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itive feedbacks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2초

민간경비 구성요인에 따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In about Solution for Improvement in the Private Security Sector research)

  • 이영오
    • 시큐리티연구
    • /
    • 제16호
    • /
    • pp.265-282
    • /
    • 2008
  • 범죄 현상은 가치관의 혼돈과 사회현상의 변화, 정보화, 세계화, 도시화의 역기능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현상과 추세 속에서 민간경비산업 자체는 양적으로 급성장하였으나 질적으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며, 또한 민간경비를 구성하는 요인들의 네트워크와 치안공동생산을 위한 협력과 협동이 미약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인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민간경비의 구성요인을 관련법, 경비업체, 경비협회로 나누어 이들의 효율성 제고 방안을 강구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민간경비 구성요인에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의식을 조사하여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고찰한다. 둘째, 민간경비의 구성요인의 문제점을 규명한다. 셋째, 민간경비 구성요인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민간경비의 구성요인을 진단한 후 이의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결과, 첫째, 현행 경비업법령에 문제점이 많다는 지적이 많았다. 구체적으로는 교육문제, 경비원의 배치문제 등을 지적하고 있다. 둘째, 민간경비 관계자들의 경비업을 선택한 입직동기는 긍정적이고 건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민간경비업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크게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만족한 이유는 경쟁업체의 난립, 직업의 부정적 평가, 저소득 등으로 나타났다. 바로 무분별한 경쟁업체의 난립과 이에 따른 저가 입찰, 덤핑입찰 등이 경비업계의 묵은 과제인 것이 입증되었다. 셋째, 한국경비협회의 관리 및 운영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는 보통 수준의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제 사업에 대해서도 전체적으로 보통 수준의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회원사의 권익보호나 협회의 정책이나 운영에 대해서는 보통 또는 부정적인 평가가 높게 나타난 반면 회원사들의 협회 정책에 대한 협조에 대해서는 매우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학교 정규교과에서 로봇활용수업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Instruction Using Robot in Elementary Regular Classes)

  • 박정호;조혜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67-76
    • /
    • 2011
  • 본 논문은 초등학교 정규교과에서 로봇활용수업의 효과 분석을 위해 교과별 목표 달성에 적합한 로봇 및 PC연동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수업적용을 통해 학습자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후 이미지 프로파일의 대부분의 항목에서 로봇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으며 특히, '이론적-실천적', '비협동적-협동적' 두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p<.05). 또한 학습자가 그린 사후 이미지 분석 결과 사전에 비해 구체적인 학습상황과 연계된 로봇 이미지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로봇활용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면담결과 로봇의 직 간접 체험 모두 긍정적인 학습참여를 유도하고 실제적 학습경험을 제공하였다고 나타내었다. 또한 로봇활용수업을 통해 모둠 구성원과 자연스러운 협력활동이 관찰되었고 학생들도 동료와 협력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로봇활용 교육이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지구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와 관련된 논증적 글쓰기를 통해 알아본 예비교사들의 논증구조 발달 분석 (An Analysis on argumentation structure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argumentative writing on earth science related SSI)

  • 위수민;윤지영;임성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2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of argumentation structure development and factors of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SSI related argumentative writing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6 preservice teachers that students taking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theory class in K university located in Chungbuk. The testees wrote six SSI related argumentative writings (once a week), and we examined the degree of argumentation structure development and the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SSI of the preservice teachers by comparing the writing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argumentation structure of the preservice teachers'writings improved and argument level (argument capability) of them also increased as the number of writing was increased. Factors that affect the argumentation structure improvement are mainly argumentation structure education, a number of writings, feedbacks, and subjects related to SSI. In this aspect, the argumentative writing on SSI has the effect of developing scientific sophistication and enhancing the decision-making power of students, and it has positive impacts in science education.

이러닝 학습자의 감정 상태에 따른 감성 피드백의 효과 (The effects of affective feedbacks according to the learner's emotions in e-Iearning)

  • 이승미;송기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25-133
    • /
    • 2007
  •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에서 감성 기술(affective computing)을 도입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정의적인 측면에서 감성적 기억은 인지적 처리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환경에서의 학습자의 감성에 따른 정서적 피드백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인간 교사가 면대면 학습 환경에서 제시하는 정서적 피드백 메시지를 선정하고 이를 콘텐츠에 적용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학습자의 감성을 알아내기 위해 버튼을 이용한 자기 보고 방법을 사용하고 선정된 정서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교실수업에 적용한 결과 이러닝 환경에서 느끼는 학습자의 감정에 정서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 PDF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동료 에이전트가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Peer Agent on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in Programming Education)

  • 한건우;이은경;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43-51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그래밍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동료 에이전트를 개발하고, 실제 프로그래밍 교육에 적용하여 동료 에이전트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학습자와 에이전트 사이의 역할을 동료 프로그래밍 관점에서 Tutor와 Tutee로 정의하고, 에이전트가 학습자의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학습자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동료 에이전트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이나 학습내용을 제공한다. 개발된 동료 에이전트 시스템을 실제 프로그래밍 교육에 적용한 결과,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료 에이전트 학습 시스템이 학습자의 인지적 영역과 더불어 정의적 영역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 PDF

Teaching Switching Converter Design Using Problem-Based Learning with Simulation of Characterization Modeling

  • Wang, Shun-Chung;Chen, Yih-Chien;Su, Juing-Huei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0권6호
    • /
    • pp.595-603
    • /
    • 2010
  • In this paper, teaching in a "switching converter (SC) design" course us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with dynamicbehavior- model simulation, given at Lunghw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LHU), Taiwan, is proposed. The devised methodology encourages students to design and implement the SCs and regulate the controller's parameters in frequency domain by using 'sisitool' ('bode') in the MATLAB toolbox. The environment of PBL with converter characterization modeling and simulation reforms the learning outcome greatly and speeds up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o qualify and evaluate the learning achievements, a hands-on project cooperated with the continuous assessment approach is performed to modulate the teaching pace and learning direction in good time. Results from surveys conducted in the end of the course provided valuable opinions and suggestions for assessing and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 of the proposed course successively. Positive feedbacks from the examinations, homework, questionnaires, and the answers to the lecturer's quizzes during class indicated that the presented pedagogy supplied more helpfulness to students in comparisons with conventional teaching paradigm, their learning accomplishments were better than expected as well.

