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34초

Hydrogen Storage Properties of Mg Alloy Prepared by Incorporating Polyvinylidene Fluoride via Reactive Milling

  • Song, Myoung Youp;Kwak, Young Jun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56권12호
    • /
    • pp.878-884
    • /
    • 2018
  • In the present work, we selected a polymer,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s an additive to improve the hydrogenation and dehydrogenation properties of Mg. 95 wt% Mg + 5 wt% PVDF (designated Mg-5PVDF) samples were prepared via milling in hydrogen atmosphere (reactive milling), and the hydrogenation and dehydrogen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epared sampl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Mg milled in hydrogen atmosphere. The dehydrogenation of magnesium hydride formed in the as-prepared Mg-5PVDF during reactive milling began at 681 K. In the fourth cycle (n=4), the initial hydrogenation rate was 0.75 wt% H/min and the quantity of hydrogen absorbed for 60 min, $H_a$ (60 min), was 3.57 wt% H at 573 K and in 12 bar $H_2$. It is believed that after reactive milling the PVDF became amorphous. The milling of Mg with the PVDF in hydrogen atmosphere is believed to have produced defects and cracks. The fabrication of defects is thought to ease nucleation. The fabrication of cracks is thought to expose fresh surface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reactivity of the particles with hydrogen and a decrease in the diffusion distances of hydrogen atoms. As far as we know, this investigation is the first in which a polymer PVDF was added to Mg by reactive milling to improve the hydrogenation and dehydrogenation characteristics of Mg.

Characterization of PVDF/PU fibers prepared by electrospinning

  • Rho, Jeongwon;Lee, Deuk Yong;Lee, Myung-Hyun;Kim, Bae-Yeon;Jeong, Heeseok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
    • /
    • 2018
  • The 23 wt% polyvinylidene fluoride (PVDF)/15 wt% polyurethane (PU) fibers were electrospun using the conjugated nozzle at a flow rate of 1.0 mL/h and an electric field of 1 kV/cm. The formation of ${\beta}$ crystal phase in the PVDF and the PVDF/PU fibers was confirm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fter electrospinning, the asspun fibers were immersed in a boiling water and then dried at $100^{\circ}C$ in a convection oven to make a crimp phenomenon. The crimps with a diameter of $2.0{\pm}0.08{\mu}m$ were observed for the PVDF/PU fibers after hydrothermal treatment without sacrificing the extent of ${\beta}$ crystal phase. All the PU, PVDF and PVDF/PU fibers exhibited average cell viability of more than 98 %. The cell proliferation results suggested that L-929 cells adhered well to the PU, PVDF and PVDF/PU fibers and proliferated continuously with increasing time, indicating that the PVDF/PU fibers are highly applicable to the biomedical applications.

Polyvinylidene Fluoride 진동센서를 이용한 코골이 검출 (Snoring Detection using Polyvinylidene Fluoride Vibration Sensors)

  • 지덕근;위연;김희선;임재중
    • 감성과학
    • /
    • 제14권3호
    • /
    • pp.459-466
    • /
    • 2011
  •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등의 수면 질환은 정신적, 육체적 피로감을 유발하고 정상적인 활동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골이는 공기가 좁아진 기도를 통과할 때 진동에 의해서 일어나는 호흡잡음이고, 수면 무호흡은 기도 주변의 조직이 이완됨에 따라 기도가 일시적으로 막히게 될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면 중 코골이를 검출하고 이를 경감하려는 많은 시도가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 중 코골이 신호의 검출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되는 원인인 주변 잡음이나 기타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새로운 센싱 시스템과 분석 알고리즘의 개발을 수행하였다. 센싱 시스템은 베개 내부에 내장되는 두 개의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진동 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검출되는 신호를 수집, 저장하는 하드웨어부와 코골이 신호를 판단하는 신호처리부로 이루어졌다. 베개에 내장되는 PVDF 센서 중 제 1센서는 코골이 신호를 검출하고 제 2센서는 코골이 신호 및 주변의 잡음을 검출한다. 본 실험에는 10명의 피험자가 참여하였으며 수면 중 잡음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 조건 하에서 신호를 검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잡음환경 하에서 코골이 신호가 코골이가 아닌 잡음에 비해 약 70% 이상의 에너지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잡음으로부터 코골이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면 중 발생하는 코골이의 경감을 위한 베개의 개발과 정량적인 수면상태 평가를 통해 건강한 수면 환경을 제시할 수 있는 숙면 유도 시스템의 개발에도 활용될 것이다.

