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ultry meat and eggs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19초

닭의 지방대사와 지방간 (Lipid Metabolism and Fatty Liver in Poultry)

  • 문양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09-118
    • /
    • 2018
  • 현대양계산업은 육종, 영양, 관리기술의 향상에 힘입어 산란계의 생산성과 육계의 성장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닭의 생산성 향상을 뒷받침해 주기 위해서는 이들의 대사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건강한 간의 기능이 필요하다. 가금에서 지방산의 대부분은 간에서 생합성되며, 이는 간의 지방대사가 닭의 생육 및 산란능력 등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간에서의 지방합성이 지방의 대사능력과 분비를 초과하게 되면 중성지방은 간에 축적되어 지방간(fatty liver)을 유발하기도 한다. 산란계의 경우 산란을 시작하게 되면 혈액 내 유리지방산, 지질 및 인지질 등이 급격히 증가한다. 산란계에서 산란율이 높은 닭은 난황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지방간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심한 경우 간의 손상(liver-hemorrhage)에 의해 폐사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닭의 간에서 지방합성과 합성된 지방의 분비와 이용은 건강한 닭의 성장과 생산성 향상에 주요한 열쇠로 판단되어 최근까지 연구된 닭의 지방대사와 지방간 억제 혹은 예방 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목초액 함유 활성탄의 첨가가 육계 생산성 및 계란 내 항생제 잔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ctivated Charcoal Mixed with Wood Vinegar on Broiler Performance and Antibiotics Residue in Eggs)

  • 성은일;유선종;안병기;조태수;안병준;최돈하;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3-29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목초액 함유 활성탄(activated charcoal mixed with wood vinegar, AC)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산란계에서 혈중 및 계란내 항생제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1은 450수의 1일령 육용종 Ross 수평아리를 공시하여 처리당 3반복 반복당 25수씩 완전임의 배치하고, 항생제 0%(T1), 항생제 0.1%(T2), AC 1%(T3), AC 1% + 항생제 0.1%(T4), AC 2% (T5), AC 2% + 항생제 0.1%(T6)를 함유하는 실험 사료를 각각 5주간 급여하였다. 사료 섭취량과 증체량은 주 단위로 조사하여 성장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 5주차 종료시에 각 처리구별로 10수씩 선발하여 도살하였고, 간, 복강지방, 가슴육, 기타 기관의 상대적 중량을 측정함으로서 도체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식성 근육의 물리적 특성은 가열 감량, 전단력가, 보수력, 육색을 측정하였고, 육질의 관능적 특성은 연도, 맛, 풍미, 다즙성 등을 측정하였다. 장 내 균 총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총 균수, 대장균 및 유산균수를 조사하였다. 실험 2는 40주령의 Hy-Line Brown 산란계 90수를 공시하여 항생제 0.5%에 AC 0%(C), AC 1.0%(T1), AC 2.0%(T2)를 함유하는 실험 사료를 각각 2주간 급여하였다. 종료 후 혈액 채취 및 계란을 수거하여 혈액 및 계란 내 항생제 잔류 수준을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 사료 섭취량, 증체량 및 사료 요구율은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사 에너지, 조 단백질 및 기타 필수 영양소 수준을 고려하면 AC의 급여가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간, 복강 지방, 가슴육, 기타 기관의 상대적 중량에서는 처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보수력과 가열감량 항목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전단력가는 대조구에 비해 AC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높아지는(P<0.05)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에서 적색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풍미, 연도, 다즙성 및 총체적 선호도 항목 모두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장 내 총균수, coli form 및 lactic acid bacteria 수는 항생제를 첨가한 (+) 대조구와 AC를 첨가한 처리구가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은 (-)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준이거나(P<0.05), 낮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 2에서는 AC 급여에 의해 혈청 및 계란 내 항생제 잔류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P<0.05). 특히 AC급여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계란 내 항생제 잔류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육계 사료 내 AC의 첨가 급여가 생산된 계육의 외관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시사되었고, 장내 총균수, 대장균 및 유산균수를 감소시키는 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산란계 사료 내 AC의 첨가 급여가 혈청 및 계란 내 항생제 잔류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재래닭의 경영 및 판매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A Research on Current Farm Management and Marketing Situation of Korean Native Chickens)

