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 city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32초

항만과 배후도시 관계를 고려한 항만중심도시의 발전방향 - 광양항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Policy of Major Port City considering Port-Port City Relationship - The Case of Gwangyang Port, Korea -)

  • 정봉현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7-97
    • /
    • 2013
  • 본 논문은 항만과 배후도시의 상생적 발전전략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광양항을 중심으로 항만과 배후도시의 관계를 분석 정립하여 광양시가 항만중심도시로 성장 발전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도 계획적인 관점에서 강구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내용은 서론, 항만과 항만도시관계의 개요, 광양항 및 광양시의 관계성 분석, 광양 항만중심도시의 장래발전방향 및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양시의 발전구상을 동북아 항만 물류 미관 거점도시로 설정하며, 발전방향은 항만의 도시기능 증진, 항만의 지속가능한 발전 및 항만 항만도시의 통합관리 측면에서 세부전략들을 제시한다. 항만의 도시경제기능 강화전략에는 항만산업의 부가가치 창출, 항만배후단지 활성화, 항만물류비즈니스의 창출, 항만클러스터의 구축 등이 들어있다. 항만도시 질적 향상과 지속발전을 위해서는 저탄소 녹색항만의 운영, 연안환경시설의 개선, 친수성 항만공간의 조성 및 장기 항만재개발계획 구상 등의 전략들을 강구하는 것이 좋다. 항만 항만도시의 통합계획관리 전략에는 항만중심도시 발전계획의 수립, 항만중심도시 제도적 기반의 구축, 항만도시의 특성화 전략 마련과 광양항 자유무역도시 육성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항만과 도시기능의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 인천의 사례를 중심으로 - (Connection Strategies between Port and City functions - Focused on the case of Incheon -)

  • 이태휘;여기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5-80
    • /
    • 2012
  • 본 연구는 항만과 도시기능이 충돌하는 현상을 보이는 인천의 사례를 통하여 항만과 도시기능의 연계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분석방법으로 다차원 척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유사성을 갖는 항만도시로 그룹핑 하기 위하여 총 5개 지표(컨테이너 물동량, 인구수, 도시면적, 정기취항 선사 수, RCI[Relative Concentration Index])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Containerisation International Yearbook (2010)을 통하여 제시된 18개 아시아 항만도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동종 항만도시 군내에 연계지수인 RCI가 인천보다 상회하는 요코하마를 벤치마킹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요코하마는 인천에 비해 항만배후단지의 활용 측면에서 다양하며 '미나토미라이 21'과 같은 항만과 도시의 일관된 정책 사례를 펼쳐 항만과 도시기능의 연계성을 높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항만공사(PA) 운영 활성화를 위한 법률 정비와 지원조례 설치방안 -부산항만공사와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Managing Legal Issues and Developing Ordinance for the Effectiveness of Port Authority: Focused on Busan Port Authority and Busan Metropolitan City)

  • 손애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7
    • /
    • 2004
  • This study deals with legal issues and solutions for a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Busan Port Authority(BPA) and proposes Busan Metropolitan City Ordinance for the effectiveness of BPA because the role of BPA is to improve Busan regional economy an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In order to prepare the ordinanc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current legislation related to Port Authority(PA), which empowers central government to control the management of port, should be amended to strengthen the port autonomy by allowing PA and local government to control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n port independently and enabling the building of cooperative system from the City for BPA.

  • PDF

항구도시로서 동해시의 성장전망과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wth Prospect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Donghae City as Port City)

  • 최장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70-79
    • /
    • 2006
  • This study deals with analysing the growth prospect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Donghae city with two international ports. To do so, it is progressed, firstly, to examine the general discovery about port since the late nineteenth century, secondly, to unfold it's theory with Mukho and Donghae port as Donghae city development element as the central figure, thirdly, to analyse Donghae city as the important place of traffic, the location of industry and the resource base in a spatial planning side.

  • PDF

항구도시 근대 도시공간 형성에 관한 연구 - 요코하마시 가로 및 운하의 변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Modern Urban Space in Harbor City - Focusing on Transformation of the Urban Street and Canal Space in Yokohama Japan -)

  • 홍지완;김준;유재우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4호
    • /
    • pp.133-140
    • /
    • 2018
  • This study is change of the street space of the port city of Yokohama and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canal. modern port city Yokohama is a region that wa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East-West maritime transport routes in Japan in the 17th century and the inland transportation through fishing villages and ports. it has also grown rapidly as a regional port and new port. In particular,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trade between foreign settlements and Japanese residents in the port area, the existing fishing area became a modern port city space. Yokohama went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and grew into a modern port city. The construction of the port harbor and the maintenance of existing logistics functions, the formation of the central horizontal axis through maintenance of the fishing village, the construction of the logistics movement route to the inland area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canal, the expansion of the horizon for fire prevention and fire restoration, The formation of a new settlement space according to the movement, the transformation of the existing religious axis by the combination of the elabor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modern transportation, and the spatial connection between the inland cities.

