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tato storage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3초

저온 저장 감수성 및 저항성 고구마 품종에서 저온 반응성 단백질체 연구 (Proteome analysis of storage roots of two sweet potato cultivars with contrasting low temperature tolerance during storage)

  • 김윤희;지창윤;김호수;정정성;최성환;곽상수;이증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118-123
    • /
    • 2022
  • 고구마의 저온 내성 반응의 분자적 기작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저온 저장 내성이 높은 고구마 품종 Xushu 15-1과 저온 저장 내성이 낮은 Xushu 15-4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체를 2-D와 MALDI-TOF/TOF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저온 처리가 되지 않은 대조구 간의 분석 결과, Xushu 15-1에서는 4개의 단백질 spot이 새롭게 발현되었으며, Xushu 15-4에서는 1개 단백질 spot의 발현량이 Xushu 15-1에 비하여 더 높았다. 이들 중 Xushu 15-1에서 새롭게 발현된 spot 2는 sporamin으로 동정되었다. 4℃ 처리된 2개 품종의 저장뿌리에서 8주 동안의 단백질 발현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Xushu 15-1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Xushu 15-4에서는 1개 단백질 spot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4개 spot들의 발현량은 감소하였다. 발현량이 감소된 단백질 중 spot 7 및 8번은 actin, spot 9 및 10번은 fructokinase-like protein으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저장 중 고구마의 저온 내성과 관련된 복잡한 반응성 기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저온 저장 능력이 향상된 신품종 고구마의 개발을 위한 후보 유전자를 특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자가루 분산액의 유변학적 및 페이스팅 특성 분석 (Rheological and Pasting Properties of Potato Flour Dispersions)

  • 허혜미;원주인;진용익;장동칠;김미숙;이영승;장윤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407-1413
    • /
    • 2015
  • 본 연구는 '고운' 품종으로 제조한 감자가루 분산액의 농도(3, 4, 5, 6, 7%, w/w)에 따른 유변학적 및 페이스팅 특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감자가루 분산액은 전단담화 거동(n=0.41~0.55)을 나타냈으며, 감자가루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조도 지수(n), 겉보기 점도(${\eta}_{a,100}$), Casson 항복응력(${\sigma}_{oc}$)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동적 점탄 특성 측정 결과에 의하면 감자가루 분산액은 약한 겔과 같은 거동을 보여주었으며 G'과 G" 값들은 감자가루 농도와 진동수(${\omega}$)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ox-Merz 중첩원리는 감자가루 분산액에 잘 적용되지 않았다. RVA에 의한 페이스팅 특성은 감자가루 농도가 증가할수록 peak viscosity, trough viscosity, final viscosity, set back viscosity, break down viscosity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혼합물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유색감자 자영(Solanum tuberosum L.) 매쉬드 포테이토 분말의 혼합비 최적화 및 매쉬드 포테이토의 특성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of the Formula of Mashed Potatoes Using Purple-fleshed Potato (Solanum tuberosum L.) by Mixture Design)

  • 정화빈;최지일;윤원병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2호
    • /
    • pp.167-17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유의 자색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는 PFPP를 이용하여 매쉬드 포테이토를 제조하고 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PFPP와 전지분유, 덱스트린을 혼합하여 ready-to-eat (RTE) 매쉬드 포테이토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세 구성 성분의 최적 혼합비를 도출하고자 혼합물 실험방법을 이용하였다. 다양한 배합비에서 매쉬드 포테이토의 색도, 안토시아닌 함량, 유변학적 특성의 차이를 관찰하였으며 PFPP와 전지분유의 배합비에 따라 매쉬드 포테이토의 구조가 변화하여 다른 유변학적 gel 특성을 나타내었다. PFPP의 함량은 주로 적색도와 안토시아닌 함량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지분유의 함량은 전지분유의 친수성 및 수용성 특성에 의하여 유변학적 특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매쉬드 포테이토의 유변학적 특성 및 다양한 배합비에 따른 특성은 모델링을 통하여 구조적 및 성분에 따른 경향을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적색도와 안토시아닌의 함량을 최대로 함유하면서 유변학적 특성은 시판되는 매쉬드 포테이토와 유사한 고품질의 기능성 매쉬드 포테이토의 최적 배합비는 PFPP 90.49%, 전지분유 4.86%, 덱스트린 4.65%임을 도출하였다.

저선량 ${\gamma}$선이 기냐 생산된 감자 소괴경의 휴면과 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Low Dose ${\gamma}$ Radiation on the Dormancy and Growth of in vitro Microtuvers of Potato(Solanum Tuberosum L.))

