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ultry carcass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3초

다양한 사육 밀도에서 대형 육계 암컷의 생산성과 도체 수율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Yield of Heavy Female Broiler at Different Stocking Densities)

  • 나재천;추효준;김동운;황보종;김지혁;강환구;김민지;최희철;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1-47
    • /
    • 2013
  • 본 시험은 세 가지 다른 사육 밀도가 대형 육계 암컷의 생산성과 도체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사육 밀도에 따라 T1(10.9 수/$m^2$), T2(12.4 수/$m^2$) 및 T3(13.9 수/$m^2$)로 하였다. 공시계는 1일령 Arbor Acre종 육계 암컷 492수를 선별하여 처리구당 4반복씩, 반복당 각각 36, 41 및 46수씩 나누어 완전임의 배치하였으며, 육계 초기(0~1주), 전기(1~3주) 및 후기(3~6주)로 나누어 총 6주 동안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조사 항목으로 생존율, 체중, 증체량,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 생산지수, 도체 수율 그리고 부분육 비율(날개, 다리, 가슴, 등, 목)을 조사하였다. 6주 동안의 육성률은 세 처리구 모두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구 간 차이가 없었다. 육계의 체중은 3주령,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은 2~3주령에 T3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P<0.05), T1과 T2 처리구 사이에 서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T1, T2 및 T3 처리구의 생산지수는 각각 331.0, 340.8, 336.0으로 처리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4주령 육계의 도체 수율과 대부분의 부분육(날개, 가슴, 등, 목) 비율은 처리구 간 차이가 없었으나, 다리 부위의 비율은 T2에서 가장 높았다(P<0.05). 5주령 육계의 도체 수율은 T1처리구에서 76.2%로 가장 높았으나(P<0.05), 부분육 비율은 처리구 간 유의차가 없었다. 6주령 육계의 도체 수율과 부분육 비율은 처리구 간 차이가 없었다. 본 시험은 대형 육계 암컷을 위한 다양한 사육 밀도를 기초자료로 제공하였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토종오리 육용종의 생산성과 도체수율 (The Study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Yield of Meat-type Korean Native Ducks)

  • 김학규;강보석;황보종;김종대;허강녕;추효준;박대성;서옥석;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5-52
    • /
    • 2012
  • 본 시험은 토종오리 육용종의 생산성과 도체수율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A와 B계통 육용종 토종오리에서 발생한 오리 병아리를 암수 각각 210수씩 선별하여 총 420수를 이용하였다. 시험 설계는 농장에 따른 2처리구(A, B)와 성별에 따른 2처리구(암, 수)로 나누어 $2{\times}2$의 복합요인으로 총 4처리구, 처리구당 7반복, 반복당 15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주령별 체중은 계통 간 비교에서 2, 4, 6 및 8주령에 체중의 차이가 없었으나(P>0.05), 성별에 따라서는 2주령에 암컷, 8주령에 수컷의 체중이 높았다(P<0.01). 주령별 일일 사료 섭취량은 암수 비교에서 6~8주령에 수컷의 섭취량이 높았다(P<0.05). 주령별 증체량은 계통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암수 비교에서는 수컷이 높았다(P<0.01). 주령별 사료 섭취량은 계통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P>0.05), 암수 비교에서는 6~8주령에 수컷의 사료 섭취량이 암컷에 비해 높았다(P<0.05). 주령별 사료 요구율은 계통 간 비교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암수 비교에서 0~2주령에암컷(P<0.05), 6~8주령에수컷이 높았다(P<0.01). 계통과 주령에 따른 생체중과 도체중은 8주령 B계통에서 가장 높았으며(P<0.01), 도체율은 8주령의 A와 B계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런 결과들은 토종오리 육용종의 생산 성적과 도체수율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of Slower-growing and Fast-growing Chickens Raised with and without Outdoor Access