노력 유도와 긍정 피드백을 통한 동기 활성화가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moting Motivation through Effort-inducing Instructions and Positive Feedback on Task Performance)

  • 권은진;김태훈;이윤형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3호
    • /
    • pp.287-30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조작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기존에 동기와 과제수행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진행되었는데 자기보고식 검사는 왜곡되거나 편향된 응답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 상황에서 노력 유도 지시문과 과제수행 태도에 대한 긍정피드백을 통한 동기 활성화가 과제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실험 자극으로 실제 학습장면과 연관 지을 수 있는 수학·언어 영역의 과제를 사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수학과제 수행 시 동기조작이 과제 난이도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참가자들이 통제집단에 비해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더 많이 선택했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동일한 패러다임을 언어 과제에 적용하여 동기조작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실험 1과 동일하게 실험집단의 참가자들이 높은 난이도의 과제를 더 많이 선택하였다. 실험 3에서는 동기조작이 수행 정확률과 과제 지속성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실험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과제 정확률과 지속성 모두 더 높게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력 유도 및 긍정 피드백을 통한 내재적 동기의 활성화가 과제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실험적 증거라 할 수 있다.

고정관념과 불평등: 정체성 선택에 관한 신호이론 (Stereotypes and Inequality: A 'Signaling' Theory of Identity Choice)

  • 김영철;글렌 라우리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4권2호
    • /
    • pp.1-15
    • /
    • 2012
  • 본 논문은 고정관념(stereotypes)과 노동시장 신호(signaling)에 관한 이론적 틀에 기반하여 개인의 정체성(identity) 선택에 관한 이론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집단 간의 평판의 차이 및 이로 인한 집단 간 불평등은 사회집단에 대한 시장의 고정관념 및 이에 상응하는 집단 구성원의 인적자본 투자수준에 의해 형성된다(Arrow[1973]; Coate and Loury[1993]). 한편, 이제까지의 학계의 논의는 개인들의 사회집단 선택 및 이에 따른 사회집단 구성의 내생적 변화 가능성을 배제한 채 발전하여 왔다. 사회집단 간 평판의 차이가 존재하고 동시에 개인들의 자발적 집단 선택이 가능한 상황이라면, 평판이 좋은 사회집단은 집단의 구성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인적자본에 투자하는 '투자 확대'의 효과뿐만 아니라, 평판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사회집단에 비해 보다 우수한 인재들을 집단의 새로운 구성원으로 맞아들이는 '집단 구성'의 효과를 동시에 누리게 된다. 이러한 집단 구성의 내생성은 본질적으로 사회집단 간의 평판의 차이를 보다 확대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며, 이렇게 확대된 평판의 격차가 우수한 인재의 집중을 보다 강화시킴으로써 집단 간 경제적 불평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노동시장 신호이론을 활용하여 사회집단 선택의 내생성하에서의 집단 간 불평등의 균형점을 찾고 이들의 안정성에 관해 논하고 있으며, 집단 구성의 내생성이 주어질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사회집단 간의 경제사회적 불평등이 보다 심화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 PDF

블랜디드 러닝을 활용한 대학생을 위한 생활습관과 건강증진 교양과목 개발과 학생의 인식 (Development and Perception of a Course on Lifestyle and Health Promotion by Utilizing Blended Learning for University Students)

  • 류숙희;유지수;오재호;김희숙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28
    • /
    • 2011
  • Backgrou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innovative blended learning method on life style and health promotion and evaluate the educational effects for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blended learning was developed to combine face-to-face lecture(off-line lecture) and on-line lecture that applied the subject of life style and health promotion. This course is a coordinated effort towards providing 5 topics of lifestyle such as smoking, alcohol, exercise, diet, and stress management. This has been verified by an expert in the field of nursing, education, e-learning technician and students. Participants were different part of university students (n=28) with major enrolled in a general culture course for 2 credits which composed of 8 sessions of each 2-hour in the first semester of 2010. The study was a one group posttest design. A self-report about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health behavior was organized by content analysis after the sessions. Results: Positive feedbacks from students were reflected in the outcome. Student regarded good lifestyle as being the most important. Student concerned those on-line lectures are not only available at most time and site, but also good for individualization, visual understanding and interest. Face-to-face lecture provided student a chance to integrate with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had desire to improve good lifestyle and health promotion. Conclusions: The blended learning method on good lifestyle and health could make a best use of improvement for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concerning. It is needed to identify the long term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for further study.

  • PDF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정중심평가 적용 실태 분석 (Analysis of Application Status of Process-Centered Assessment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 곽영순;하지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63-471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과정중심평가의 초등학교 현장 적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133명)와 초등학생(2,089명)을 대상으로 과정중심평가와 관련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고, 8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초등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의 도입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도입 이후 수행평가 유형이 증가하고, 전통적 평가방법의 활용이 감소하는 변화가 있었다. 초등학생들은 과학 수업에서 과정중심평가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개별적 지원이나 긍정적 피드백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면담을 통해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이해 부족, 실제 적용을 위한 시간 부족 등과 같은 초등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적용의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 이해 제고의 필요성, 과정중심평가 자료 보급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