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

검색결과 12,249건 처리시간 0.034초

LA/LB항과 부산항의 저탄소 항만운영에 관한 비교연구 - 비용부담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Low-Carbon Port Management of Busan and LA/LB - On the Basis of Port Management Cost -)

  • 조동오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23-228
    • /
    • 2010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그동안 관심이 적었던 항만으로부터의 탄소배출량이 상당량에 이르고 이의 억제를 위한 노력이 LA/LB(Los Angeles/Long Beach)항만을 중심으로 선진항만에서 전개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 Green Port 전략의 일환으로 부산항에서 저탄소 항만운영정책이 강화되고 있다. 저탄소 항만운영은 단기적으로 항만비용을 증가시켜 가격경쟁력을 약화시킨다. 따라서 부산항의 경우 저탄소 항만운영으로 인한 비용을 항만이용자에게 부담시키지 않고 항만당국이 저탄소를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반면 LA/LB의 경우 저탄소 항만운영의 비용을 선주 및 화주 등 항만이용자에게 부담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과 LA/LB항의 저탄소 항만운영에 관한 비교분석을 통해 부산항의 지속가능한 항만운영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산업중핵항만으로 발전하기 위한 광양항의 과제 (Projects of Gwangyang port to Develop Industrial Core Port)

  • 이태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0
    • /
    • 2022
  • 최근 10년 간 광양항의 품목별 물동량 증가 추이를 살펴보면, 석유화학 품목은 26% 성장, 철강은 12% 성장하였지만 컨테이너화물은 4% 성장에 머물러 있다. 이에 다기능 종합항만이자 산업항으로서 광양항의 강점과 컨테이너화물 처리실적 정체라는 광양항의 약점을 고려해 여수광양항만공사는 광양항의 새로운 성장 비전을 산업중핵항만(Industrial Core Port)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중핵항만으로 광양항이 발전하기 위한 과제들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산업중핵항만으로 발전하기 위한 선결과제는 항만물동량 일변도의 항만성과지표의 수정 내지 변화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제시하였다. 산업중핵항만으로서 발전하기 위한 광양항의 과제는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광양항 산업중핵항만 성과지표를 도출해 이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항만의 산업지원 만족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광양항 항세권(hinterland) 부가가치 측정이 필요하다.

화주의 광양항 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Empirical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for Shippers' Selection of Gwangyang Port)