  • PDF

전자빔 조사를 이용한 Polyvinylidene Fluoride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vinylidene Fluoride by Irradiating Electron Beam)

  • 최용진;김민
    • 공업화학
    • /
    • 제22권4호
    • /
    • pp.353-357
    • /
    • 2011
  • Polyvinylidene fluoride (PVDF)에 친수성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pristine PVDF에 공기 및 수증기 분위기에서 전자빔으로 조사하였고 그에 따른 화학적 조성변화, 구조적 변화 및 표면성질을 관찰하였다. 이때 조사량을 0에서 125 K Gray의 선량으로 조사를 하였으며 그에 따른 PVDF의 구조 및 화학적 조성변화 FT-IR, EDS 및 DSC를 통하여, 표면거동은 접촉각의 측정을 통하여 평가되었다. FT-IR에서는 하이드록실기의 도입이 확인되었다. EDS에서는 선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F (불소) mole조성비는 변화가 없이 약 33%로 일정함을 나타냄으로써 하이드록실기의 도입이 탈불소화반응이 아닌 탈수소화반응 경로를 통하여 도입됨을 알 수 있었다. DSC연구에 있어서는 $T_g$ (유리전이온도)가 전자빔의 선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고 이는 또한 $-CH_2-$의 H의 탈리 경로를 통한 하이드록실기 도입을 재확인 하였다. $T_m$ (녹는점)의 변화에서도 전자빔 선량의 증가는 녹는점의 상승을 초래하였고 이는 전자빔 선량의 증가가 하이드록실기의 도입과 더불어 수소결합력의 증가를 유발한 효과로 추론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선량조건에서 제조된 PVDF로 필름을 형성한 후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 조사되지 않은 PVDF 필름은 $62^{\circ}$를 나타내었고 125 K Gray PVDF로 제조한 필름은 최저 $13^{\circ}$까지 떨어져 친수화에 성공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다른 pH의 전해질에서 polyvinylidene chloride-resin와 polyvinylidene fluoride로부터 합성된 다공성 탄소의 전하 저장 거동 (Charge Storage Behavior of the Carbons Derived from Polyvinylidene Chloride-resin and Polyvinylidene Fluoride in Different pH Electrolytes)

  • 전상은
    • Composites Research
    • /
    • 제35권6호
    • /
    • pp.394-401
    • /
    • 2022
  • Polyvinylidene chloride-resin(PVDC-resin)와 polyvinylidene fluoride(PVDF)의 두 폴리머 전구체는 열분해 과정을 통해 마이크로 다공성 탄소로 변환되어 되므로 이온 흡/탈착으로 전하를 저장하는 슈퍼커패시터용 전극재료로 유리하다. 더욱이, 두 전구체를 구성하는 여러가지 이종원소들은 탄화 후 작용기를 형성하여 추가적인 전하저장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탄화 시 생성되는 작용기에 대한 분석은 에너지 저장용 탄소소재를 개발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두 폴리머 전구체를 탄화시킨 후 생성된 작용기를 X-선 광전자 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과 다양한 pH의 전해질에서 탄소 전극의 전기화학 거동 관찰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산성(1 M H2SO4) 전해질에서 측정된 두 탄소 전극의 비전기용량은 생성된 quinone 작용기의 패러데익 충/방전 반응 덕분에 중성 전해질(0.5 M Na2SO4)에서보다 증가하였다. 특히, PVDC-resin으로부터 합성된 탄소는 매우 작은 마이크로 기공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어 전해질 이온의 흡착을 어렵게 하므로, PVDF로부터 합성된 탄소 전극에 비해 낮은 용량을 보인다. 염기성 전해질(6 M KOH)에서 두 탄소 전극 모두 3가지 전해질 중 가장 높은 비전기용량이 측정되었는데, 이는 구성하는 전해질 이온들(K+, OH-)이 두 탄소에 형성된 마이크로 기공으로 흡/탈착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동시에 패러데익 충/방전 반응으로 추가적인 전하가 저장되었기 때문이다.

