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e of Population Distribution in Metropolitan Area by the Development of the New Town-type Innovation City: A Case Study of the Daegu Innovation City in South Korea

신시가지형 혁신도시 개발에 따른 대도시 인구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 대구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

  • 박정일 (계명대학교 도시학부 도시계획학전공) ;
  • 김지혜 (계명대학교 도시학부 도시계획학전공)
  • Received : 2018.09.16
  • Accepted : 2018.09.24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nges of the population distribution of metropolitan area by the development of the new town-type innovative city, focusing on the case of the Daegu Innovative City. Using dataset in the survey of population trend and the migration statistics microdata provided by the Statistics Korea, we decomposed population changes of Daegu and surrounding regions into natural increase and social increases(net migr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ong-gu, where the Daegu Innovation City is located, experienced population growth due to its increase of net migration, whereas the total population in Daegu been decreasing continuously between 2007 and 2016. In particular, the occurrence of high net migration to Dong-gu in 2014 showed a pattern consistent with the completion of the Daegu Innovative City development and the relocation of government institutions from the Seoul metro are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igration to Dong-gu, the population moved from the Seoul metro area was 6.9% of the total, while the population moving from the other 7 gu-gun areas in Daegu (35.8%) and the surrounding regions (8.2%) were significantly high. In particular, the migration to Dong-gu were from neighboring areas, such as Suseong-gu, Buk-gu and Gyeongsan-si.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new town-type innovative city could accelerate toward sprawling urban structure.

본 연구는 대구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신시가지형 혁신도시개발에 따른 대도시 인구분포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7~2016년 통계청 인구동향조사와 국내인구이동통계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여 대구광역시 및 주변 시군의 인구변화를 자연적 증가와 사회적 증가(인구이동)로 분해하여 동태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구광역시의 인구는 지속적인 감소경향을 보이는 반면, 도시외곽 혁신도시개발지가 위치한 동구는 해당지역으로의 인구유입에 따라 인구성장을 경험하고 있었다. 특히 2014년 이후 동구로의 높은 순 인구이동의 발생은 대구혁신도시 개발의 준공과 공공기관 이전 시기와 일치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다. 2007~2016년 사이 동구로 이동 인구의 전출지역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으로부터 유입은 전체의 6.9%인 반면 동구 내부이동(34.5%)과 더불어 대구 내 7개 구군(35.8%)과 주변 4개 시군(8.2%)에서 유입된 인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특히 대구혁신도시가 위치한 동구로의 전입인구는 동구 인접지역인 수성구, 북구, 경산시로부터 유입인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시가지형 혁신도시개발은 도시의 외연적 확산을 심화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승수.서유석, 2016, 혁신도시가 기존도시의 공간구조에 미친 영향 연구: 진주시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14(4), pp.215-232.
  2. 국가균형발전위원회.건설교통부, 2004, 공공기관 이전 및 혁신도시 건설방안, 국가균형발전 정책 설명회 자료.
  3. 국토교통부 공공기관 지방이전 추진단, 2018.09.03, 혁신도시 시즌2, http://innocity.molit.go.kr/v2/.
  4. 국토교통부, 2014, 혁신도시정책평가와 사후 추진방안, 세종.
  5. 김주영.윤동건, 2015, 혁신도시 개발이 주변지역 지가에 미치는 영향: 강원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부동산연구, 25(3), pp.67-77.
  6. 김준우.안영진.이정록, 2007, 혁신도시 이전대상 기관 직원들의 이주 및 정착 의지: 광주,전남 공동혁신 도시 나주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6), pp.639-650.
  7. 김진하.남진, 2016, 도시쇠퇴지역의 빈집분포현황과 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32(1), pp.105-122. https://doi.org/10.22669/KRSA.2016.32.1.105
  8. 김태환, 2005,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지역균형발전: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1), pp.71-82.
  9. 대구광역시, 2017.08.22. 대구혁신도시, http://www.daegu.go.kr/eco/index.do?menu_id=00001160.
  10. 동아일보. 2014.12.19. 대구 중구, 아파트 건설 붐... '주거타운' 변신.
  11. 류형철.신우화.신우진, 2012,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이주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부동산학회지, 30(2), pp.317-323.
  12. 박철성.계기석, 2009, 우리나라 혁신도시 조성사업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강원 혁신도시 사업을 중심으로, 2009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협동 학술대회.
  13. 송건섭.이곤수, 2007,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지역경제파급 효과: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1(4), pp.203-221.
  14. 엄현태.우명제, 2014, 교외지역 신시가지 개발이 중심도시의 구시가지 쇠퇴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계획, 49(5), pp.51-66.
  15. 원광희, 2006, 혁신도시건설에 따른 파급효과 및 향후추진 과제, 지역정책연구, 17(1), pp.21-41.
  16. 이정록, 2006, 혁신도시 건설의 국가 및 지역발전 파급효과, 국토, 7, pp.39-48.
  17. 이희연.심재헌.노승철, 2010, 도시 내부의 쇠퇴실태와 공간패턴, 한국도시지리학회지,13(2), pp.13-26.
  18. 통계청. 2017a. 2016년 연간 국내인구이동통계 보도자료.
  19. 통계청. 2017b. 인구총조사 2016: 시군구 연령 및 성별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