쟁이의 흰가루병균(E. polygoni), 쑥의 흰가루병균(Golovinomyce artemisiae), 삼잎국화의 흰가루병균(G. cichoracearum), 꼭두서니의 흰가루병균(G. rubiae), 쥐오줌풀, 가는잎왕고들빼기, 두메담배풀, 흰까실쑥부쟁이, 수세미오이, 씀바귀, 풀협죽도, 도깨비바늘과, 담쟁이덩굴의 흰가루병균(Oidium sp.), 갈참나무의 흰가루병균(Microsphaera alphitoides), 댕댕이덩굴의 흰가루병균(M. pseudolonicerae), 쥐똥나무의 흰가루병균(Podosphaera sp.), 딸기의 흰가루병균(Sphaerotheca aphanisi), 물봉선의 흰가루병균(S. balsaminae), 국수호박, 쥬키니호박, 단호박, 관상용호박, 곰취, 가지, 박, 참외, 깨풀, 코스모스와 참취의 흰가루병균(S. fusca), 찔레꽃의 흰가루병균(Uncinuliella simulans)과 배롱나무의 흰가루병균(Uncinula australiana)이다.

오이 흰가루병 생물적 방제를 위한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 94013의 선발 및 동정 (Se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a Hyperparasite,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for Biocontrol of Cucumber Powdery Mildew)

  • 이상엽;홍성기;김용기;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1-127
    • /
    • 2007
  • 국내에서 73종의 식물에서의 흰가루병균에서 중복기생균인 Ampelomyces 속 308 균주를 분리하였다. 팥의 흰가루병균에서 분리한 AQ94013 균주는 오이 흰가루병균에 가장 기생력이 우수한 균주로 선발되었다. 94013 균주의 병자각은 담갈색이나 다갈색이며, 구형이나 긴 서양배 모양으로, 그 크기는 $52.5{\sim}82.5{\times}35.0{\sim}47.5$(평균 $62.5{\times}40.5){\mu}m$이다. 병포자는 옅은 갈색의 단세포이며, 세포안에 유적이 보이고, 곧은 원통모양의 방추형이며, 크기는 $5.0{\sim}8.0{\times}2.5{\sim}4.3$ (평균 $6.0{\times}3.0){\mu}m$이다. 그러므로 AQ94013 균주는 형태학적 및 분자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에서 Ampelomyces quisqualis로 동정하였다. 또한 Ampelomyces quisqualis 94013균주는 기 상업화한 Ampelomyces sp. AQ10균주 등의 rDNA ITS sequence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서 다른 균주임이 증명되었다.

Phyllactinia corylea (Pers.) Karst에 의(依)한 가중나무 흰가루병(病) (Notes on Powdery mildew of Ailanthus altissima caused by Phyllactinia corylea (Pers.) Karst)