가압식 코팅법을 이용한 다층막 제조 (Preparation of the Multilayer Membrane Using the Phase Separated and Pressurization (PSP) Method)

  • 전이슬;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5권5호
    • /
    • pp.391-397
    • /
    • 2015
  • 다공성 지지체인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중공사막에 염석법을 기반으로 하여 Polyethyleneimine (PEI)와 Polyvinylsulfonic acid (PVSA)를 가압법(phase separated and pressurization, PSP)으로 코팅시켜 다층막을 제조하였다. 이에 열처리 온도, 코팅농도, 유입수 농도, 가교시간 및 가교제 농도에 대하여 NaCl 100 ppm을 공급액으로 하여 4 atm에서 투과도와 제거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장 좋은 결과로는 PEI 20,000 ppm과 PVSA 1,000 ppm, PEI 15%에 말산 2% 수용액으로 가압코팅 후 열처리하였을 때 투과도 24.3 LMH, 제거율 82.1%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탄소나노튜브(CNT)-PVDF 막을 이용한 자연용존유기물 제거 (Removal of Natural Organic Matter (NOM) by Carbon Nanotubes Modified PVDF Membrane)

  • 조현희;차민환;박재우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8-156
    • /
    • 2012
  • In this research, the application of carbon nanotubes (CNTs) modified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was tested as a simply and beginning attempt to overcome membrane fouling because CNTs importantly affect the transport of natural organic matter (NOM). Suwannee River fulvic acid (SRFA) as the representative of NOM was selected and its sorption results with single-walled CNT (SWCNT), multi-walled CNT (MWCNT), and oxidized MWCNT (O-MWCNT) were obtained through the batch experiment. SRFA sorption isotherms had a strong nonlinearity and its sorption capacity followed the order O-MWCNT < MWCNT < SWCNT. The adsorbed mass of SRFA on each CNT decreased as a function of pH due to their charge repulsion. For the CNT-PVDF membrane filtration experiments, the suspended CNT solution (10 mg/40 mL) was incorporated into $0.45{\mu}m$-PVDF membrane and 5 mg/L of SRFA solution was monitored using UV detector connected with high pressure pump after passing through CNT-PVDF membrane. The SRFA removal efficiency by MWCNT-PVDF membrane was the strongest among other modified membranes. This suggests that the CNT modified microfiltration (MF) membrane might effectively and selectively apply to treat the contaminated water including organic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NOM.

전계인가법을 이용한 $\beta$-PVDF 증착 박막의 제조와 유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Dielectric Characteristic of $\beta$-PVDF Vapor Deposited Thin Films by Applied Electric Field Method)

  • 박수홍;이덕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21-228
    • /
    • 1998
  • In this study, the $\beta$-Polyvinylidene fluoride(PVDF) thin films were fabricated by physical vapor deposition method. Also, the properties of dielectric relaxation were studied to understand carrier's behavior of PVDF thin films, to be regarded as the excellent piezo and pyroelectricity. In the process of vapor deposition, the $\beta$-PVDF thin films have been fabricated under the condition of the substrate temperature at 3$0^{\circ}C$, the applied electric field at 142.8kV/cm and the pressure at 2.0${\times}10^{-5}$torr.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PVDF have been studied in the frequency range 10Hz to 1MHz at temperature from 30 to $100^{\circ}C$. 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of $\alpha$ and $\beta$-PVDF were 6.8 and 9.8, respectively, under a frequency of 1kHz. Such a phenomenon was caused by the decrease in intermolecular forces originated by the phase-transition from the TGTG' molecular conformation to the TT planar zig-zag conformation. And 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is increased as a measuring temperature increases, because of the reduction of relaxation time caused by the decrease of intermolecular force.

