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ation trend

검색결과 831건 처리시간 0.021초

최근의 출산력과 정책적 함의 (Recent Fertility and its Policy Implications)

  • 박경애
    • 한국인구학
    • /
    • 제30권3호
    • /
    • pp.137-156
    • /
    • 2007
  • 합계출산율이 2005년 1.08이라는 최저치에서 2006년 1.13으로 증가하면서, 이 증가가 각종 정책의 결과이기 때문에 출산력 증가가 지속될 것이라는 주장과 일시적일 것이라는 주장 간 논란이 있다. 이 연구는 인구동태신고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의 출산력 변화를 집중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정책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출산순위별 템포조정합계출산율, 모의 연령 및 출산순위별 출산율, 연령별 유배우 출산율, 연령별 유배우 이혼율 등을 분석하였다. 전년대비 2006년 합계출산율과 출생아수가 증가한 것은 여성의 초혼과 첫째아 출산의 연기가 주춤해지면서 주로 30대 초반의 첫째아 출산 증가에 기인한다. 2006년과 2007년에는 20대 후반 여성인구의 증가(제3차 베이비붐 효과) 및 초혼의 급증으로 2007년과 2008년에는 출생아수가 증가할 것이다. 다만, 20대의 미혼율은 증가하구 유배우 출산율은 감소 추세이어서 장기적 관점의 출생아수 및 출산율 증가는 미지수이다. 또한, 첫째아와 둘째아의 출산율은 급속도로 저하되는데 반해, 셋째아 이상은 변화가 없으며, 둘째아 출산이 출산연령조정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셋째아 이상을 출산하도록 장려하는 것보다는 첫째아, 둘째아를 낳을 수 있는 사회적 환경 조성이 더 필요하고 현실적임을 시사한다. 아울러, 사회적 양육대책 마련, 고령출산에 따른 모자보건문제, 다문화가정지원책 필요성 등을 언급하고 있다.

신시가지형 혁신도시 개발에 따른 대도시 인구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 대구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Population Distribution in Metropolitan Area by the Development of the New Town-type Innovation City: A Case Study of the Daegu Innovation City in South Korea)

  • 박정일;김지혜
    • 지역연구
    • /
    • 제34권3호
    • /
    • pp.55-68
    • /
    • 2018
  • 본 연구는 대구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신시가지형 혁신도시개발에 따른 대도시 인구분포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7~2016년 통계청 인구동향조사와 국내인구이동통계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여 대구광역시 및 주변 시군의 인구변화를 자연적 증가와 사회적 증가(인구이동)로 분해하여 동태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구광역시의 인구는 지속적인 감소경향을 보이는 반면, 도시외곽 혁신도시개발지가 위치한 동구는 해당지역으로의 인구유입에 따라 인구성장을 경험하고 있었다. 특히 2014년 이후 동구로의 높은 순 인구이동의 발생은 대구혁신도시 개발의 준공과 공공기관 이전 시기와 일치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다. 2007~2016년 사이 동구로 이동 인구의 전출지역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으로부터 유입은 전체의 6.9%인 반면 동구 내부이동(34.5%)과 더불어 대구 내 7개 구군(35.8%)과 주변 4개 시군(8.2%)에서 유입된 인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특히 대구혁신도시가 위치한 동구로의 전입인구는 동구 인접지역인 수성구, 북구, 경산시로부터 유입인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시가지형 혁신도시개발은 도시의 외연적 확산을 심화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간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COVID-19 전후 제주도 관광지의 유동인구 분포 변화 (Changes in Floating Population Distribution in Jeju Island Tourist Destinations Before and After COVID-19 Using Spatial Big Data Analysis)

  • 정헌규;최용복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28
    • /
    • 2024
  • 본 연구는 제주도의 주요 관광지별 COVID-19 전후 관광객 유동인구 변화 추세를 공간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관광객 유동인구 패턴 변화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한다. 제주도의 성산읍과 안덕면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기간은 COVID-19 발생전 1년과 발생후 2년으로 설정하였다. 공간분석을 위하여 이동통신 유동인구 데이터를 정제 및 가공하여 유동인구 분포와 유동인구 증감 데이터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공간데이터화 하여 주요 관광지의 위치데이터와 중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실내 관광지와 소규모 시설은 COVID-19 직후 유동인구가 감소하였으며, 개방된 해안지역 또는 대규모 시설의 경우 유동인구 감소가 적거나 오히려 유동인구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관광개발에서 관광시설 특성에 따른 유동인구의 변화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관광지 개발시 팬데믹과 같은 위험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관광시설 및 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패션 브랜드 지점 조사를 통한 구미시 상권 구조 및 패션 동향 분석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of Trading Area and Fashion Trend in Gumi based on the Observation of Fashion Brand Stores)

  • 정유진;김동인;박상진;정인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3_4호
    • /
    • pp.511-52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rganization of trading area and fashion trend in Gumi based on the observation of fashion brand stores which had been undertaken on a regular basis from July 2001 through July 2004. Gumi has over 1,000 stores located in main trading streets, about $25\%$ of which was fashion retail stores. In July 2004, $64.6\%$ of them was selling branded products, and the number of unisex casual wear stores was the greatest, followed by women's casual wear stores, sportswear stores, and children's wear stores. On the main streets of Gumi, casual attires as well as casual wear stores can be easily observed because the population of eumi is young compared to that of other regions. Among casual wear brands, especially sensory, or trendy casual wear brands such like BNX, A6, Coax, Koolhaas, EXR, and Smex came into Gumi area in large numbers since fall of 2002. From the observation data, dynamic and systemic effects of economic state, population, seasonal elements, product characteristics, etc. on the organizations of trading area were identified.