  • 김기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13
    • /
    • 1965
  • Powdery mildew of Ailanthus altissima Sw. was first reported by J.S. Park in Korea, 1961. According to his report, this disease was found on the leaves of this tree species collected in Jeongup, 1957, and in Taejon, 1958. He describe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is pathogen and described also that the causal fungus may be closely related with Phyllactinia corylea. This disease which appears dusty grayish yellow molds under surface of leaves was collected again by the author in Kwangju, 1962. The present works were undertaken to make clear the species of causal fungus by means of the morphology and pathogenecity. According to the following results, the pathogen was identified as Phyllactinia corylea (Pers.) Karst.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fungus Mycelia persistent or more or less evanescent; matured conidia solitary, aseptate, short-clavate to clavate to clavate, hyaline or yellowish, granulate, $44.6-89.2{\times}9.3-24.2{\mu}$, average $64.8-17.8{\mu}$ in size; conidiophores elongate clavate or columnar, hyaline, 2-3 septate, $122.8-346.0{\times}3.7-7.4{\mu}$, average $208.8{\times}6.3{\mu}$; per-thecia usually scattered, rarely gregarious, dark brown to black, depressed globose to globose, $223.2-297.6{\mu}$, average $267.8{\mu}$ in diameter; appendages 12-19, usually 15 in number, hyaline, straight, needle-shaped, sharply pointed at the apex and bulbous at the base, aseptate, $93.0-310.0{\times}5.0-8.0{\mu}$, average $173.3{\times}6.4{\mu}$ in size; asci elongate ellipsoidal to broadly clavate, hyaline, more or less stalked, 8-13 in number, $68.5-76.6{\times}26.1-34.2{\mu}$, average $71.4{\times}29.0{\mu}$ in size; ascospores 2-4, usually 2 in number, hyaline or yellowish, aseptate, ellipsoidal or ovate, $27.7-34.2{\times}14.7-17.9{\mu}$, average $25.5{\times}13.9{\mu}$ in size. Pathogenicity of the fungi In order to make clear the species of the fungus and the pathogenic differences of Phyllactinia fungi which are collected around the contaminated area and seemed to be related to Ailanthus powdery mildew, some inocul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1. Cross inoculation to several tree species with their pathogen: Tested materials; Phyllactinia in question on Ailanthus altissima Sw. Ph. fraxini (DC.) Homma. On Alnus firma S. et Z. Ph. moricola (P. Henn.) Homma on morus alba 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reactions were all negative with the exception of the original hosts of tested fungi. 2. Inoculation to Picrasma ailanthoides Planch. : The appearance of symptom on the leaves of P. ailanthoides is not distinct, but more or less mycelial growth. Therefore, under the optimal condition in glass chamber, it may be possible to success artificially.

  • PDF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Bacillus subtilis KB-401의 방제 효과 (Controlling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KB-401 against Cucumber Powdery Mildew Caused by Sphaerotheca fusca)

  • 남명흔;최재필;김형조;이재준;임근환;김영권;김흥태;전용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9-53
    • /
    • 2010
  • 다양한 식물병원균의 균사 생육을 억제하는 Bacillus subtilis KB-401을 수화제의 형태로 제제하여, 오이를 재배하는 하우스에서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실험하였다. B. subtilis KB-401을 제형화한 미생물 제제는 1000배로 희석하여 처리하였을 때, 250배와 500배로 희석하여 살포한 처리구보다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저조하였다. 하지만 250배와 500배 희석액 처리구의 방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B. subtilis KB-401의 미생물제제는 흰가루병이 발생하기 전 또는 발생 초기에 처리하여야만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며, 발병 중기 혹은 후기에 사용할 경우에는 방제효과가 크게 감소하였다. 미생물 제제를 처리하는 간격은 오이 흰가루병 방제효과에 영향이 없었다. 충남 아산시의 오이 재배 하우스에서 B. subtilis KB-401의 미생물 제제를 500배로 희석하여 10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였을 때 83.8%의 병 방제 효과를 얻었다.

온도(氣溫)에 따른 흰가루병균(病菌) 분생포자(分生胞子) 크기 측정도(測定直)의 변화(雙化) (Change in Size Measurements of Powdery Mildew Conidia in Relation to Air Temperature)

  • 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9-314
    • /
    • 1992
  • 분생포자 형성 양식에 따라 3 대별된 흰가루병균을 각각 3 종씩 총 9 종을 대상으로 1991년 5월부터 11월까지 채집하였다. 그 중 양지꽃 횐가루병균(Sphaerotheca aphanis), 왕고들빼기 흰가루병균(S. fusca), 장미 흰가루병균(S. Pannosa)은 기온의 변화에 무관하게 년중 분생포자 크기가 비슷하였으며, 장폭비도 뚜렷한 변화 양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쑥 흰가루병균(Erysiphe artemisiae)과 질경이 횐가루병균(E. sordida)은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분생포자의 장폭비가 증가하였으며, 돼지풀 흰가루병균(E. cichoracearum)은 기온이 하강할수록 분생포자의 장폭비가 증가하였다. 댕댕이덩굴 흰가루병균(Microsphaera pseudolonicerae)은 기온의 하강에 따라 분생포자의 폭이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라 장폭비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경향의 변화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갈참나무 흰가루병균(M. alphitoides)과 아까시나무 흰가루병균(M. robiniae)은 기온의 변화와 무관하게 분생포자 측정치의 변화가 심했다. 특히 댕댕이덩굴 흰가루병균은 기온의 영향으로 가장 뚜렷한 변화를 나타냈으므로 앞으로 이 연구의 좋은 소재로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Compost Tea Making from Differently Treated Compost on Plant Disease Control