  • 한성욱;박종수;오봉국;정선부;이규호;최연호;김재홍;여정수;하정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7-178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get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native chicken industry by reviewing the current native chicken farm management and marketing situation of native chicken products(meat and eggs). The research was carried on the basis of the farm field survey covering 210 native chicken feeders out of 9 different local area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verage raising size of native chicken flocks of sample farms was 1,787 heads and about 50% of those farms raised less than 500 heads chickens for self-sufficiency or on the side. 2. Most farmers made the decision to start on feeding native chickens in small scale with small amount of capital without sound feeding program, and their decision was mainly influenced by recommendation of mass-media( 19.5%) and neighbors (17.2%). 3. The average income per farm earned by raising the native chickens was 13,719 Won, and income per head of chicken was 8,800 Won. 4. About 40% of feeders expressed that the poor marketing management and lack of capital were the bottleneck to native chicken farm management. 5. About 70% of feeders evaluated the prospect of native chicken industry positively and so, about 60% of feeders hoped to expand the raising size in the future. 6. Most farmers directry made a bargain with marketer including middleman and enduser in selling the chicken products because there was not established special marketing system for native chicken products. 7. The sales age of native broiler was about 16~20 weeks and average body weight of broiler was 1.5~2.0 kg. And farm recieved price was not decided on the basis of each body weight or meat quality but only number of heads. 8. The average first egg-laying age of chickens was about 165 days and average annual laying rate was only about 56%. 9. In order to develop the successful Korean native chicken industry, followings are recommended ; 1) Reducing the production costs and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native chickens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technolog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ound feeding program of native chickens and sufficient fund supply. 2) Orderly native chicken marketing and pricing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give good vision about native chickens to farmers and to delight the consumers. 3) The measures for product differentiation including meat quality and nutritional value of native chicken products against other improved chickens should be actively taken by feeders and government.

  • PDF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screen time among Korean adolescents

  • Lee, Jae Yeon;Jun, Nuri;Baik, Ink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4호
    • /
    • pp.330-335
    • /
    • 2013
  • Data are limit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screen time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dietary patterns of 691 adolescents, aged 13-18 yea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Third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and analyzed their associations with screen time. Screen time was defined as the time spent watching TV, using a computer, or playing video games was calculated as a sum of all these times. Dietary patterns and their factor scores were derived from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using the factor analysis metho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screen time, we conduct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 also perform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stimate odds ratios (OR) of excessive screen time (2 hours or longer per day)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 We identified 2 dietary patterns labeled "the Korean healthy dietary pattern" and "the Western diet and fast foods pattern". The former included mixed grains, legumes, potatoes, red meat, eggs, fish, dairy products, fruits, vegetables, seaweeds, and mushrooms, whereas the latter included noodles, bread, red meat, poultry, fast foods, snack, and soft drinks. After controlling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factor scores for the Korean healthy dietary pattern were inversely associated (P-value for trend < 0.01) and those for the Western diet and fast foods patter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screen time (P-value for trend < 0.01). Adolescents in the top tertile of the scores for the Korean healthy dietary pattern had a multivariable-adjusted OR [95% CI] of 0.44 (0.25-0.75) for excessive screen time compared with those in the lowest tertile.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adolescents who have excessive screen time may need to be encouraged to consume a more healthy diet.

고령자의 식품선호도 및 고령친화식품 요구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노인복지관 이용자 중심으로 - (Study on Demand Elderly Foods and Food Preferences among Elderly People at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 신광진;이은정;이승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 to develop foods for the elderly based on their food preferences. A one-to-one survey method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65 elderly people (male: 47, female: 118) attending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eferred cooking method was steaming rather than stir-frying. Vegetables (4.24), fruits (4.22), Kimchi (3.87), fish (3.83), tofu (3.81), rice-cakes (3.65), dairy products/eggs (3.47), meat (3.45), noodles (3.44), seafood (3.44), poultry (3.23), bread/cookies (3.10) showed high preferences in order (p<0.05). The respondent's chewing & swallowing degree were "Not uncomfortable chew" 31.5%, "Hard food, and a big food is a little difficult to intake". 37%, "Hard food, and a big food is difficult to intake" 11.5%, "Small food, and soft foods can intake" 11.5%, and "It is difficult to intake solid food" 1.2%. Foods that were difficult to chew were meat 28.3%, seafood 15.2%, vegetables 15.2%, nuts 14.1%, fruits 12.0%, Kimchi 8.7%, and other 6.5%. For respondent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choice of elderly foods were flavor (48.5%), hygiene (43.0%), and nutrition (36.4%). The elderly wanted "Ready to eat (RTE)" 53.9%, "Ready to heat (RTH)" 15.8%, "Ready to cook (RTC)" 21.2%, and 'Fresh cut product" 9.1%.

