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editing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5초

3차원 프린터의 출력 볼륨보다 큰 물체를 출력하기 위한 인터랙티브 3차원 메쉬 편집 시스템 (An Interactive 3D Mesh Editing System for Printing Object Larger Than the Printing Volume of 3D Printer)

  • 추창우;김갑기;박창준;최진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619-1625
    • /
    • 2016
  • Recently, as the public interests about the 3D printing technology are increased, various kinds of 3D printers are being released. But, they are limited to use because they cannot fabricate an object which is larger than the printer's printing volume. To relieve this problem, we propose an interactive 3D mesh editing system for 3D printing the object that is larger than the printing volume. The proposed 3D editing system divides the input 3D mesh using the user's line drawings defining cutting planes and it attaches various connectors. The output meshes are guaranteed to fabricate without post-processing. The printed parts can be assembled using the connectors. Our proposed system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easily by non-professional 3D printer users.

주 관절 경로의 변형을 통한 걷기 동작 수정 (Deforming the Walking Motion with Geometrical Editing)

  • 김미진;이석원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캐릭터의 걷기 동작 데이터를 변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주 관절(root joint)의 이동 경로를 그래프로 분석하고 라플라스 연산자를 이용해 변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주 관절의 경로는 동작 데이터의 각 프레임별 위치와 방향을 정점으로 하고 이를 인접 프레임의 정점과 연결한 그래프 형태로 나타낸다. 주 관절 경로를 라플라스 연산자를 이용하여 좌표계를 변환하고 이를 목표 위치 및 방향에 맞도록 반복적인 방법으로 해를 구하여 변형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동작 데이터의 걷기 스타일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경로의 걷기 동작을 얻을 수 있게 되며 많은 비용이 드는 동작 데이터 취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최종 모션은 변형된 주 관절 경로를 기준으로 기존 모션의 다른 관절을 위치시키고 후처리하여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응용함으로써 적은 모션 데이터로도 복잡한 환경에서 캐릭터의 걷는 동작을 생성하는 것을 보인다.

영상콘텐츠 제작에서의 영상편집 교육 방법론 (Instructional Methodology for Video Editing in Image Content Production)

  • 박성대;박성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39-48
    • /
    • 2014
  • 본 논문은 영상콘텐츠 제작과정에서 포스트 프로덕션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편집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교육방법은 영상편집 과정에서 반드시 학습하여야 할 내용과 이론 및 기술교육의 비율을 각 과정의 특징에 맞게 나누어 학습하는 것이다. 2013년 12월과 2014년 8월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한 <윈터스쿨>과 <서머스쿨> 교육과정 중 하나인 '영상콘텐츠 제작기술의 이해'라는 교육과정에서 수행한 영상편집 제작기술 교육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안한 교육과정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 학생들의 높은 교육 만족도를 얻을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Network-based Cooperative TV Program Production System

  • H.Sumiyoshi;Y.Mochizuki;S.Suzuki;Y.Ito;Y.Orihara;N.Yagi;Na, M.kamura;S.Shimoda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7년도 Proceedings International Workshop on New Video Media Technology
    • /
    • pp.75-81
    • /
    • 1997
  • A new DTPP (Desk-Top Program Produc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that enables multiple program producers (directors) working at different locations to collaborate over a computer network and prepare a single program for broadcasting. In this system, information is shared among users by exchanging data edited on non-linear editing terminals in program post-production work over a network in real time. In short, the new DTPP system provides a collaborative work space for producing TV programs. The system does not make use of a special server for collaborative work but rather multiple interconnected editing terminals having the same functions. In this configuration, data at a terminal which has just been edited by some operation is forwarded to all other connected terminals for updating. This form of information sharing, however, requires that some sort of data synchronizing method be established since multiple terminals are operating on the same data simultaneously. We therefore adopt a method whereby the system synchronizes the clocks on each terminal at the time of connection and sends an operation time stamp together with edited data. This enables most recently modified data to be identified and all information on all terminals to be updated appropriately.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is new collaborative DTPP system and describes the techniques for exchanging edited data and synchronizing data.