  • Tateda, Masafumi;Yoneda, Daisuke;Sato, Yukio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1-98
    • /
    • 2007
  • Antifungal activity of compost teas was evaluated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In vitro test, fourteen compost teas were produced using five different composts and through six different methods for compost tea production. Eleven pathogenic fungi were used as indicators of antifungal activity of compost teas. In vivo test, one of the compost teas used in vitro test was sprayed to cucumber leaves which were infected with powdery mildew in order to evaluate antifungal activity of compost tea. From the results of the tests, it was found that all compost teas used this study showed antifungal activity and the proper application of compost teas against pathogenic fungi for obtaining optimal effects was important to know.

  • PDF

In Vivo Antifungal Activities of 57 Plant Extracts Against Six Plant Pathogenic Fungi

  • Choi, Gyung-Ja;Jang, Kyoung-Soo;Kim, Jin-Seok;Lee, Seon-Woo;Cho, Jun-Young;Cho, Kwang-Yun;Kim, Jin-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184-191
    • /
    • 2004
  • Methanol extracts of fresh materials of 57 plants were screened for in viv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agna-porthe grisea, Corticium sasaki, Botrytis cinerea, Phyto-phthora infestans, Puccinia recondita, and Blumeria graminis f. sp. hordei. Among them, seven plant extracts showed disease-control efficacy of more than 90% against at least one of six plant diseases. None of the plant extracts was highly active against tomato gray mold. The methanol extracts of Chloranthus japonicus (roots) (CjR) and Paulownia coreana (stems) (PcS) displayed the highest antifungal activity; the CjR extract controlled the development of rice blast, rice sheath blight, and wheat leaf rust more than 90%, and tomato gray mold and tomato late blight more than 80%. The PcS extract displayed control values of more than 90 % against rice blast, wheat leaf rust, and barley powdery mildew and more than 80% against tomato gray mold. The extract of PcS also had a curative activity against rice sheath blight and that of CjR had a little curative activity against rice blast. On the other hand, the extract of Rumex acetocella roots reduced specifically the development of barley powdery mildew. Further studies on the characterization of antifungal substances in antifungal plant extracts are underway and their disease-control efficacy should be examined under greenhouse and field conditions.

작약(芍藥)의 주요병해(主要病害) 발생(發生) (Incidence of Major Diseases on Paeonia lactiflora PALLAS)

  • 박소득;김기재;유오정;김세종;김재철;신종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36-240
    • /
    • 1996
  • 1. 작약(芍藥)의 지상부(地上部)에 기생(寄生)하는 주요 병원균(病原菌)은 점무늬병균 등 7종(種)이었으며 점 무늬병은 잎, 검은무늬병은 줄기, 흰가루병은 잎과 줄기 등 지상부 전체에 발생이 심하였다. 2. 작약(芍藥)에는 점무늬병과 흰가루병이 우점종(優占種)이었고, 각각 4월 하순, 5월 중순부터 발생되기 시작하여 5월 하순 이후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의성작약(義城芍藥)이 영천종(永川種)보다 발병율이 높았다. 3. 시기별(時期別) 작약(芍藥) 지상부(地上部) 고사율(枯死率)은 95년의 경우 5월 하순부터 고사(枯死)하기 시작하여 6월 하순에 15.3%로 그 이후부터는 급격히 증가하여 8월 상순에는 50.6%가 고사(枯死)하였으며 5, 6월의 조기고사(早期枯死)는 주로 흰가루병 때문이었다.