  • 최성희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99-217
    • /
    • 2008
  • 항만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정리해보면 매우 다양한 연구에서 결정요인들이 도출되었으며, 다수의 연구에서 주요요인들이 중복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연구자별로 조사대상의 입장과 선호도에 따라 다소 연구결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화주들의 광양항 선택 결정요인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문헌조사와 함께 적합한 실증적 연구와 분석이 요구되어 진다. 본 연구에서는 화주가 항만을 선택할 때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후, 도출된 결정요인들이 광양항을 이용하고 있는 화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광양항 이용화주들의 지속적인 광양항 이용 여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고,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항만선택 결정요인인 항만서비스, 항만시설, 항만입지, 항만비용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독립변수의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항만서비스 요인으로는 하역능력, 선박기항 빈도, 항만체선, CFS의 처리능력, 통관서비스, 항만정보 서비스 등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항만시설 요인으로는 항만의 규모, 적절한 하역장비의 보유, 화물의 손상 및 멸실 빈도 등을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항만입지 요인으로는 항만과의 접근성, 항만의 인지도 등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항만비용 요인으로는 내륙운송비, 항만시설사용료, 하역료, 무료장치기간, 인센티브 등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광양항 이용 화주들은 항만서비스, 항만시설, 항만입지, 항만비용 요인에서 모두 광양항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항만비용, 항만입지, 항만서비스, 항만시설 등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화주들이 항만시설보다는 항만비용과 항만의 입지, 항만서비스를 항만선택 시 주요한 고려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항만물류서비스의 평가에 관하여 (On the Evaluation of Physical Distribution Service in Ports)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29
    • /
    • 1996
  • It is required to consider pricing and non-pricing factors and external econom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s of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in a port. Recently, among the three factors,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non-pricing factor in the system. Although physical distribution service in a port(PDSP)has been frequently mentioned in documents and literature related to port and shipping studies, few study on it has not been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made due to the following problems; $\circ$ there are not proper criteria to evaluate level and quality of PDSP an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set up a unified standard for doing so. $\circ$ algorithms to evaluate problems with complex and ambiguous attributes and multiple levels in PDSP are not available. This thesis aims to establish a paradigm to evaluate PDSP and to abvance existing decision making methods to deal with complex and ambiguous problems in PDSP. To tackle the first purpose, extensive and thorough literature survey was carried out on general physical distribution service, which is a corner stone to handle PDSp. In addition,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to the expert, it have extracted 82 factors of physical distribution service in a port. They have been classified into 6 groups by KJ method and each group defined by the expert's advice as follows; a. Potentiality b. Exactness c. safety d. Speediness e. Convenience f. Linkage Prior to the service evaluation, many kinds of its attributes must be identified on the basis of rational decision owing to complexity and ambiguity inherent in PDSP. An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is a method to evaluate them but it is not applicable to PDSP that have property of non-additivity and overlapped attributes. Therefore, probablility measure can not be used to evaluate PDSP but fuzzy measure is required. Hierarchical fuzzy integral method, which is merged AHP with fuzzy measure, is also not effective method to evaluate attributes because it has vary complicated way to calculate fuzzy measure identification coefficient of attributes. A new evaluation algorithm has been introduced to solve problems with multi-attribute and multi-level hierarchy, which is called hierarchy fuzzy process(HFP).Analysis on ambiguous aspects of PDSP under study which is not easy to be defined is prerequisite to evaluate it. HFP is different from algorithm existed in that it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fuzzy measure and probability measure adopted in AHP and that it directly calculates the family of fuzzy measure from overlapping coefficient and probability measure to treat and evaluate ambiguous and complex aspects of PDSP. A new evaluation algorithm HFP was applied to evaluate level of physical distribution service in the biggest twenty container port in the world. The ranks of the ports are as follows; 1. Rotterdam Port, 2. Hamburg Port, 3. Singapore Port, 4. Seattle Port, 5. Yokohama Port, 6. Long beach Port, 7. Oakland Port, 8. Tokyo Port, 9. Hongkong Port, 10. Kobe Port, 11. Los Angeles Port, 12. New york Port, 13. Antwerp Port, 14. Felixstowe Port, 15. Bremerhaven Port, 16. Le'Havre Port, 17. Kaoshung Port, 18. Killung Port, 19. Bangkok Port, 20. Pusan Port

  • PDF

동북아 중심항만 구축을 위한 컨테이너 터미널의 개발 및 운영전략 (Strategies for Container Terminal Development and Operation for the Hub port in Northeast Asia)

  • 이철영;양원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21세기에 대비한 지능형 통합항만관리
    • /
    • pp.271-285
    • /
    • 1998
  •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strategies for Korea port, especially Busan to develope into a viable transhipment center and/or Hub port as the articulation points between mainline and feeder nets. To tackle this goal, the authors clarify the requirements for Korea port which will be critical in determining its position as Hub through the careful analysis on competitiveness, environmental impact, port policy and capacity, transhipment traffic and inherent ablity to generate traffic.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Coping with increasing container volumes, new investment is sustainedly necessary to increase the capacity and inherent ability of container port and create economies of scale. Moreover, increasing port capacity will increase the potential for the Korea port's inclusion into mainline rather than feeder networks. (2) Considering an increasing awareness of need for customer-oriented option s and service quality rather than simply a reliance on infrastructure-led efficiency, privatization of one sort or another and corporation of port have been key strategies in achieving greater efficiency in Korea containerport.