  • Mikulski, Dariusz;Celej, Joanna;Jankowski, Jan;Majewska, Teresa;Mikulska, Marzen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0호
    • /
    • pp.1407-1416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genotype (slower-growing vs. fast-growing) and production system (access to outdoors vs. indoor)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yield and meat quality (chemical compositi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cken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on 1,040 day-old hybrid male chickens of two genotypes. Slower-growing chickens (Hubbard JA957, certified) and fast-growing chickens (Hubbard F15) were fed identical diets until 65 days of age. Both genotypes (each represented by 520 bird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and were raised in pens on litter with outdoor access or in indoor confinement without outdoor access (four replications per subgroup, each of 65 birds). Until day 21, the birds stayed in the indoor facility, in deep-litter pens. The birds could forage on pasture 12 h daily, commencing at three weeks of age. Stocking density was 0.13 $m^2$ floor space per bird in pens on litter, and 0.8 $m^2$ per bird in grassy yards. Compared with fast-growing, slower-growing chickens were significantly lighter (by 17%), had a lower breast and thigh muscle yield and a higher abdominal fat content, but they were characterized by higher survival rates at 65 days, a higher protein content and a lower fat content of breast meat. Outdoor access had no negative effects on the growth performance, muscle yield, the fatty acid profile and oxidative status of meat lipids. The meat of free-range chickens was darker in color, it had a higher protein content and a better water-holding capacity, but it was less juicy than the meat of birds raised indoors.

Genetic Parameters for Growth-Related Traits in Korean Native Chicken

  • Cahyadi, Muhammad;Park, Hee-Bok;Seo, Dong-Won;Jin, Shil;Choi, Nuri;Heo, Kang-Nyeong;Kang, Bo-Seok;Jo, Cheorun;Lee, Jun-Heo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85-289
    • /
    • 2015
  • Body and carcass weights are always being main focus in poultry industry. The aim of current study was to estimate the heritability, genet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of growth-related traits in Korean native chicken. A total of 596 chickens representing five lines of Korean native chicken (Black, Gray-Brown, Red-Brown, White, and Yellow-Brown) were reared under the standard breeding procedures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NIAS), Korea. Their body weights were observed every two weeks from hatched to 20 weeks of age. In addition, shank length and carcass weight were also measured before and after slaughter, respectively. The ASReml-R program was used to compute genetic parameters. The body weight traits were moderate to high heritability values (ranged 0.29~0.63). The heritablilites of carcass weight ($h^2=0.20$) and shank length ($h^2=0.20$) were categorized as moderate. Moreover, both genet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were ranged form 0.62 to 0.99 and ranged from 0.42 to 0.98, respectively. These findings can be useful information for quantitative genetic studies and breeding plan of Korean native chicken.

A comparative study of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in genetic resources Pekin ducks and commercial crossbreds

  • Kokoszynski, Dariusz;Piwczynski, Dariusz;Arpasova, Henrieta;Hrncar, Cyril;Saleh, Mohamed;Wasilewski, Rafa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1호
    • /
    • pp.1753-1762
    • /
    • 2019
  • Objective: The study was aimed to compare carcass traits,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meat in two different genotypes of Pekin ducks with regard to sex effect. Methods: The study involved 120 Pekin ducks: 30 males and 30 females of strain P33 (Polish native Pekin ducks) and 30 males and 30 females of Star 53 HY (commercial hybrid Pekin ducks). At 49 d of age, 48 birds (12 males and 12 females of each genotype) were selected for dissection. After the dissection, meat samples were collected to determine meat quality traits. Results: The studied Pekin ducks of different geno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carcass weight, dressing percentage, as well as percentages of breast muscles, skin with subcutaneous fat, abdominal fat, neck, and remainders of eviscerated carcass with neck. Duck genotype influenced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crude fat, Na, K, P, Zn, $pH_{24}$, electric conductivity ($EC_{24}$), cooking loss, $L^{\star}$, $a^{\star}$, most textural traits of breast muscle, and also Na, Mg and Fe content, $EC_{24}$, drip loss, cooking loss and $L^{\star}$, $a^{\star}$, and $b^{\star}$ colour coordinates of leg muscles. Regardless of genetic origin, males exhibited higher BW, carcass weight and carcass neck percentage, as well as lower redness,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of breast muscle compared to females. The genotype${\times}$sex interaction was significant for the crude fat content and cooking loss of breast muscle, and for the yellowness of leg muscle. Conclusion: Star 53 HY ducks are more suited for broiler production due to their higher body weight and dressing percentage. Their breast and leg meat are characterized by more beneficial chemical composition but has poorer sensory and textural properties compared to the meat of P33 ducks.