  • 김동희;백명화;전재흥;김재성
    • 환경생물
    • /
    • 제19권4호
    • /
    • pp.270-277
    • /
    • 2001
  • 저선량 ${\gamma}$선 조사가 기내 유기한 대지와 수미 감자 소괴경의 맹아율과 식물체 생장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효과 등을 알아보고자 감자 소괴경의 저장기간별로 ${\gamma}$선을 0.5${\sim}$30Gy 까지 조사하여 pot실험을 수행하였다. 감자 소괴경의 휴면과 생육에 대한 저선량 ${\gamma}$선 효과는 품종과 저장기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대지 품종의 경우 대체로 2,4,8Gy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맹아 출현율을 보였고, 온실 재배에서는 4,8,16Gy에서 비교적 양호한 생육과 수량 증가 효과를 보였다. 수미 품종에서의 맹아 출현은 2Gy와 4Gy에서 촉진되었고 0.5Gy와 4Gy에서 양호한 생육 및 수량을 보였다. 엽록소 함량은 저선량 ${\gamma}$선 조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뚜렷한 증가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저선량 ${\gamma}$선이 감자의 휴면타파와 생육촉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 PDF

분자압축탈수된 자색고구마로 제조한 타르트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rts Made with Molecular Press Dehydrated Purple Sweet Potatoes during Storage)

  • 조만재;김현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77-685
    • /
    • 2016
  • 목적: 본 연구에서는 탈수방법 중 분자압축탈수법을 이용하여 탈수한 자색고구마로 제조한 타르트의 저장 중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자색고구마타르트의 수분함량, 수분활성도, 총페놀함량, 안토시아닌함량,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 색도 및 관능평가를 45일 동안 실시하였다. 결과: 탈수제인 말토덱스트린 20%, 40%, 60%, 80%로 분자압축탈수 후 제조한 자색고구마타르트 크러스트의 수분함량은 45일 저장 후 8.47%, 7.95%, 6.96%, 6.24%로 분자압축탈수하지 않은 자색고구마로 제조한 타르트 크러스트의 수분함량인 11.99%에 비하여 낮았다 (p<0.05). 하지만 총페놀함량, 안토시아닌 함량과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분자압축탈수한 자색고구마타르트가 그렇지 않은 타르트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결론: 분자압축탈수 후 제조한 자색고구마타르트는 수분함량을 효율적으로 낮춰주어 저장 동안 타르트 크러스트의 바삭함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 총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 색도 및 관능평가 결과가 감소하였다.

시판 고구마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Sweet Potato Starches)

  • 백만희;차동수;박현진;임승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55-762
    • /
    • 2000
  • 고구마, 감자, 옥수수전분의 회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0.36{\sim}1.02%$$0.04{\sim}0.14%$였으며, 고구마전분의 백도는 옥수수나 감자전분보다는 낮은 값을 보였다. 평균입자크기는 $14.23{\sim}21.08\;{\mu}m$로 작은 입자와 큰 입자 그룹으로 분리된 분포를 보였다. 고구마전분의 호화개시온도는 $74.0{\sim}80.35^{\circ}C$를 보였는데, D사 전분이 가장 낮은 값을, 필리핀산(P사) 전분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고구마전분 페이스트의 최고점도는 제조사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 HL사가 가장 높은 값을, S사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옥수수전분보다는 높고, 감자전분보다는 낮은 값을 보였다. 전분현탁액을 호화시킨 후 빛투과도를 측정한 결과 HK사가 20.67%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다른 전분은 $11.14{\sim}14.76%$를 보였다. 고구마전분겔(10%)의 조직감 특성은 필리핀산(P사)과 S사를 제외한 고구마전분은 부드럽고 약한 겔을 형성하였으며, 제조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저장 1일에는 P사 전분이 견고성, 뭉치는 성질, 씹히는 성질이 가장 높은 값을 보인 반면, 저장 3일에는 S사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탄력성은 저장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접착성은 저장 3일에 P사와 S사에서만 높게 나타났으며, 감자전분의 조직감과 비슷하였다. 고구마전분겔(10%)의 냉 해동안정성은 옥수수전분 보다는 높고 감자전분 보다는 낮게 나타났으며, S사가 3회 반복시 17.53%를 보인 반면, P사 고구마전분이 65.72%로 3.7배의 높은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제조사가 각기 다른 고구마전분의 물리적 특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필리핀산 전분이 한국산 전분과 큰 차이를 나타냈다.혀졌다. 또한 instant curry 제품을 사용하여 pH 1.2 조건하에서 nitrite 분해능을 측정한 결과 제품별 차이는 있었으나 12${\sim}$28% 정도의 분해능을 가지고 있었다.수 변환중 cross-over가 일어나고 이후의 진동수 영역에서는 저장탄성율이 손실탄성율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24시간 경과 후 겔을 형성하여 겔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항산화 효과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CaSO_4$, GDL, $MgCl_2$, $Ca-gluconate+MgCl_2$, $GDL+CaSO_4$ 첨가구는 0.3%에서, 그리고 $Ca-gluconate+CaSO_4$ 첨가구는 0.4%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0.3% $GDL+CaSO_4$ 첨가구가 적당한 경도를 가지면서도 부드럽고 고소한 맛이 강하여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cids은 $190^{\circ}C$까지는 $2.51{\sim}4.41$ ppm으로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다가 $210^{\circ}C$에서 18.92 ppm으로 급증하였고, 이후 $220^{\circ}C$에서 7.20ppm, $230^{\circ}C$에서 5.56 ppm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nonano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등이 고온가열에 의해 생성되었다가 이들이 열분해로 소실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평균치는 34점이었으며 여윔에서는 너무 살찜으로 갈수록 사회적 체형불안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후쿠오카 지역의 체형 불안 도가 대구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한 일 여대생의 자기 체형인식 및 체형 불안도에 관한 비교연구에서