  • PDF

병저항성 육종을 위한 고추 유전자원의 저항성 평가 (Evaluation of Pepper Genetic Sources (Capsicum spp.) for Disease Resistance Breeding)

  • 이상준;김병섭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185-191
    • /
    • 2012
  • 본 시험은 고추의 육종을 위한 병 저항성 고추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시판중인 역병 저항성 품종인 PR계통 21품종, 미국에서 도입해온 36품종과 역병감수성 품종인 '슈퍼마니따'를 사용하여 역병, 탄저병, 흰가루병의 병 저항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Phytophthora$ $capsici$에 의해 발병하는 고추역병의 유묘검정은 서로 다른 교배형(A1, A2, Sterile)을 가지는 3 균주를 사용하여 접종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PR계통 고추들은 각각의 교배형에 대하여 저항성 또는 중도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역강홍장군'은 서로 다른 교배형의 세 가지 균주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PR-다따'와 'PR-마니따'는 각각의 교배형에 저항성 또는 중도저항성을 보였다. 외래종의 경우, 'NuMex J.E.Parker', 'Omni Color'과 'SCM-334' 품종은 세 가지 균주에 저항성을 나타냈고, 'Sweet Banana'와 'Tabasco'를 포함한 몇몇 품종들은 각각의 균주에 중도저항성을 나타냈다. 흰가루병에 대하여 'Orange Habanero', 'black Cuban'은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슈퍼마니따'와 'PR 금동'은 중도저항성을 나타냈다. 'Santa Fe Grnade', 'NuMex Pinata' 품종은 흰가루병에 매우 심한 감수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탄저병의 경우, 'Aji Limon'과 'C. baccatum var. pendelum 3-4' 품종은 저항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Pobalno', 'Omni Color', 'Negro', 'Mesilla', 'Mulato', 'Bhut Jolokia', 'Big Dipper', 'Black Cuban', 'NuMex Pinata'와 'NuMex Big Jim'은 중도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태산'을 제외한 대부분의 PR계통들은 탄저병에 대하여 감수성 내지 심한 감수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저항성 개체는 이후에 고추 병저항성 육종에 유용한 유전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Screening for Antifungal Endophytic Fungi Against Six Plant Pathogenic Fungi

  • Park, Joong-Hyeop;Park, Ji-Hyun;Choi, Gyung-Ja;Lee, Seon-Woo;Jang, Kyoung-Soo;Choi, Yong-Ho;Cho, Kwang-Yun;Kim, Jin-Cheol
    • Myco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79-182
    • /
    • 2003
  • A total of 187 endophytic fungi were isolated from 11 plant species, which were collected from 11 locations in Korea. Their antifungal activities were screened in vivo by antifungal bioassays after they were cultured in potato dextrose broth and rice solid media.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such as Magnaporthe grisea(rice blast), Corticium sasaki(rice sheath blight), Botrytis cinerea(tomato gray mold), Phytophthora infestans(tomato late blight), Puccinia recondita(wheat leaf rust), and Blumeria graminis f. sp. hordei(barley powdery mildew) was determined in vivo by observing the inhibition of plant disease development. Twenty(11.7%) endophytic fungi fermentation broths were able to control, by more than 90%, at least one of the six plant diseases tested. Among 187 liquid broths, the F0010 strain isolated from Abies holophylla had the most potent disease control activity; it showed control values of more than 90% against five plant diseases, except for tomato late blight. On the other hand, fourteen(7.5%) solid culture extracts exhibited potent disease control values of more than 90% against one of six plant diseases. The screening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suggested that metabolites of plant endophytic fungi could be good potential sources for screening programs of bioactive natural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