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두섭 (2005) '한국의 제2차 출산력 변천과 그 인과구조' <인구와 사회>1 (1): 23-53
|
2 |
김두섭 (2007) 집문당
|
3 |
김현숙. 류덕현. 민희철 (2006) <장기적 인적자본 형성을 위한 조세. 재정정책: 출산율 결정요인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한국조세연구원
|
4 |
은기수 (2001) '결혼연령 및 결혼코호트와 첫 출산간격의 관계' <한국사회학> 35(6): 105-139
|
5 |
은기수 (2004) <가치관과 혼인 및 출산 전국가족조사에 따른 한국가족의현실과 정책전망> 여성부
|
6 |
전광희 (2002) '출산력' pp.81-113 김두섭. 박상태. 은기수 편 <한국의 인구> 통계청
|
7 |
통계청 (2007a) <2006년 인구동태통계연보(총괄. 출생 .사망편)>
|
8 |
통계청 (2007b) <2006년 인구동태통계연보(혼인. 이혼편)>
|
9 |
CSOI(Central Statistics Office Ireland, Department of the Taoiseach(Prime Minister)) (2007) http://www.cso.ie/census
|
10 |
Choe, Minja Kim R. Retherford and S. K. Kim (2004) 'Very low fertility in South Korea: Patterns and Prospects' Paper presented at the 2004 Annual Meeting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
11 |
보건복지부 (2007a) '금년도 저출산 3.4조원. 고령사회대비 3.9조원, 총 7.3조원 지원키로-정부와 지방자치단체 팔 걷고 나선다' 1. 31. 보도자료
|
12 |
이삼식 외 (2005)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13 |
전광희 (2006) '한국의 혼인력과 출산력: 추이와 전망' <통계> 대한통계협회 32(1/2): 60-90
|
14 |
Park, Kyung Ae (2006) 'Fertility decline in Korea: Trends, determinants, and policy implications' Population and Society 2(2): 77-113
|
15 |
Choe, Minja Kim and Kyung Ae Park (2006) 'Fetility decline in SouthKorea: Forty years of policy-behavior dialogu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9(2): 1-27
과학기술학회마을
|
16 |
공선영 (2006) '경제위기 이후 인구학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기혼 여성의 출산에 미친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19(1): 119-149
|
17 |
Choe, Minja Kim, Larry L. Bumpass and Noriko O. Tsuya (2004) 'Employment' pp. 95-113 in Marriage. Work and Family Life in Comparative Perspective, edited by Norik. O Tsuya and Larry L. Bumpass. Honolulu. HI: University of Hawaii Press
|
18 |
Bongaarts, John and G. Feeney (1998) 'On the quantum and tempo of fertilit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4(2): 271-291
DOI
ScienceOn
|
19 |
Yi, Zeng and Kenneth Land (2001) 'A sensitivity analysis of the Bongaarts-Feeney method for adjusting bias in observed period total fertility rates' Demography 38(1): 17-28
DOI
|
20 |
통계청 (2006) <장래인구추계>
|
21 |
보건복지부 (2007b) '출생아수 및 합계출산율 당초 예상보다 크게 증가' 5.8. 보도자료
|
22 |
Statistics Bureau.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Japan (2007) http://www.stat.go.jp
|
23 |
Bongaarts, John (1999) 'The fertility impact of changes in the timing of childbearing in the developing world' Population Studies 53 (3): 277-289
DOI
ScienceOn
|
24 |
Lee, Jungmin and Myungho Paik (2006) 'Sex preferences and fertility in South Korea during the year of the horse' Demography 43(2): 269-292
DOI
ScienceOn
|
25 |
Census Bureau. US Department of Commerce (2006) http://www.census.gov
|
26 |
통계청 (2007c) <2006년 주민등록인구통계연보>
|
27 |
김태헌. 이삼식. 김동희 (2006) '인구 및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인구센서스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9(1): 1-23
과학기술학회마을
|
28 |
보건복지부 (2007c) '선천성이상아 조사 결과' 5. 17. 보도자료
|
29 |
유삼현 (2006) '지역별 차별출산력의 분석: 저출산 인과구조의 이해' <인구와 사회> 2(2): 53-76
|
30 |
Kohler, Hans-Peter, F. C. Billiari and J. A. Ortega (2002) 'The emergence of lowest-low fertility in Europe during the 90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8(4): 641-680
DOI
ScienceOn
|
31 |
김태헌 (2005) '가치관 변화와 저출산' <보건복지포럼 통권> 102: 1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