Changes in Brain Glioma Incidence and Laterality Correlates with Use of Mobile Phones - a Nationwide Population Based Study in Israel

  • Barchana, Micha;Margaliot, Menahem;Liphshitz, Iren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1호
    • /
    • pp.5857-5863
    • /
    • 2012
  • Introduction: Mobile phones are in extensive use worldwide and concerns regarding their role in tumor formation were raised. Over the years multiple studies were published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issue using several approaches. The current study looks at secular trends of brain gliomas (low and high grade) incidence and changes in tumor's laterality over 30 years in a population extensively using this technology with a possible correlation to the spread of use of mobile phones. Materials and Methods: All brain gliomas that were diagnosed from 1980-2009 were included and subdivided into two groups - low and high grade. Secular and periodic time trend analyses of incidence rates and changes in laterality were performed. Preferred side of head using mobile phones was assessed with a questionnaire in a sample of adult individuals. Results: A decrease in incidence of low grade giomas (LGG) that correlated with introduction of mobile technology was found from 2.57, 2.34 and 2.79 for every 100,000 in the period 1980 to the end of 1994 to 1.72, 1.82 and 1.57, respectively, over the last three 5-years periods (1995-2009). High-grade glioma incidence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980-2009 but in the period after mobile phones were introduced (1994-2009) a lower, non significant, rate of increase was observed in males and a lower one (significant) in females. A shift towards left sided tumor location for all adult gliomas combined and separately for LGG and HGG was noted from 1995 onward. The shift was more marked for those who were diagnosed in ages 20-49 (p=0.03). Conclusions: We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LGG's over 30-years period that correlates with introducing of mobile phones technology and a shift in laterality towards left-sided tumors, the latter occurred in both low and high-grade gliomas.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of Some Productive and Reproductive Traits in Italian Buffalo. Genetic Evaluation with BLUP-Animal Model

  • Catillo, G.;Moioli, B.;Napolitano, F.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6호
    • /
    • pp.747-753
    • /
    • 2001
  • In this study, the Italian milk recorded buffalo population from 1974 to 1996 was analysed with the purpose to estimate genetic and environmental variability and provide genetic parameters for the most important economic traits. High variability between herds was evident due to the poor knowledge of feeding requirements and husbandry technology in this species compared to cattle. Age at first calving was reduced by 57 days during the considered years following efforts made in better feeding and management from 1990; on the contrary, calving interval has increased by 17 days as a consequence of forcing buffaloes to calve in spring, in order to have the peak milk yield when milk is much better paid. Average milk yield increased by 1853 kg during these years, while lactation duration was reduced by 30 days. Season of calving has no effect on all traits. Calving order has a positive effect on milk yield especially because older cows produce more milk in shorter lactations. Heritability for the age at first calving and calving interval was 0.26 and 0.05 respectively. Heritability of productive traits, milk yield and duration of the lactation was 0.19 and 0.13 respectively, with repeatabilities of 0.40 and 0.26. Genetic trend for milk yield was 2.1 kg milk/year for the bulls and 1 kg for all population. The high genetic variability of milk production as well as duration of the lactation, indicates that there are good opportunities for genetic improvement when including these traits in a selection scheme. The low genetic trend registered over 15 years of recording activity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neither progeny testing was performed or selection schemes were implemented, due to the difficulties to use artificial insemination in buffalo.

An Insight of Meat Industry in Pakistan with Special Reference to Halal Meat: A Comprehensive Review

  • Sohaib, Muhammad;Jamil, Faraz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29-341
    • /
    • 2017
  • Livestock is considered central component in agricultural sector of Pakistan, provides employment to more than 8 million families. Meat and meat products holds pivotal significance in meeting dietary requirements serving as major protein source and provide essential vitamins and minerals. Globally, consumer demand is increasing for healthy, hygienic and safe meat and meat products due to growing population, income level and food choices. As, food choices are mainly influenced by region, religion and economic level. However, religion is one of the major factor to influence the food choices. In this context, halal foods a growing trend, trade estimated to cross USD $ 3 trillion and among this, meat sector contribute about US$ 600 billion. Halal meat and allied products is requirement from Muslims but it is also accepted by non-Muslims due to safe and hygienic nature, nutritious value and superior quality. Pakistan meat industry is vibrant and has seen rigorous developments during last decade as government also showed interest to boost livestock production and processing facilities to meet increasing local and global demand. The industry has potential to grow owing to its natural animal rearing capability, muslim majority country (96% of total population), improvisation of market and consumer preference towards halal meat. Current review debates Pakistan meat industry scenario, production trend, global trade as well as future potential with respect to modernization, processing, distribution and trade. The data presented here is useful for meat producers, processors and people involved in export of Pakistani meat and meat based products.