  • PDF

냉동감자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영양학적 및 물성 품질 특성의 변화 (Microbiological, Nutritional, and Rheological Quality Changes in Frozen Potatoes during Storage)

  • 하지형;하상도;강윤석;홍권표;배동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63-668
    • /
    • 2007
  • 본 연구에서 12개월 동안 미생물 정량시험을 통해 감자의 미생물학적인 안전성을 평가하였고 영양성분 및 일반성분 분석에 의한 영양적, 물성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미생물학적 품질변화 평가에서 상온 냉장 저장 감자의 총호기성균(total aerobic bacteria)은 24주(6개월) 동안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48주(12개월) 동안 저장한 냉동저장 감자도 균수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생감자는 초기 총균수가 $5.3\;\log_{10}\;CFU/g$이며 물 세척 시 약 90%(1 log) 감소하여 $4.2\;\log_{10}\;CFU/g$가 되었다. 냉동저장 감자의 초기 총균수는 약 $2\;\log_{10}\;CFU/g$ 수준(g당 약 100마리) 이였다. 반면 상온저장 감자의 진균수(yeasts and molds)는 2개월(8주)까지 증가하다가(최대치: $3.22\;\log_{10}\;CFU/g$) 그 이후부터 감소 추세를 보였고 냉장저장 감자도 12주차 때, 최대치 $2.80\;\log_{10}\;CFU/g$를 보인 후 감소 추세를 보였다. 냉동저장 감자는 원 제품부터 진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6개월(24주차)가지 불검출 상태를 유지하다가 그 이후부터 효모만 약 $1.5\;\log_{10}\;CFU/g$ 수준까지 증가하였다. 영양학적 품질변화 평가에서는 수분, 지방, 당, vitamin C, $B_1$, $B_2$의 함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상온 냉장저장 감자는 2개월(8주)간 수분함량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차는 없었다. 냉동저장 감자(whole potato)는 상온 냉장 저장감자(80% 전후)에 비하여 수분함량이 다소 낮았으며(60% 전후) 저장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Frozen shoe string potato를 제외한 나머지 상온, 냉장, 냉동저장 감자에서는 지방함량이 0.002-0.01%로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Frozen shoe string potato에서는 유지가 검출되었으며, 4주차까지 다소 감소하다가 그 후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상온저장 감자의 당 함량은 저장 4주차까지 증가하다가 그 후 급격히 감소하였고, 냉장저장 감자의 당 변화량은 상온저장 감자보다 작았지만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냉동저장 감자는 12개월간 당 함량이 조금씩 감소하였으나 상온, 냉장저장 감자에 비해 변화량이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감자의 vitamin C 함량은 가공된 냉동감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온 냉장저장 감자의 vitamin C 함량은 4주차 이후부터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나 냉동저장 감자의 경우 더욱 서서히 감소하였다. Vitamin C와 같이 생감자의 vitamin $B_1$, $B_2$, 함량은 가공된 냉동감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온 냉장저장 감자의 vitamin $B_1$, $B_2$ 함량은 각각 6, 4주차 이후부터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나, 냉동저장 감자의 경우 48주(12개월)저장 중 함량변화가 없었다. 물성적 품질변화 평가에서 상온 냉장저장 감자의 무게와 부피는 24주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냉동저장 감자의 무게와 부피 변화는 48주간 전혀 없었다. 상온 냉장저장 감자의 조직의 강도(hardness)는 24주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냉동저장 감자는 48주간 hardness의 변화가 전혀 없었다. Frozen mashed 감자는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응집력(cohesiveness)이 조금씩 떨어졌으나 다른 시료들은 전혀 변화가 없었다. 모든 시료의 저장기간 동안 색깔 변화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감자의 미생물학적, 영양학적, 물성 품질을 오래 동안 유지하기 위해서는 냉동저장이 상온이나 냉장저장보다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Rheological Behavior of Sweet Potato Starch-Glucose Composites