  • PDF

마산항의 발전방향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asan Port)

  • 김흥기;공덕암;강용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9-206
    • /
    • 2011
  • 우리나라 수출입화물의 주요 관문이었던 마산항이 최근 들어 침체와 위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인접 대형항만(신항)의 건설에 따른 물동량의 감소, 항만시설의 노후화, 친수 공간의 부재 등 항만발전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마산항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항만시설의 현대화, 구항의 재개발과 친수공간의 확충, 그린포트의 구축과 관광항만의 개발을 조속히 추진하는 한편, 새로운 고부가가치 항만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마산항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중량화물 및 대형화물의 물류전문항으로 특화하는 차별화 전략을 적극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동북아 중심항만 구축을 위한 컨테이너 터미널의 개발 및 운영전략 (Strategies for Container Terminal Development and Operation for the Hub Port in Northeast Asia)

  • 이철영;최재수;박진수;채양범;신창훈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1-176
    • /
    • 1998
  •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strategies for Korea port, especially Busan to develope into a viable transhipment center and/or Hub port as the articulation points between mainline and feeder nets. To tackle this goal, the authors clarify the requirements for Korea port which will be critical in determining its position as Hub trough the careful analysis on competitiveness, environmental impact, port policy and capacity, transhipment traffic and inherent ability to generate traffic.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Coping with increasing container volumes, new investment is sustainedly necessary to increase the capacity and inherent ability of container port and create economies of scale. Moreover, increasing port capacity will increase the potential for the Korea port's inclusion into mainline rather than feeder networks. (2) Considering an increasing awareness of need for customer-oriented operations and service quality rather than simply a reliance on infrastructure-led efficiency, privatization of one sort or another and corporation of port have been key strategies in achieving greater efficiency in Korea containerport.

  • PDF

항만기술인력의 교육제도 개선방안 (A Study on the Education System of Port Labor in Pusan Port)

  • 박남규;남율수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61-268
    • /
    • 1998
  • The productivity of port labor in Pusan port is very low and the ratio of port accident is high in comparision with other advanced foreign port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why the productivity in Pusan port is much lower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in terms of port labor education systems. To obta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writers used 163 questionnaire for port labor in BCTOC, PECT and UTC for the survey of training method of cargo equipment handl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as follows; (1) From the fact that ratio of labor who were trained by KPTI was 2.5%, we could say the public training system of port labor is not operated properly (2) As most of laborers are trained by the experienced associate, they do not recognize how the level of cargo handling equipment is set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3) In order that the port public training system plays a good role in port industry, a new license system should be introduced and an expert education system should be developed.

  • PDF

국내 항만기술 개발정책과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ort Technology Policy and Development Strategy)

  • 최상희;원승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1권)
    • /
    • pp.331-337
    • /
    • 2006
  • 세계적으로 항만의 대형화, 첨단화, 효율화 등 항만환경의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선진항만들은 대륙별로 중심항만의 입지를 구축하기 위해 항만기술의 연구개발과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항만의 대형화, 첨단화, 효율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항만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자국 항만산업 발전과 더불어 세계 항만기술 관련 산업의 선점과 수출 극대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항만기술 개발의 현황과 추진정책을 살펴보고 항만기술 분야의 정립을 통해 국내 항만기술개발의 발전전략과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국내 항만기술 개발정책과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ort Technology Policy and Development Strategy)

  • 원승환;최상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9-105
    • /
    • 2007
  • 세계적으로 항만의 대형화, 첨단화, 효율화 등 항만환경의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선진항만들은 대륙별로 중심항만의 입지를 구축하기 위해 항만기술의 연구개발과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항만의 대형화, 첨단화, 효율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항만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자국 항만산업 발전과 더불어 세계 항만기술 관련 산업의 선점과 수출 극대화를 이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항만기술 개발의 현황과 추진정책을 살펴보고 항만기술 분야의 정립을 통해 국내 항만기술개발의 발전전략과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