가금육(家禽肉)의 가공적성(加工適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1. 계육(鷄肉)의 보수력(保水力)- (Studies on the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Poultry Meat -1. Water Holding Capacity of Chicken Muscle-)

  • 성삼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5-59
    • /
    • 1973
  • 닭고기의 가공특성(加工特性)을 알고, 가공방법(加工方法)을 개선(改善)하기 위하여 폐계와 육계(肉鷄)를 각(各) 20수(首)씩을 5군(群)으로 나누어(whole carcass, skinned carcass, debonned carcass, thigh muscle, breast muscle) 마쇄하여 실험(實驗)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폐계와 육계(肉鷄)의 도체률(屠體率)은 각(各) $64.32{\pm}2.11,\;67.96{\pm}1.16$이었고, 흡수증체률(吸水增體率)은 $105.43{\pm}1.9,\;104.13{\pm}0.2$이었다. 2. 화학성분(化學成分)은 육계(肉鷄)가 폐계보다 수분(水分)이 많고, 지방(脂肪)이 다소(多少) 적었다. 시료별(試料別)로는 폐계, 육계(肉鷄) 공(共)히 whole carcass ground meat가 thigh m., breast m보다 수분이 적고 지방과 회분의 많았다. 3. Relative WHC와 water retention은 thigh m. breast m. 과 skinned carcass가 높고, whole carcass가 가장 낮았다. 4. 가열감량률(加熱減量率)은 각군(各群) 모두 온도(溫度)가 상승할수록 높고 whole carcass가 가장 높았다. 5. Relative WHC, water retention과 가열감량률(加熱減量率)은 폐계와 육계(肉鷄) 사이의 유의성(有意性)은 전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 PDF

오리 도체중량이 오리고기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cass Weight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Traits of Duck Meat)

  • 김윤석;김진형;조수현;강선문;강근호;서현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37-145
    • /
    • 2018
  • 본 연구는 오리의 도체중량에 따른 오리고기의 이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오리 도체중에 따라 200 g 단위로 2,200 g 미만부터 2,800 g 이상까지 총 5개의 중량구간을 설정하여 가슴육과 다리육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중 지방은 가슴육에서 중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pH와 보수력은 중량에 따른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가열감량은 가슴육에서 2,200 g 미만 구간에서 가장 높았으며, 중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P<0.05). 육색은 중량에 따른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전단력은 2,800 g 이상 중량구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지방산 조성은 가슴육과 다리육 모두 중량이 증가할수록 oleic acid(C18:1, n9)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가슴육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다리육에서 중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관능평가 결과, 가슴육의 2,800 g 이상 중량구간에서 풍미, 연도와 종합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오리의 도체중량이 오리고기의 이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었으나, 관능특성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위별로 제조된 기계발골 계육의 가공적성에 관한 연구 (Functional Properties of Mechanically Deboned Chicken Meat from Various Chicken Parts)