  • PDF

깊이정보를 활용한 입체 편집 프로세스 연구 (The study of stereoscopic editing process with applying depth information)

  • 백광호;김민서;한명희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25-233
    • /
    • 2012
  • <아바타>이후 3D 입체영상은 차세대 콘텐츠 산업의 블루칩으로 떠올라있다. 그에 반해 국내에서 상업적으로 제작하였던 모든 입체 콘텐츠들이 흥행에 실패 하였다. 이는 국내 입체콘텐츠의 완성도가 해외의 콘텐츠에 비하여 매우 떨어지기 때문이며, 현행되고 있는 2D기반의 입체 후반작업 프로세스가 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입체 편집프로세스는 콘텐츠의 질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영화<나탈리>의 제작사례를 통해 알아본 현행 입체 편집프로세스는 2D기반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편집을 진행한 후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확인하며 이후 문제가 발생할 경우 수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고자 좌 우 영상의 분석을 통해 합성에서 사용되고 있는 변위지도와 깊이지도 등의 깊이정보를 시각화 하여 현행 입체 편집 프로세스에 적용하였으며, 보다 객관성 있는 입체편집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프로세스를 실제 뮤직드라마 <기억의 조각>제작에 활용하여 영화<나탈리>와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나탈리>의 경우 컷과 컷 사이의 입체 값 변화가 매우 큰 것을 볼 수 있었으나 <기억의 조각>의 경우 입체 값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현행 프로세스의 경우 주관적인 입체감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컨디션과 상태에 따라 그 값이 달라 질수 있다. 또한 Positive영역에 대한 예상은 할 수 없기 때문에 동일한 공간 혹은 한정된 공간에서 컷에 따라 각기 다른 입체 값을 보임으로써 공간의 입체감을 왜곡시킬 우려가 있다. 반면 깊이정보의 시각화를 활용한 객관적인 입체 편집은 동일한 공간에 대한 입체감과 콘텐츠 전체의 입체감을 균일하게 맞추어 입체 콘텐츠의 질을 높이고, 나아가 입체감 왜곡, 시각적 피로 등의 문제도 동시에 해결 할 수 있다.

포스트-인터넷 아트에서의 이미지 특징과 예술적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Application of the Image in Post-Internet Art)

  • 노아영;이정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347-357
    • /
    • 2020
  • 본 연구는 '포스트-인터넷 아트'라는 맥락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매개로 한 이미지의 실체에 대해 알아보고, 작품 이미지 안에서의 적용 사례를 분류·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웹2.0의 배경과 확장된 디지털·네트워크 환경을 포괄하는 포스트-인터넷 아트에서 이미지는, 고정된 형태를 넘어 다양한 포맷으로 변형·재매개되는 성격을 지닌다. 특히 디지털상에서 저화질로 복제·다운로드·재편집되는 이미지를 히토슈타이얼은 '빈곤한 이미지'라 명명하였으며,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젊은 작가들은 변화된 네트워크 환경을 포착·재맥락화하고, 다양한 이미지로서 묘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포스트-인터넷 아트에서의 이미지 적용을 SNS, 운영체제, 웹사이트에서 발견한 이미지를 수집 후 재구성한 '질료로서 수집된 이미지', 편집프로그램을 통해 새롭게 가공·재맥락화한 '작업에서 가공되는 이미지', 디지털 사회의 단면을 가상과 실재가 결합된 영상·이미지로 나타낸 '혼합된 디지털-현실 이미지'로 분류·분석 할 수 있다.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기반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효율적인 영화 후반 제작과정 (Efficient Film Post Production Process using Metadata on the eXtensible Markup Language)