Port City and Local Population Relationship: the Perception of Busan Citizens of the Port

  • Enrico, D'agostini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2-184
    • /
    • 2019
  • Ports are responsible fro the cre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towards the city. The study's contribution focuses on empirically evaluating the perception of Busan citizens of the local port through an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 PDF

Port-City and Local Population Relationship: the Perception of Busan Citizens of the Port

  • D'agostini, Enrico;Jo, So-Hyu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0-121
    • /
    • 2019
  • Ports play a key role in international trade, as integral hubs where passengers and cargoes are loaded, discharged, and transshipped. However, the function of ports is becoming more diversified, expanding on roles as industrial clusters, as well as logistical centers. Such roles combined, reap numerous and significant benefits, mainly with growth of jobs and wealth creation, for the local population living in the city, and beyond. Citizens' awareness of the function and value of ports may not be positive, because of a range of negative factors such as emissions, noise, and road congestion, which can influence their perception. This study's contribution focuses on empirically evaluating the perception of Busan citizens of the local port, by applying Q methodology. The links connecting the port-city and local population, are assessed by identifying: 1)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Busan citizens of the port; 2) Factors perceived as positive as well as factors perceived as negative by Busan citizens. There are four main factors, derived from the analysis: 1) Port functional knowledge; 2) Lack of social connectedness port-city; 3) Environmentally concerned and; 4) Absent port's ripple's effect. Policy recommendations suggest focusing on improving citizens' perception of the port, for each of the four main factors derived from the analysis.

The Netherlands Spatial Development for Port Area in City-Region Focusing on the Case of Kop van Zuid in Rotterdam

  • Lee, Hee Jae;Whang, Heejoo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135-143
    • /
    • 2020
  • The Netherlands is a human-made country and an extremely well-designed European country as well. The general Dutch spatial planning for the city and environment takes place at a regional level. The local community determines the primary development conditions, and the prospect is included in a legally binding land-use plan. Especially, Rotterdam is a representative port city as the center of world trade and the gateway to western Europe. According to the history of war, the city reconstruction and the movement of the port area have led to a general change in Rotterdam and the regional redevelopment project on the southern port area of Mass river for the expansion of city functions and the balanced development. The research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spatial development of the Netherlands city-region based on the analysis regarding the Kop van Zuid project, which is a representative implemented case in Rotterdam. The theoretical framework is the five dimensions and twelve indicators of territorial governance from the TANGO research project by the EU. The target case is assessed by planning and social aspect,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are discussed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This research has the possibility to be utilized as advanced research by the European perspective for spatial development in other city-regions with the port area, such as Incheon and Busan in Korea.

광양시 항만물류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 외생화 산업연관모형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Regional Economic Ripple Effects of Port Logistics Industry in Gwangyang City - Focusing on Exogenous Specified Input-Output Model -)

  • 김민성;나주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77-95
    • /
    • 2023
  • 본 연구 대상지인 광양시의 지역기반산업은 광양항과 광양제철소이다. 따라서 광양시 항만물류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2015년과 2019년의 전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RW접근법과 LQ기법을 활용한 다단계접근법으로 광양시 지역산업연관표를 작성하고, 항만물류산업을 재분류한 외생화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광양시 항만물류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계량적으로 파악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광양시 항만물류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및 전·후방연계효과가 높은 산업은 제조업, 운송,육상 및 항공물류 부문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부가가치유발효과 및 취업유발효과가 크게 나타난 산업은 서비스업 관련 산업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 산업들을 촉진시켜 광양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으로 항만물류산업을 육성하는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과 광양시 항만물류산업 부문의 제반 정책적 지원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소도시의 항만물류산업을 외생화하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광양시 지역경제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하지만,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항만도시 인터페이스 공간특성에 의한 항만배후단지 활용방안 (A Study on Application of Port Hinterland by a Space Port City Interface Characteristics)

  • 황선아;김종구;홍지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169-180
    • /
    • 2016
  • 항구도시에서 항만과 도시공간은 상이한 공간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서로 상호의존적으로 발전되어 나가야 한다. 기능쇠퇴로 인한 기존 공간의 장소성 상실과 기능 저하는 도시 전체의 이미지를 나쁘게 만들 뿐만 아니라 나아가 지역 경제부흥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일부 선진국에서는 시대변화에 따른 항만공간 특성 및 기능의 변화로 인해 낙후되어가는 항만공간에 대한 연구를 오래전부터 지속적으로 진행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만배후단지에 항만과 도시공간 사이의 완충지 역할을 할 수 있는 항만도시 인터페이스 공간의 특성 적용하여 향후 국내 항만배후단지가 주변 공간특성과 항만도시 인터페이스 특성이 부여된 효율적인 공간으로 활용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