건설업 실태분석을 통한 건설업생산성의 발전전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spects of Build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through Construction Status Analysis)

  • 박홍태;전준태;이양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242-257
    • /
    • 2012
  • 우리나라의 인구변화의 양상은 사망률의 감소,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고령화, 여성화 추세이며, 더불어 출산율의 저화와 고령화 인구의 비율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어려운 인력수급으로 건설노무자는 외국인에 의해 충원되고 있으며 미국, 유럽, 중국 등과 FTA의 체결로 노동집약적 산업이 쇠퇴하면 건설노무자의 일자리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것은 건설 기능인력의 부족현상과 기능 인력의 노무비 증가로 국가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주어 건설업 생산성 저하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건설업 생산성을 위해 최근 자료로부터 국내 건설경기 동향, 산업별 생산성 지수, 산업별 취업자 추이, 연령 계층별 기능인력 추이, 여성 기능 인력 추이, 노동시간 추이, 외국노동자 인력 추이, 건설업의 수주동향 분석, 업체규모별 수주동향, 건설경영분석지표로부터 노동생산성에 관한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분석으로 건설업생산성 발전전망을 제시하였다.

교육집단별 건강 추세에 대한 분석 (Trends in Health across Educational Groups)

  • 김진영
    • 한국인구학
    • /
    • 제34권1호
    • /
    • pp.99-12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교육수준에 따른 건강불평등이 최근으로 올수록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 하는 것을 포괄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건강 양극화의 극복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의 시급함과 관련한 정책적 함의가 큰 주제의 연구인데, 이에 대한 국내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최근 시기로 올수록 교육수준에 따른 건강불평등이 악화되었는지, 특히 어떤 하위 집단(교육-연령 집단)에서 건강과 관련하여 특정한 추세가 존재하는지를 잠재성장곡선(latent-growth-curve) 모형을 이용한 노화-벡터(aging-vector) 접근이라는 최신의 효과적 분석 기법을 이용해 확인 한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2003년에서 2007년 사이 세 집단으로 분류된 모든 교육집단에서 대체로 건강이 향상되는 추세가 발견되었으나, 각 교육집단 내 연령에 따라 그 추세는 차별적이다. 고졸미만 집단의 경우는 청년과 중년 집단에서 건강이 향상되었고, 고졸과 대학수준 집단의 경우는 중년과 노년 집단에서 건강이 향상되었다. 그 결과 건강불평등이라는 측면에서의 추세도 연령별로 차이를 보이는데, 청년 집단에서는 교육수준별 건강불평등이 약간 감소했고, 중년 집단에서는 건강불평등에 별 변화가 없었고, 노년 집단에서는 건강불평등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이처럼 특정 교육-연령집단에 대한 추세를 특화할 수 있는 본 연구의 접근은 건강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사회적 개입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는 하위 집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교육수준이 낮은 노인층이 그러한 취약 집단임을 발견하였다.

Methane emission from municipal solid waste dumpsites: A case study of Chennai city in India

  • Srinivasan, Pavithrapriya;Andimuthu, Ramachandran;S.N., Ahamed Ibrahim;Ramachandran, Prasannavenkatesh;Rajkumar, Easwari;Kandasamy, Palanivelu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97-107
    • /
    • 2020
  • The indiscriminate growth in global population poses a threat to the world in handling and disposal of Municipal solid waste. Rapid urban growth increases the production, consumption and genera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which leads to a drastic change in the environment. The methane produced from the Municipal Solid waste accounts for up to 11% global anthropogenic emissions, which is a major cause for global warming. This study reports the methane emission estimation using IPCC default, TNO, LandGEM, EPER and close flux chamber from open dump yards at Perungudi and Kodungaiyur in Chennai, India. The result reveals that the methane emission using close flux chamber was in the range of 8.8 Gg/yr-11.3 Gg/yr and 6.1Gg/yr to 9.1 Gg/yr at Kodungaiyur and Perungudi dump yard respectively. The per capita waste generation was estimated based on waste generation and population. The waste generation potential was projected using linear regression model for the period 2017-2050. The trend of CH4 emission in the actual field measurement were increased every year, similarly the emission trend also increased in IPCC default method (mass balance approach), EPER Germany (zero order decay model) where as TNO and Land GEM (first order decay model) were decreased. The present study reveals that Kodungaiyur dump yard is more vulnerable to methane emission compared to Perungudi dump yard and has more potential in waste to energy conversion mechanisms than compare to Perungudi dump y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