  • 임영훈;김철현;백준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39-44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영화 후반 제작 단계의 편집 및 시각특수효과(Visual Effects; VFX) 과정 사이에서 효율적인 변환 작업을 위한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기반 메타데이터의 활용 방법을 제안한다. 국내 영화의 후반 작업 단계에서 편집과정으로부터 시각특수효과과정으로 데이터를 제공할 때 Cineon DPX 혹은 TGA와 같은 영상 시퀀스 형태의 작업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방식은 결과적으로 렌더링 과정을 두 번을 거치게 되어 처리 시간과 데이터 용량의 증가를 초래한다. 반면 XML을 이용한 방식은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렌더링 과정을 대체하기 때문에 시간과 데이터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다양한 편집 및 시각특수효과 프로그램에서 지원이 가능하고, 영상편집 관련 분야뿐 만 아니라 영상의 콘텐츠 정보, 그리고 온라인 콘텐츠와의 융합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를 웹 기반의 XML의 구조로 발전시키면 영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른 매체와의 융합도 가능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 제작 환경에 적합한 메타데이터 저장 방식과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공유하여 편집과정과 시각특수효과과정에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Detecting Copy-move Forgeries in Images Based on DCT and Main Transfer Vectors

  • Zhang, Zhi;Wang, Dongyan;Wang, Chengyou;Zhou, Xia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9호
    • /
    • pp.4567-4587
    • /
    • 2017
  • With the growth of the Internet and the extensive applications of image editing software, it has become easier to manipulate digital images without leaving obvious traces. Copy-move is one of the most common techniques for image forgery. Image blind forensics is an effective technique for detecting tampered images.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d copy-move forgery detection method based on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The quantized DCT coefficients, which are feature representations of image blocks, are truncated using a truncation factor to reduce the feature dimensions. A method for judging whether two image blocks are similar is propo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similarity judgments. The main transfer vectors whose frequencies exceed a threshold are found to locate the copied and pasted regions in forged images. Several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test the practicabi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using images from copy-move databases and to evaluate its robustness against post-processing methods such as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Gaussian blurring, and JPEG compression. The results of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effectively detects both copied region and pasted region of forged images and that it is robust to the post-processing methods mentioned above.

SciBabel: a system for crowd-sourced validation of automatic translations of scientific texts

  • Soares, Felipe;Rebechi, Rozane;Stevenson, Mark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8권2호
    • /
    • pp.21.1-21.7
    • /
    • 2020
  • Scientific research is mostly published in English, regardless of the researcher's nationality. However, this growing practice impairs or hinders the comprehension of professionals who depen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o provide adequate care for their patients. We suggest that machine translation (MT) can be used as a way of providing useful translation for biomedical articles, even though the translation itself may not be fluent. To tackle possible mistranslation that can harm a patient, we resort to crowd-sourced validation of translations. We developed a prototype of MT validation and edition, where users can vote for that translation as valid, or suggest modifications (i.e., post-editing the MT). A glossary match system is also included, aiming at terminology consistency.

농업비점원오염모형을 위한 GIS 호환모형의 개발 및 적용(I) -모형의 구성-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GIS Interface for the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AGNPS) Model(I) -Model Development-)

  • 김진택;박승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1-47
    • /
    • 1997
  • A geographical resource analysis support system (GRASS) was incorporated to an input and output processor for the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AGNPS) model. The resulting interface system, GIS-AGNPS was a user-friendly, menu-driven system. GIS-AGNPS was developed to automatically process the input and output data from GIS-based data using GRASS and Motif routines. GIS-AGNPS was consisted of GISAGIN which was an input processor for the AGNPS model, GISAGOUT a output processor for the AGNPS and management submodel. The system defines an input data set for AGNPS from attributes of basic and thematic maps. It also provides with editing modes so that users can adjust and detail the values for selected input parameters, if needed. The post-processor at the system displays graphically the outputs from AGNPS, which may he used to identify areas significantly contribu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