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wdery mildew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25초

Management of Powdery Mildew in Squash by Plant and Alga Extract Biopesticides

  • Zhang, Shouan;Mersha, Zelalem;Vallad, Gary E.;Huang, Cheng-Hu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6호
    • /
    • pp.528-536
    • /
    • 2016
  • Although many fungicides are registered for use to control powdery mildew on cucurbits, management of resistance to fungicides in pathogen populations still remains a major challenge. Two biopesticides Regalia SC and HMO 736 were evaluated in the greenhouse and field for their efficacy against powdery mildew in squash. In greenhouses, Regalia SC alone significantly (P < 0.05) reduced powdery mildew compared to the nontreated control, and was as effective as the chemical standard Procure 480SC (triflumizole). In alternation with Procure 480SC, Regalia SC demonstrated greater or equivalent effects on reducing the disease. HMO 736 alone showed varying levels of disease control, but alternating with Procure 480SC significantly improved control efficacy. In addition, application of Regalia SC or HMO 736 each in alternation with Procure 480SC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hlorophyll content in leaves and the total fresh weight of squash plants, when compared with the water control, Regalia SC and HMO 736 alone. In field trials, application of Regalia SC and HMO 736 each alone significantly reduced disease severity in one of two field trials during the early stage of disease development, but not during later stages when disease pressure became high. Both Regalia SC and HMO 736 each applied in alternation with Procure 480SC significantly improved the control efficacy compared to Procure 480SC alone. Results from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n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can be developed for powdery mildew in squash by integrating the biopesticides Regalia SC, HMO 736 with the chemical fungicide Procure 480SC.

난황유를 이용한 단감 흰가루병 방제 (Control of Powdery Mildew on Sweet Persimmom Using Cooking Oil and Yolk Mixture in the Orchard)

  • 권진혁;이흥수;최성태;심창기;지형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5-270
    • /
    • 2013
  • 2010년부터 2011년까지 2년 동안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포장에서 단감 흰가루병(P. kakicola)을 방제하기 위하여 난황유를 3회 지상부에 살포한 다음 5일 후 병해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난황유 처리구에서 병반 면적율을 조사한 결과 13.4%였으며, 단감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율은 80.5%이었다. 무처리구에서 68.6% 발생하였다. 난황유를 처리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흰가루병의 균사는 형태적으로 세포가 원형질막이 파괴되어 세포내용물이 소실되어 쭈그러졌다. 이것은 난황유가 흰가루병의 세포벽이나 세포막을 파괴하여 생긴 것으로 사료된다.

멜론 흰가루병 친환경 생물적 방제를 위한 Bacillus속 균의 길항력 평가 (Antagonistic Assay of Bacillus spp. for Eco-friendly Biological Control of Melon Powdery Mildew)

  • 박명수;이문행;이은모;윤해근;김성억;전낙범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3-90
    • /
    • 2018
  • Podosphaera fusca에 의한 멜론 흰가루병은 우리나라에서 멜론의 심각한 식물병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발한 길항세균의 다양한 식물병원균에 대한 균사 생육 억제 및 메론 흰가루병 방제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16S rDNA 및 gyr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선발한 길항세균 Bacillus sp. M09, M70 및 M99-1을 동정한 결과 B. velezensis로 동정되었다. B. velezensis M09, M70 및 M99-1는 다양한 식물병원균에 47~69%의 균사생육 억제 효과를 보였을뿐만 아니라 흰가루병균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본 연구에서 선발한 3균주는 멜론 흰가루병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물병에 대한 잠재적인 생물방제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강원도(江原道)에서 채집(採集)한 흰가루병균(病菌)과 기주식물(寄主植物) (Powdery Mildew Fungi and Their Host Plants from Kangwon Province)