  • PDF

하이브리드 습식 공정을 통한 PVDF 섬유의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the PVDF Fibers Fabricated by Hybrid Wet Spinning)

  • 정건;김성수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145-150
    • /
    • 2016
  • Polyvinylidene fluoride (PVDF)는 압전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고분자로 1960년대부터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PVDF는 반결정의 고분자로써 5가지의 결정 구조(${\alpha}$, ${\beta}$, ${\gamma}$, ${\delta}$, 그리고 ${\varepsilon}$형)로 구성되어 있다. ${\alpha}$형과 ${\delta}$형 결정은 전기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무극성 결정구조이나 ${\beta}$형, ${\gamma}$형 그리고 ${\varepsilon}$형은 전기적으로 반응하는 극성 결정구조이다. 그 중에서도 ${\beta}$형 결정구조는 트랜스 형 분자 쇄가 평행으로 충진 된 형태로서 PVDF 단위체가 갖는 영구 쌍극자가 모두 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자발 분극이 커지게 되고 압전성을 나타내게 된다. 일반적으로 ${\beta}$형 결정구조는 연신을 통한 ${\alpha}$형 결정구조의 변환을 통하여 얻을 수 있고, 연신 후 후처리 공정을 통해 그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습식방사로 제조된 PVDF 섬유는 응고욕에서 극성 용매의 확산 메커니즘에 의해 ${\beta}$형 결정구조가 형성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극성 용매가 빠져나감과 동시에 섬유 고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용매의 확산 경로가 섬유 내부 기공으로 남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 기공은 폴링(Poling) 공정에서 전기장에 의한 분극을 방해하여 그 효과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PVDF 섬유가 압전 특성을 필요로 하는 응용분야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섬유 가공 후에 전극이 반드시 부착되어야 하는데 섬유 형태로 제조된 PVDF에 전극을 형성하기는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압전성을 갖는 PVDF 섬유를 습식 방사와 건식 방사의 혼합 공정으로 제조하여 기공 문제를 해결하였고, 전극이 섬유 내부에 삽입된 Core/Shell 형태의 PVDF 섬유를 제조하여 까다로운 전극형성 문제를 해결하였다.

친수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저압용 PVDF 나노복합중공사막의 제조 및 성능 연구 (Preparation and Performance of Low Pressure PVDF Nano-composite Hollow Fiber Membrane Using Hydrophilic Polymer)

  • 박철오;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8권5호
    • /
    • pp.361-36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중공사막을 지지체로 한 저압용 나노복합막을 제조하였다. Poly styrene sulfonic acid (PSSA)와 polyethyleneimine (PEI)을 layer-by-layer 및 염석 효과 방식으로 지지체막에 코팅하였다. 막의 투과도와 염 배제율 성능을 알아보고자 NaCl, $MgCl_2$, $CaSO_4$ 100 mg/L수용액을 1 L/min의 유량으로, 2 bar의 압력을 상온에서 가해주었다. 20,000 ppm의 PSSA (이온세기 1.0)용액에 3분, 30,000 ppm (이온세기 0.1)용액에 1분 코팅한 막이 가장 우수하였다. 투과도와 염 배제율은 NaCl 공급액에서는 38.5 LMH, 57.1%, $MgCl_2$는 37.9 LMH, 90.2%, $CaSO_4$는 32.4 LMH, 54.6%로 각각 측정되었다.