  • 이성기;김희주;김용재;조규석;김종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7-284
    • /
    • 1994
  •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mechanically deboned chicken meat(MDCM) from whole carcass, whole carcass without exsanguination, neck without skin, leg hone, and upper back and rib were studied. Also, the effects of adding different levels of gelatin and MDCM to the comminuted meats were investigated. Proximate composition values of MDCM ranged from 54.2 to 68.6% moisture, 14.5 to 19.7% protein, 12.3 to 30.1% fat, and 1.1 to 1.3% ash. The MDCM from leg hone had a higher content of fat, and a lower contents of moisture and protein. The MDCM from neck without skin tended to be opposite to the MDCM from leg hone. The total pigment and myoglobin levels were highest in MDCM from whole carcass without exsanguination such as 3.83 and 0.29 rng /g, and those from the other parts were 1.58~2.93 mg /g and 0. 17~0.31 mg /g, respectively. The emulsifying capacity and water holding capacity were highest in MDCM from neck without skin which contained lower levels of fat, collagen and hydroxyproline, but a higher level of salt soluble protein. The emulsifying capacity of comminuted meat decreased as gelatin content increased. The extractability of hydroxyproline from gelatin showed a higher solubility in acidic solution. The MDCM could he added up to 20% level without detrimentally affecting functional properties of comminuted meats although they had less water holding capacity and cooking loss as the proportion of MDCM increased.

  • PDF

육계의 성, 사육형태, 계절 및 절식시간에 따른 도체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Studies on the Carcass Characteristics of Broiler by Sex, Rearing Type, Season and Feed and Water Deprivation)

  • 홍준;이상진;김삼수;정선부;이규호;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3-44
    • /
    • 1990
  • 본 연구는 육계와 육용오리의 도체특성을 비교하고 육계의 성, 사육형질, 계절 및 절식시간에 따른 도체율과 복강지방축적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육계 240수와 육용오리 20수에 대한 도체조사기록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는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육계와 육용오리의 도체률은 각각 65.43%와 66.79%였으며, 복강지방축적률은 육계가 육용오리가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2. 육계와 육용오리의 부분육 생산비율은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육계의 경우 부분육 생산비율은 다리, 가슴, 등, 날개 및 목의 순서로 높았다. 3. 육계의 도체율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복강지방축적율은 암컷이 수컷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4. 사육형태간에 도체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복강지방축적율은 케이지가 평사에 비하여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5. 사육계절간에도 도체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복강지방축적률은 하계에 가장 높았고 동계에 가장 낮았다. 6. 절식ㆍ절수시간이 1시간 경과함에 따라 육계의 체중은 약0.28365%씩 감소하였으며, 도체율은 절식 6시간 후 가장 높았다.

  • PDF

육계의 종류 및 체중별 도체율과 영양성분 및 적정가격에 관한 조사연구 (Studies on the Carcass Rates, Natrient Contents and Optimum Prices of Broilers and Old Layers as Related to Body Weight)

  • 이상진;이규호;오봉국;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3-118
    • /
    • 1985
  • 본 조사연구는 육계의 종류 및 체중별 도체율, 부분육비율, 영양소 함량 및 적정가격을 검토하기 위하여 육계의 종류별 및 체중별로 총 240수를 공시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체율은 브로일러 및 노계에서 모두 체중이 무거울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브로일러에서 영계(0.6-0.8kg)는 61.41%, 세미브로(1.2-1.4kg)는 65.07%, 하이브로 (1.7-2.1kg)는 66.39%였고, 노계에서 백색노계(1.8-2.0kg)는 62.68%, 유색노계(2.1-2.4kg)는 63.07% 였으며, 노계는 브로일러보다 도체율이 낮았다. 2. 부분육의 생산비율은 육계의 종류 및 체중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비율이 높은 순서는 다리, 가슴, 등, 날개, 목의 순서였다. 3. 발골한 도체의 성분에서 브로일러는 체중이 무거워질수록 수분함량(%)이 감소(영계 71.27%, 세미브로 62.66%, 하이브로 60.39%)한 반면 지방함량은 증가(영계 11.47%, 세미브로 17.60%, 하이브로 19.87%)하였으나 단백질 함량은 세미브로(17.21%)가 영계(14.75%)나 하이브로(16.93%)보다 높았고, 노계는 백색과 유색노계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4. 육계의 생체kg당 가격에서 시중유통가격은 육계의 단백질함량기준 적정가나 단백질+지방함량 기준적정가와 비교하여 하이브로에 비해 세미브로는 높게 그리고 낮게 유통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