  • 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9-246
    • /
    • 1994
  • 1989년부터 1993년까지 5년간 강원도지방에서 횐가루병균에 감염된 246종의 식물을 채집하였는데, 이는 강원도에서 알려진 피자식물 1,475종의 약 16.7%에 해당한다. 흰가루병균은 12속(屬) 83종(種)이 동정(同定)되었는데, Arthrocladiella 속이 1종, Blumeria 속이 1종, Cystotheca 속이 1종, Erysiphe 속이 25종, Leveillula 속이 1종, Microsphaera 속이 17종, Phyllactinia 속이 7종, Podosphaera 속이 3종, Sawadaia 속이 3종, Sphaerotheca 속이 9종, Uncinula 속이 10종, Uncinuliella 속이 2종 등 12속 80종이었으며, 무성세대명만 확인된 Oidium 속은 3종이었다. 각 기주식물은 대개 1종의 흰가루병균에 감염당하였으나, 물오리나무에서는 3종의 흰가루병균이 확인되었고, 갈참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뽕나무, 찔레꽃, 방가지똥 및 이고들빼기에서는 2종의 흰가루병균이 확인되었다. 한편 무궁화에서 채집된 흰가루병균은 지금까지 무궁화속 식물에서 알려진 5종의 흰가루병균과 다른 형태학적 특징을 나타내어 별도로 기재하였으며, 국화과(科)에 속하는 쇠서나물, 미역취, 큰방가지똥, 방가지똥, 그리고 이고들빼기에서 채집된 흰가루병균은 이들 식물에서 기보고된 몇몇 Oidium spp.와 비교하여 형태학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 보고로 우리나라의 흰가루병 기주식물은 총 333종으로 늘어났으며, 총 피자식물의 약 11.4%에 해당된다.

  • PDF

Podosphaera tridactyla에 의한 자두나무 흰가루병 발생 (Occurrence of Powdery Mildew of Japanese Plum Caused by Podosphaera tridactyla in Korea)

  • 이성찬;한경숙;조성은;박지현;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8권1호
    • /
    • pp.49-53
    • /
    • 2012
  • 2011년에 양구, 홍천, 횡성, 가평 등 중부지방에서 가족 소비용 또는 관상용으로 식재된 자두나무에 흰가루병이 발생하였다. 상당한 조사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자두나무 과수원에서는 흰가루병이 발견되지 않았다. 초기 병징은 잎과 어린 줄기에 균사층이 흰색으로 얇고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나중에는 잎이 부분적으로 기형으로 뒤틀렸고 적자색으로 변색되었다. 무성세대 및 유성세대의 형태적 검경과 함께 ITS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이 병원균을 Podosphaera tridactyla로 동정하였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자두나무 흰가루병을 처음으로 보고하는 것이다.

Ampelomyces quisqualis 94013의 오이흰가루병균에 대한 기생적 특성 (Parasitic Characteristics of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to Powdery Mildew Fungus of Cucumber)

  • 이상엽;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6-122
    • /
    • 2001
  • 흰가루병에 대하여 생물적 방제제로 선발된 Ampelomyces quisqualis94013(AQ94013)의 포자현탁액을 처리하여 오이 흰가루병균(Sphaerotheca fuliginea)에 대한 침입과정을 전자현미경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포자현탁액 처리 후 4시간 만에 포자가 흰가루병균의 분생포자, 분생자경 및 균사위에서 발아하고, 17시간 후에는 유사부착기가 형성되어 흰가루병균의 균사에 부착되었다. 24시간 후에는 균사내에 침입하였으며, 44시간 후에는 흰가루병균의 균사와 분생자경의 하부에 AQ94013의 병자각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48시간 후에는 병자각이 성숙되었으며, 52시간 후에는 병자각의 공구에서 병포자가 분출되고, 흰가루병균의 균사 및 분생자경은 변형되어 죽었다. 한편, 오이흰가루병균에 대하여 A. quisqualis 94013의 배양여액을 농축하여 처리한 결과에서 물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므로 흰가루병균에 대한 감염기작은 A. quisqualis 94013가 독소생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직접기생에 의하여 흰가루병균을 죽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uppression of melon powdery mildew and tomato leaf mold disease by the antifungal activity of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essential oil

  • Lee, Mun Haeng;Oh, Sang-Ke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4호
    • /
    • pp.1071-1081
    • /
    • 2020
  • Essential oils (EOs) have been shown to be plant-extracted antimicrobial agents. However, there are limited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icacy of EOs against pathogens. Among them, tea tree oil (TTO) is extracted from Melaleuca alternifolia, which is also used as an antifungal agen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TO was investigated on the suppression of melon powdery mildew caused by Podosphaera xanthii and tomato leaf mold disease caused by Passalora fulva. Both powdery mildew and leaf mold diseases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by a spray of TTO. Eighty percent of powdery mildew and 81% of leaf mold disease of the control value were suppressed by 0.5% TTO liquid, when sprayed 3 times every 7 days on the melon and tomato leaves.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was also greatly affected by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TO against four different fungal pathogens. Ninety-eight percent of Pseudocercospora fuligena, 97% of P. fulva, 95% of Botrytis cinerea, and 94% of Phytophthora infestans mycelial growth were inhibited by 0.2% to 1.0% of TTO contained in plate media, respectively. However, phytotoxicity in plants by the TTO treatments was revealed when melon and tomato leaves were sprayed with a 1% and 2% concentration of TTO, respectively. Therefore, our findings show that TTO has high antifungal effects against various plant pathogens that occur during crop cultivation. We also suggest that when applying TTO to plant leav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ccurate treatment concentration for different crops.