육용종계 모계통에 있어서 부화시간에 따른 체중과 체척치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Hatching Time on Body Weights and Body Measurements in Female Lines of Meat Type Breeders)

  • 정일정;정선부;박영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7-195
    • /
    • 1986
  • 본 연구는 상용종계 모계통으로 이용되고 있는 White Plymouth Rock종에서 부화시간에 따른 체중과 체척치의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종웅계 60수와 종빈계 300수를 교배하여 생산된 종란을 부화하여 발생된 초생추중 "C"계통 551수와 "D"계통 424수등 총 975수를 육성하여 조사한 성적과 부화시간을 479시간부터 3시간 간격으로 521시간까지 14회 조사하여 얻은 자료에 근거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화시간별 체중 및 체척치 : 4, 6주 및 8주령 체중, 흉골장 및 정강이 길이의 평균치는 부화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뚜렷이 볼 수 있었다. 수탉에 있어 부화시간의 효과는 대부분의 형질에 대하여 고도의 통계적인 유의성(P〈.01)을 보였고, 6주 및 8주령 흉골장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부화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흉골장이 뚜렷하게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암탉에 있어 부화시간의 효과는 주령별 모든 형질에 대하여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고, 수탉에서와 마찬가지로 부화시간이 증가할수록 각 주령별 체중이 현저하게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2. 계통별 체중 및 체척치 : 계통별 부화시간에 따른 평균능력 중 부화시간은 "D"계통이 "C"계통보다 수탉이 7.4시간, 암탉은 7.2시간이 더 길었으며, 산육능력에서는 "C" r계통이 모든 형질에서 더 우수하였다.

  • PDF

Salmonella Enteritidis 분리주에서의 선발된 불활화 백신균주의 방어효과 및 면역원성 (Protective effects and immunogenicity of Salmonella Enteritidis killed vaccine strains selected from virulent Salmonella Enteritidis isolates)

  • 강정무;원호근;김은희;노윤희;최환원;한태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1-28
    • /
    • 2011
  • Salmonella Enteritidis (SE) has been a major causative agent of food-borne human disease due to consumption of contaminated eggs and poultry meat. To prevent SE infection in poultry, and therefore minimize human infections, vaccination with either killed or live SE vaccine is suggested. We evaluated a newly developed killed bacterin using a representative SE isolate in Korea. Among pool of SE isolates, two highly virulent isolates (the one isolate from chicken, the other from human) were selected by measuring mortality in mouse and chickens administered. The chickens were injected intramuscularly with killed vaccine and were challenged with highly virulent SE strain 3 week after vaccination. The recovered colony count (cfu/g) of spleen and cecal content in the vaccinated groups was reduc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unvaccinated control group. The antibody level in the vaccinated groups was higher at 3 week post vaccin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accination with killed vaccine wa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infection of virulent SE. Further study for a large number of layers should be needed for the effect of egg production, SE shedding in feces, persistence of antibody level.

유기태 셀레늄의 첨가가 육계 및 산란계의 생산성 및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Organic Selenium Levels on Performance and Selenium Retention in Broiler Chickens and Laying Hens)

  • 나재천;김상호;장병귀;김지혁;유동조;강근호;김학규;이덕수;이상진;이종찬;이원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5-262
    • /
    • 2006
  • 유기태 셀레늄의 수준별 첨가가 육계 및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닭고기와 계란 내의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차례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은 selenium yeast로 셀레늄을 0.60, 1.20, 1.80 및 2.40 ppm을 첨가하였을 때 육계의 사료 섭취량, 증체량, 사료 요구율 및 가슴근육과 간 내의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증체량, 사료 섭취 량 및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가슴살의 셀레늄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기태 셀레늄의 첨가 수준을 증가시킬수록 높았다(P<0.05). 간조직의 셀레늄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기태 셀레늄을 첨가한 모든 처리구에서 높았으며(P<0.05),특히 유기태 셀레늄을 1.20 ppm이상 첨가할 경우에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P<0.05). 시험 2에서는 유기태 셀레늄의 첨가 수준이 산란계의 생산성 및 계란 내 셀레늄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selenium yeast로 셀레늄을 0.30, 0.60, 0.90 및 1.20 ppm을 첨가하였을 때 산란율, 난중, 사료 섭취 량, 사료 요구율, 난질 및 계란 내 셀레눔 함량을 조사하였다. 산란율은 유기태 셀레늄 0.30 ppm과 0.90 ppm 첨가구에서 높았으나(P<0.05), 1일 산란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다. Haugh unit는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난각 두께는 유기태 셀레늄 0.60 및 1.20 ppm첨가구가 각각 385 및 $386{\mu}m$으로 유기태 셀레늄 0.90 ppm 첨가구의 $368{\mu}m$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두꺼웠다(P<0.05). 계란 내 셀레늄 함량은 유기태 셀레늄 첨가 수준을 높일수록 더욱더 증가하였다(P<0.05).