  • Cho, Sun-A;Yoo, Byoung-Se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417-420
    • /
    • 2008
  • Rheological properties of sweet potato starch (SPS)-glucose composites (5%, w/w) at different concentrations (0, 10, 20, and 30%, w/w) of glucose were investigated in steady and dynamic shear. The steady shear rheological properties of SPS-glucose composites were determined from rheological parameters for power law and Casson flow models. At $25^{\circ}C$ all the samples showed a pronounced shear-thinning behaviors (n=0.29-0.37) with high Casson yield stress. In general, the presence of glucose resulted in the decrease in consistence index (K), apparent viscosity (${\eta}_{a,100}$), and yield stress (${\sigma}_{oc}$). Storage (G') and loss (G") moduli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frequency ($\omega$), while complex viscosity (${\eta}*$) decreased. Dynamic moduli (G', G", and ${\eta}*$) of the SPS-glucose composites at higher glucose concentrations (20 and 30%)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0% glucose) and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glucose concentration from 10 to 30%. The effect of glucose on steady and dynamic shear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SPS pastes appears to greatly depend on glucose concentration in the range of 10-30%.

Influence of Purple Sweet Potato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xidative Stability of Cookies

  • Chung, Hai-J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60-65
    • /
    • 2009
  • Cookies were prepared by adding different levels (0, 5, 10, 15, and 20%) of purple sweet potato powder (PSPP) and thei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With increase of the PSPP level, moisture content decreased and ash content increased (p<0.05). The spread factor of control cookies was higher than that of cookies containing PSPP. The incorporation of PSPP in cookies lowered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but increased redness (p<0.05). Texture measurement showed that the addition of PSPP did not affect the hardness of cookies. Results of acceptance test revealed that overall acceptability sco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the PSPP added cooki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SPP can be incorporated into cookies up to 20% without affecting the cookie quality.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assessed to examine the functionality of cookies. In addition, substitution of wheat flour with PSPP yielded cookies with higher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p<0.05). The peroxide value (POV) and acid value increased during storage at $60^{\circ}C$ for 80 days. The POV was significantly lower in cookies containing PSPP than the control cookies, suggesting that the addition of PSPP deterred the lipid oxidation (p<0.05).

Starch Phosphorylase and its Inhibitor from Sweet Potato Root

  • Chang, Tsung-Chain;Su, Jong-Ching
    • 생약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4-138
    • /
    • 1986
  • Based on a tracer study, starch phosphorylase was implicated as an agent in the starch synthesis in sweet potato roots. The enzyme was purified from the tissue as a cluster of isozymes with an average mw of 205K (fresh roots) or 159K (roots stored for 3 mon.). On SDS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one large subunit of 98K mw and several small ones of 47${\sim}57K mw were observed. From the mw data and the results of peptide mapping and immunoelectrophoretic blotting using mono- and polyclonal antibodies, it was deduced that a large part of the large subunit was cleaved at the middle part of the peptide chain to give rise to the small subunits, and on storage, the enzyme molecules were further modified by proteolysis. During the course of phosphorylase purification, a proteinaceous inhibitor of the enzyme was isolated. It had a mw of 250K and was composed of 5 identical subunits of 51K mw. In the direction of starch synthesis, the inhibitor showed a noncompetitive kinetics with a Ki of $1.3{\times}10^{-6}\;M$.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both the enzyme and the inhibitor were located on the cell wall and amyloplast. Crossreacting materials of the inhibitor were present in spinach leaf, potato tuber and rice grain. These findings indicate the wide occurrence of the inhibitor and also imply its possible participation in regulating starch phosphorylase activity in viv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