농약이 오이흰가루병 방제용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 94013의 균사생장 및 포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rochemicals on mycelial growth and spore germination of a hyperparasite,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for controlling cucumber powdery mildew)

  • 이상엽;이상범;김용기;김홍기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78
    • /
    • 2004
  • 흰가루병 방제를 위하여 다양한 작물에서 발생한 흰가루병균을 채집하여, 흰가루병균에 기생되어 있는 Ampelomyces quisqualis를 분리하여 오이흰가루병방제에 우수균주로 선발된 A. quisqualis 94013(AQ 94013)에 대하여 오이에 등록되어 있는 살균제와 살충제가 AQ94013의균사생장 및 포자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AQ94013이 기생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착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전착제와 혼용 시험을 수행하였다. AQ94013의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정도는 공시한 34종의 살균제를 첨가한 배지에서 검정한 결과, 흰가루병 약 triadimefon, pyrazophos, 노균병약 dimethomorph, kasugamycin+copper oxychloride, dichlofluanid + copper oxychloride, copper hydroxide, tribasic copper sulfate, 이외에 잿빛곰팡이병약 iprodione, vinclozolin, procymidon 과 공시한 11종의 살충제중에서 immidacloprid, teflubenzuron, bifenthrin, ethofenprox, deltamethrin, phenthoate이 AQ94013의 포자발아와 균사생장에 영향을 적게 미쳤다. 오이흰가루병균에 대한 A. quisqualis 94013 의 기생력을 증진하는 전착제는 mineral oil로서 방제효과를 7.9%향상시켰다.

냉이에 발생하는 진균성 병해 (Fungal Diseases of Capsella bursa-pastoris in Korea)

  • 신현동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60-368
    • /
    • 1997
  • 주요 봄철 채소의 하나인 냉이에 발생하는 병해를 조사한 결과 다음의 4가지 병해가 발견되었다. 흰녹가루병은 주로 근생엽에 발생하나 때로 중기와 꽃대에도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으며, 병원균은 Albu해 candida로 동정되었다. 노균병은 주로 군집밀도가 높은 상태에서 발생하였고 피해도 심했는데, 병원균은 Peronospora parasitica로 동정되었다. 흰무늬병은 드물게 발생하였고 피해도 거의 없다고 판단되는데, 병원균은 Pseudocercosporella capsellae로 동정되었다. 그리고 흰가루병은 주로 그늘에서 자란 개체에서만 발생하였는데, 병원균은 Erysiphe cichoracearum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4가지 병해는 모두 한국에서 처음기록되는 것이다. 이 중 흰녹가루병과 노균병은 자연상태에서 발생이 심하였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발병환경을 고려해 볼 때 시설재배에서 많이 발생할것으로 예상되므로 시설재배에서는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 PDF

Oidiopsis taurica (L v.) Arnaud (=Leveillula taurica)에 의한 토마토 흰가루병 발생 (Occurrence of Powdery Mildew on Tomato Caused by Oidiopsis taurica (L v.) Arnaud (=Leveillula taurica) in Korea)

  • 강수웅;권진혁;신원교;김희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80-382
    • /
    • 1995
  • Yellow spot or blotch symptoms on the upper surface of leaf, without the production of velvet-like fungi on the lower surface of leaf as in the gray mold of tomato caused by Cladosporium fulvum, were observed in tomato (cv. Seokwang) plants in May, 1995, in a vinyl-house of the experimental plot of Gyeongnam Provinci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hinju, Gyeongnam, Korea. We identified this disease as powdery mildew of tomato caused by Oidiopsis taurica (L v.) Arnaud (=Leveillula taurica), which was new to Korea. Conidia of the fungus were borne on uni- or bi-septated conidiophores which were developed through the stomata of the tomato leaf. The conidia were slender, clavate and variable in size (31~111.6$\times$13.1 ${\mu}{\textrm}{m}$). The fungal conidia isolated from tomato leaves were inoculated to tomato plants, and the occurrence of the same disease was confirmed based on the symptomatology and the morphology of the pathogen reisol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