Associations between the dietary patterns of pregnant Malaysian women and ethnicity, education, and early pregnancy waist circumference: A prospective cohort study

  • Yong, Heng Yaw;Shariff, Zalilah Mohd;Yusof, Barakatun Nisak Mohd;Rejali, Zulida;Bindels, Jacques;Tee, Yvonne Yee Siang;van der Beek, Eline 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3호
    • /
    • pp.230-239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Little is known about the dietary patterns (DPs) of women during pregnancy.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Ps of pregnant Malaysian women and their associations with socio-demographic, obstetric, and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SUBJECT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737 participants enrolled in Seremban Cohort Study between 2013 and 2015. Food consumption was assessed using a validated 126-food item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FFQ) at four time-points, namely, pre-pregnancy and at each trimester (first, second, and thir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used to identify DPs. RESULTS: Three DPs were identified at each time point and designated DP 1-3 (pre-pregnancy), DP 4-6 (first trimester), DP 7-9 (second trimester) and DP 10-12 (third trimester). DP 1, 4, and 7 appeared to be more prudent diets, characterized by higher intakes of nuts, seeds & legumes, green leafy vegetables, other vegetables, eggs, fruits, and milk & dairy products. DP 2, 5, 8, and 11 had greater loadings of condiments & spices, sugar, spreads & creamer, though DP 2 had additional sweet foods, DP 5 and 8 had additional oils & fats, and DP 11 had additional tea & coffee, respectively. DP 3 and 6 were characterized by high protein (poultry, meat, processed, dairy, eggs, and fish), sugars (mainly as beverages and sweet foods), and energy (bread, cereal & cereal products, rice, noodles & pasta) intakes. DP 9 had additional fruits. However, DP 12 had greater loadings of energy foods (bread, cereal & cereal products, rice, noodles & pasta), sugars (mainly as beverages, and sweet foods), and good protein sources (eggs, nuts, seeds & legumes). Malays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adherence (LA) for DP 1 and 10 than non-Malays. DP 2, 8, and 11 were more prevalent among Malays than non-Malays. Women with a higher education were more likely to have LA for DP 10, and women with a greater waist circumference at first prenatal visit were more likely to show LA for DP 11. CONCLUSIONS: DPs observed in the present study were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ose reported in Western populations. Information concerning associations between ethnicity, waist circumference and education with specific DPs before and throughout pregnancy could facilitate efforts to promote healthy dietary behavior and the overall health and well-being of pregnant women.

사료에 오미자 가공부산물 분말의 첨가 급여가 계란의 리그난 함량에 미치는 영향 (Production of Lignan-Rich Eggs as Functional Food by Supplementing Schisandra chinensis By-Product in Laying Hens)

  • 강혜미;박은지;박순영;황대연;이종춘;김명후;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27
    • /
    • 2024
  • 산란계는 식단의 건강 증진 성분을 계란에 '생체 축적'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미자 가공 부산물의 분말을 사료에 첨가하여 산란계에 급여가 리그난이 풍부한 기능성 계란의 생산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사료는 황옥수수, 쌀겨, 대두박, 어분, 육골분, 가금류분, 프리믹스, CaCO3 등이 첨가된 기본 사료에 오미자 가공 부산물 분말을 첨가하여 제형화하였다. 실험의 설계는 대조구와 오미자 가공부산물을 1%, 3%, 5% 및 7% 첨가한 실험군으로 분류하여 완전임의 배치법으로 배치하였다. 계란의 생산성, 평균 무게, 난황과 난백의 리그난 함량은 7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계란 생산과 평균 계란 무게는 오미자 가공부산물 분말을 사료에 5% 이하로 첨가하여 급여하였을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7%의 고농도로 첨가하여 사료를 급여하였을 경우에는 처리 3주후에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계란내의 리그난 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분석한 결과, 오미자 가공부산물 분말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난황의 gomisin N 과 schisandrin C의 함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나(p<0.05), 난백에서는 gomisin N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chisandrin C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오미자 가공 부산물 분말을 사료여 첨가하여 산란계에 급여할 경우에는 계란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리그난이 함유된 계란의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오미자 가공 부산물 분말을 5% 이하로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한다면 오미자의 주요 생리활성인 gomisin N 와 schisandrin C가 풍부한 기능성 계란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